•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미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전략적 R&D 투자

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국민체감형 연구개발 강화

 혁신 성과창출을 위한 창의적·도전적 연구지원 확대

그림 2-39. 2017년 국가 R&D 투자 기본 방향

7) `14년 평균환율 (1위안=170.93원) 기준. 자료: 외환은행 평균환율 정보(http://www.keb.co.kr/)

◦ 중점 추진분야 중 하나가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신산업 육성’이며 바이오신산업 육성 (글로벌 신시장 진출 잠재력이 높은 첨단바이오·맞춤의약품, 신개념의 진단-치료 기술 개발)이 포함(예, 치료용단백질·항체·세포·유전자치료제, 부작용 최소화 유용 치 료 평가 기술 등).

바. 시사점

q 국내외 기술, 특허, 시장 동향 분석,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해양 생물에서 유래 한 질환 치료 기능을 갖는 재조합단백질 개발이 적합함.

q 질환 치료 목적의 재조합단백질 소재는 신약 개발 전단계에서 규제와 진입 장벽이 낮 은 향장 소재 (세포성장인자), 양식 첨가물 (세포성장인자) 등으로 개발 가능 (표 2-24).

q 재조합단백질 중에서도 소재의 원천성, 기술의 원천성, 기술의 자립도, 기술의 성숙도, 제품의 경제성,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세포성장인자, 호르몬제재, 혈액제재, 효소 단백질, 독단백질 분야가 연구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

q 해양포유류의 대사적 특이성 (비만, 당뇨)과 생리적 특이성 (저산소 적응)이 반영된 해 양단백질을 기반으로 세포성장인자, 호르몬제제, 혈액제제 등을 연구하면 원천성을 확 보하는 동시에 개발 가능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예측

q 해양생물의 특이성과 다양성이 반영된 당전이효소와 독단백질을 발굴하여 신규성 및 원천성을 확보

분류 소재의

신규성8)

기술의 원천성9)

국내기술 수준

관련제품의 경제성

실현 가능성

분비형 단백질

세포성장인자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낮음 매우 높음 높음 호르몬제제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낮음 매우 높음 높음

혈액제제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낮음 보통 높음

면역단백질 보통 보통 보통 높음 낮음

효소 단백질

효소단백질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높음 높음

당전이효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보통 높음 높음

백신 낮음 낮음 낮음 높음 낮음

치료용 항체 낮음 낮음 높음 매우 높음 낮음

독단백질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높음 높음

표 2-24. 단백질 기반 해양바이오메디컬소재의 중점 연구 분야

8) 소재의 신규성: 본 연구에서 개발될 소재의 신규성 (예: 물질 특허, 생명정보 자원) 9) 기술의 원천성: 본 연구의 원천기술의 확보 여부 (예: 플랫폼 개발)

3 기술 수준 및 역량 분석

가. 요소기술에 대한 종합분석 (델파이 조사․분석)

q 조사개요

◦ 기술수준, 적합도/매력도 지수 등을 산정하기 위하여 경력 10년 이상의 해양생명공학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 (2013, 차세대 해양생명공학사업 추 진방안 연구)

◦ Line-up 모델 (표2-25)

- 핵심요소기술에 대하여 전문가 조사를 통하여 기술성, 경제성, 정책성을 평가

◦ 기술성, 산업성, 정책성 범주로 각각 3가지 세부평가항목을 포함하여 총 9개의 평가 항목을 정의

평가 세부평가항목 용어 정의

기술성 평가 (40%)

기술 우위성 (15%)

기술의 혁신성, 기술개발의 난이도 및 기술의 완성도(수준) 등을 고려 한 기존유사 및 동종 기술과의 경쟁적 우위성 평가

기술 실용화 가능성

(15%)

국내 기술에 의한 현장적용 가능성, 제품의 양산 가능성, 자동화 가능 성, 국내소재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국내 기술적 여건에 의한 산업 적용 가능성 평가

기술활용성 (10%)

단일 품종 및 단일 산업에 한정된 기술, 원리적 측면의 응용에 의한 관련 산업에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기술 적용 범위 및 응용성에 대한 평가

산업적 평가 (30%)

직접 경제효과 (10%)

관련 업계의 생산유발 및 생산성 향상 효과와 국내 기술수요와 시장 규모 고려 시 수입대체 효과를 고려한 해양생명공학 기술개발 및 산 업화와 수반한 직접 경제효과 평가

산업 파급효과 (10%)

새로운 산업 창출효과, 타 산업의 생산유발 및 생산성 향상 효과 및 고용창출효과를 고려한 타 산업으로 파급에 의한 부가가치 생산성 평 가

수출 가능성

(10%) 국외 시장규모와 가격경쟁력 기반의 수출 가능성 평가

정책성 평가 (30%)

정책 연계성

(10%) 국민 삶의 질 향상 및 국가 정책과의 연계성 평가

전략 중요성

(10%) 국가 산업기술발전전략 상의 중요성 평가

기술개발의

시급성(10%) 국가적 차원에서 기술개발의 시간적 긴급성 평가

표 2-25. Line-up 모델의 세부 평가항목 용어 정의

q Risk-Return 모델 (표2-26)

◦ 위험요소와 이익요소 두 가지 범주로 설계된 모델로서 각각 4가지의 평가항목을 정의

평가 세부평가항목 용어 정의

RISK (50%)

기술개발의 난이도

(15%)

기술의 혁신성, 기술개발의 난이도 및 기술의 완성도(수준) 등을 고려 한 기존유사 및 동종 기술과의 경쟁우위 평가

기술의 완성도 (15%)

