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기획연구의 대상 기술 ‘해양공간관리를 위한 능동적 핵심공간평가기 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함
- 해양공간관리를 위한 능동적 핵심공간평가기술 : 해양공간의 적정 이용·개발 및 보전을 유도하고 관리하기 위한 핵심정보를 생산하는 공간평가기술
1.2. 기술 수요조사
○ 기술 수요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능동적 핵심공간평가기술의 분야를 1) 해양자원평가 및 예측기술, 2) 해양환경·생태 평가 및 예측 기술, 3) 해양 활동 평가 및 영향예측 기술 4) 해양 빅데이터 분석 및 적용기술 등 4가 지 기술 분류로 구분하여 수요조사를 실시함
(표3-5) 기술 수요 목록
기술 분야 기술 수요 초안
1) 해양자원평가
및 예측
어업 자원의 민감도 평가 및 맵핑
어업자원 수요 및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가치 평가 및 맵핑 어업 자원량 평가 및 서식지 평가
AIS와 어군탐지;기를 연동한 어업자원 맵핑 기술 개발 빅데이터 기반 어업자원량 및 변동성 평가
자원개발 시나리오에 따른 해양공간가치 변화 예측 기술 양립 가능 자원개발 시나리오와 적지 선정 기술 개발 연안해양수자원 분포와 개발 가치 평가
해양에너지원별 공간 분포 지도와 개발 적지 해양에너지 개발 가치 평가
골재자원의 분포/부존과 개발 가치 평가
해역별 바다모래 채취에 따른 영향범위 산출 모델 개발
관광자원 분포 및 관광 활동 특성을 고려한 공간 가치 평가
2) 해양환경·생태
평가 및 예측
해양이용 및 개발에 따른 환경·생태 민감도 지수 개발 및 맵핑 해양이용 및 개발에 따른 환경·생태 취약성 지수 개발 및 맵핑 해양생태계 건강도 지수 개발 및 맵핑
해양생태계정보평가 기술 개발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해양환경·생태 주제도 개발 해양생물다양성 평가등급 고도화 기술개발
해양용도구역별 해양환경생태 가중 지표 개발 미래 환경변화에 따른 생태환경 정보 평가 기술
보호 활동과 양립가능한 이용 및 개발 적정 수준 산정 모형 개발
3) 해양활동 평가
및 영향예측
통항 흐름 및 밀집과 안전지수
원격탐사 기반 해양활동 안전도 평가 및 맵핑 해양공간의 누적이용영향평가
해양시설 및 연안지형 취약도 평가 및 맵핑 해양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
이용 시나리오에 따른 공간가치 변화 모델
9개 핵심활동별 다른 이용 및 개발의 양립가능성 평가
4) 해양 빅데이터
분석 및 적용기술
실시간 및 준실시간 자료의 해양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기술 개발 핵심공간평가 분석결과의 자동 가시화 및 지도화 기술 개발 기본 해양공간활용 지도와 실시간 자료 연계 분석 기술 개발 실시간 연안/해양모니터링 정보 통합체계 개발
클라우드 기반 해양빅데이터 수집 및 연계 활용 기술 개발 해양빅데이터 분석 및 예측 기법 적용 최적화 기술개발 해양공간 빅데이터 통합 관리체계 및 품질관리 기술 개발 해양공간빅데이터 생산, 처리, 변화 통합 프로세싱 체계 디자인
(그림3-3) 기술 수요조사 예시
○ 조사 결과 어업자원의 민감도 평가 및 맵핑 등 40여개 기술 수요조사서를 확보하였으며, 이의 검토를 통해 20개 기술 목록을 도출
(표3-6) 기술 목록 기술명
1 어업자원의 민감도 평가 및 맵핑
2 어업자원 수요 및 환경변화에 따른 미래가치 평가 및 맵핑
3 어업자원량 평가 및 서식지 평가
4 골재자원의 분포/부존과 개발가치 평가
5 해역별 바다모래 채취에 따른 영향범위 산출 모델 정립 6 관광자원 분포 및 관광활동 특성을 고려한 공간 가치평가 7 해양이용 및 개발 등에 따른 환경·생태 민감도 지수 개발 및 맵핑 8 해양이용 및 개발에 따른 환경·생태 취약성 지수 개발 및 맵핑
9 해양생태계 건강도 지수 개발 및 맵핑
10 통항 흐름 및 밀집과 안전지수
11 해양시설 및 연안지형 취약도 평가 및 맵핑
12 해양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