국내 기술에 의한 현장적용 가능성, 제품의 양산 가능성, 자동화 가능 성, 국내소재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국내 기술적 여건에 의한 산업 적용 가능성 평가

기술 실용화 가능성

(10%)

국내 기술에 의한 현장 적용 가능성, 제품의 양산 가능성, 자동화 가 능성, 국내 소재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국내 기술적 여건에 의한 제조 가능성 평가

개발의

시급성(10%) 국가적 차원에서 기술개발의 시간적 긴급성 평가

Return (50%)

직접 경제효과 (15%)

관련 업계의 생산유발 및 생산성 향상 효과와 국내 기술수요와 시장 규모 고려 시 수입대체 효과를 고려한 해양생명공학 기술개발 및 산 업화와 수반한 직접 경제효과 평가

산업 파급효과 (15%)

새로운 산업 창출효과, 타 산업의 생산유발 및 생산성 향상 효과 및 고용창출효과를 고려한 타 산업으로 파급에 의한 부가가치 생산성 평가

수출 가능성

(10%) 국외 시장규모와 가격경쟁력 기반의 수출 가능성 평가

기술파급성 (10%)

단일 품종 및 단일 산업에 한정된 기술, 원리적 측면의 응용에 의한 관련 산업에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기술 적용 범위 및 응용성에 대한 평가

표 2-26. Risk-Return 모델의 세부 평가항목 용어 정의

q 매력도-적합도 모델 (표 2-27)

◦ 핵심요소기술에 대한 선택적 집중개발 분야 분석을 위해 매력도와 적합도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설계된 모델

◦ 매력도는 5점 척도, 적합도는 20점 척도로 평가

◦ 매력도와 적합도를 평가하여 모두 평균 이상인 기술은 최우선 투자기술군으로, 둘 중 하나의 요소라도 평균이하인 기술은 우선투자기술군으로, 둘 다 평균이하인 기술은 투자기술군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분석결과 해양단백질 생산기술과 해양단백질 구조기반 기능 개선 기술은 최우선투자 기술군, 해양유전정보 기반 바이오소재 데이터 마이닝 기술은 우선투자기술군, 해양 단백질의 활성 발굴 및 활용 기술은 투자기술군으로 분류됨

평가 세부평가항목 용어 정의

매력도 (50%)

직접경제효과 (10%)

관련 업계의 생산유발 및 생산성 향상 효과와 국내 기술수요와 시장규모 고려 시 수입대체 효과를 고려한 해양생명공학 기술개발 및 산업화를 수반한 직접 경제 효과 평가

산업 파급효과 (10%)

새로운 산업 창출효과, 타 산업의 생산유발 및 생산성 향상 효과 및 고용창출 효과를 고려한 타 산업으로 파급에 의한 부가가치 생산성 평가 기술 활용성

(10%)

단일 품종 및 단일 산업에 한정된 기술, 원리적 측면의 응용에 의한 관련 산업에 적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기술 적용 범위 및 응용성에 대한 평가

기술 우위성 (10%)

기술의 혁신성, 기술개발의 난이도 및 기술의 완성도(수준) 등을 고려한 기존 유사 및 동종 기술과의 경쟁적 우위성 평가

수출 가능성

(10%) 국외 시장규모와 가격경쟁력 기반의 수출 가능성 평가

적합도 (50%)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10%)

최고 기술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의 현재 수준 기술 실용화

가능성 (10%)

국내 기술에 의한 현장 적용 가능성, 제품의 양산 가능성, 자동화 가능성, 국내 소재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한 국내 기술적 여건에 의한 제조 가능성 평가

기술개발의

시급성(10%) 국가적 차원에서 기술개발의 시간적 긴급성 평가 전략적중요성

(10%) 국가 산업기술발전전략 상의 중요성 평가

국가R&D 정책연계성

(10%)

국민 삶의 질 향상 국가 정책과의 연계성 평가 표 2-27. 매력도-적합도 모델의 세부 평가항목 용어 정의

q 기술수준 정의

◦ 최고기술국가 : 해당기술의 최고 기술수준을 보유한 국가

◦ 우리나라 기술수준 : 최고국을 100으로 보았을 때 해당기술의 우리나라 기술수준

q 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의 정의

◦ TRL이란 연구개발 과정에서 특정기술의 성숙도를 평가하거나 서로 다른 유형의 기술

성숙도를 일관되게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체계적인 평가모델임 (그림 2-40)

◦ NASA에서 처음 개발될 당시는 TRL은 7단계였으나, 이후 지속적인 개선을 거쳐 현재

는 9단계로 통상 구분되고 있음

그림 2-40. TRL 등급 정의

q 요소기술에 대한 종합분석

◦ Line-up, Risk-Return 및 적합도-매력도 모델에서 해양단백질 구조기반 기능 개선 기술,

해양단백질 생산기술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남 (표 2-28)

◦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은 미국 등 최고기술 국가대비 약 71∼74%의 기술주준을 보이 며, 기술성숙도는 약 3∼6 수준으로 분석됨

핵심 요소기술명 Line-up

지수 R-R 지수

적합도/

력도 지수 최고국 우리나라

기술수준 TRL 해양단백질 생산기술 87.1 85.0 4.3 /

17.9

미국/

일본 72.0 3∼4 해양단백질 구조기반 기능

개선 기술 88.9 85.0 4.5 /

17.9 미국 72.0 4∼5 해양유전정보 기반

바이오소재 데이터 마이닝 기술

78.2 76.8 4.1 /

18.2 미국 74.3 5∼6 해양단백질의 활성 발굴

및 활용 기술 83.2 81.3 4.2 /

17.5 미국 71.0 3∼4 표 2-28. 요소기술에 대한 종합분석 결과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