13 이용 시나리오에 따른 공간가치 변화 모델
14 해양공간의 누적이용영향평가
15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연안주제도 작성 및 공간 DB 확보
16 해양생태계정보평가 기술 개발
17 실시간 및 준실시간 자료의 해양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기술 개발 18 핵심공간평가 분석결과의 자동 가시화 및 지도화 기술 개발 19 AIS와 어군탐지;기를 연동한 어업자원 맵핑 기술 개발
20 빅데이터 기반 어업자원량 및 변동성 평가
2.2. 기술 트리
○ 기술트리의 중분류 체계 확정
- 해양공간관리에서의 기술 역할, 기술간의 관계, 중복성 등을 고려하여 중분류 를 4개→3개로 조정하고 기술 트리를 작성 함
해양자원평가 및 예측기술
⇨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찾기 (자원 평가 및 예측 기술)
해양환경·생태 평가 및 예측 기술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유도하기 (환경·생태/활동 평가 및 예측 기술)
해양활동 평가 및 영향예측기술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관리하기 (공간 지속성 관리 기술)
해양 빅데이터 분석 및 적용기술 정보의 능동적 활용 유도하기
(그림3-4) 기술트리 중분류 체계 확정
○ 기술 트리 작성
- 능동적 핵심공간평가기술은 이용 및 개발 특성에 부합하는 최적공간을 찾기 위한 기술 1)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찾기(자원 평가 및 예측 기술), 다른 활 동과의 갈등을 조정하여 최적공간으로 저정하기 위한 기술 2)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조정하기(환경·생태/활동 평가 및 예측 기술), 3) 빅데이터 기반 핵 심공간관리하기 4) 기존 해양공간정보공동활용 플랫폼과 연계한 빅데이터 활용 기술인 정보의 능동적 활용(해양빅데이터 분석 및 적용기술) 등 3개 분류로 구 분하고 기술 수요조사를 토대로 기술 트리를 작성함
(그림3-5) 기술트리
○ 우선순위 검토에 따른 과제 도출 목록(40개⇒20개⇒12개)
(표3-7) 우선순위에 따른 기술 목록
우선순위 검토에 따른 과제 목록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찾기
(1-1) 원격탐사 및 AIS 정보에 기반한 환경예측 및 어장지수 개발 (1-2) 환경예측 모델과 결합한 해양자원 최적이용기술
(1-3) 해양용도구역별 자원이용 영향관리 기술 개발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조정하기
(2-1) 어업자원의 민감도/취약성 평가 기술 (2-2) 환경생태 민감도/취약성 평가 기술
(2-3) 해양활동별 해양교통안전확보 기술
빅데이터 기반 핵심공간 관리하기
(3-1) 해역별/용도별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개발
(3-2) 해양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 기술
(3-3) 해역별 복합이용(누적이용) 영향 평가 기술
정보의 능동적 활용
(4-1) 공간 빅데이터 생산 및 연계활용체계 구축 (4-2) 공간 빅데이터 통합 처리 및 관리 기술 (4-3) 공간 빅데이터 분석 및 최적 가시화 기술
* 해양공간에서의 다양한 활동(9개 해양용도구역 고려)과 찾기, 조정하기 기술 관련성 - 공간 찾기 : 어업, 에너지, 골재, 관광, 환경·생태, 안전
- 공간 조정하기 : 어업, 환경·생태, 골재, 에너지(복합이용), 항행
제4장 연구개발 전략
1. 최종 연구목표
□
2022
년 이후 해양공간의 적정 이용·
개발 및 보전을 유도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 요한 핵심공간평가기술 개발□ 해양활동의 핵심공간을 찾아 개별 활동을 유도하거나 활동간 상충을 조정하기 위한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