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 인공위성 및 무인기 시스템 활용 국내 연구 동향

 이권호 외(2006)은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주요 대기오염 에어로졸 인 먼지입자, 해염입자, 오염입자를 구분하였고, 동북아지역 대기 에어로 졸의 대표적인 종류별 특성에 관하여 분석함.

 이 연구에서는 AOT (Aerosol Optical Thickness) 농도 분포가 중국연안에 서 태평양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결과를 통해 기원지 추정연구가 수행됨.

 MODIS Terra/Aqua 센서의 AOD, FW 자료를 통해 황사와 인위적 오염입 자의 공간 분포 및 입자크기 특성 분석이 이루어졌고, 발생기원이 다른 모래폭풍과 인위적 오염입자는 MODIS AOD와 FW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 임(김학성 외, 2010).

 광주과학기술원의 다파장 라만 라이다 시스템을 이용하여 발원지 및 이 동경로에 따른 황사의 광학적 특성을 연구함(신성균 외, 2014).

 라만 라이다 시스템 분석으로부터 산출된 평광소멸도를 이용하여 황사의 층을 구분해 내었고, 이 정보들은 HYSPLIT (Hybrid Single 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모델을 통해 황사 층의 역궤적을 추적 함.

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한반도로 유입되는 황사의 대부분은 고비사막을 기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을 규명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외 사례와 비교하여 다양한 플랫폼 이용과 기술개 발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며, 원격탐사 자료 검증과 정확도 향상 을 위한 더욱 많은 현장 자료 수집이 필요함.

국외 연구 동향

 미국 NOAA는 인공위성을 이용하여 전지구적 규모로 에어로졸의 분포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있으며, 대기중 에어로졸 입자가 기후변화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상당 수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함

 Mandija 연구팀은 MODIS와 MSG/SEVIRI 센서를 이용하여 에어로졸의 분 포를 탐지하였고, Hysplit, NAAPS, DREAM 모델을 이용하여 에어로졸의

기원을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함(Mandija et al., 2017).

 이 연구를 통해 Sahara 지역 기원의 광물분진이 Barcelona와 Granada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밝힘.

 Lasteran et al. (2016)은 기존의 기구를 띄우는 샘플링 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인기에 포집장치를 부착하여 샘플링 가능한 기술을 개발함.

 이를 통하여 높은 고도의 에어로졸 특성과 분포 분석이 가능함을 제시.

(2) Mineral dust

 중국과 몽고에 분포하는 건조지역은 사하라 사막 다음으로 큰 mineral dust의 공급지이며, 매해 약 800 Tg의 mineral dust를 발생시킴 (Han et al., 2008).

 중국에는 mineral dust를 공급할 수 있는 건조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 며, 각 지역에 분포하는 토양은 지역마다 다른 동위원소 조성, 광물조성, 지화학 조성을 보임(예, Chen et al., 2007; Seo et al., 2014) (그림 2-2).

 Mineral dust에 포함된 석영입자의 결정도(crystallinity index)와 electron spin resonance (ESR) 또한 기원 지역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임 (Nagashima et al., 2007). 따라서 바람에 의해 이동하여 퇴적된 mineral dust의 성분 분석을 통해 이들의 기원지역을 밝혀낼 수 있음.

 황사 기간 동안 서울 또는 근해에서 채취된 먼지 입자의 광물조성, 지화 학 조성, Sr-Nd 동위원소 조성 연구를 통해 봄철 황사는 주로 중국 북부 에 위치한 사막에서 북서계절풍의해 공급되며, 이외의 계절에는 편서풍에 의해 타클리마칸 사막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에서 공급되는 것으로 파악 됨(Jeong, 2008; Lee et al., 2010; Nagashima et al., 2011).

 편서풍에 의해 주로 이동하는 중국 기원 입자는 적도수렴대 이북에 위치 하는 북태평양 전역에 영향을 미치며 북아메리카와 그린랜드에도 퇴적되 는 것으로 알려짐.

 북서계절풍의 영향이 강한 북서태평양 지역 또한 편서풍에 의해 공급된 풍성기원입자가 우세하게 퇴적되는 것으로 밝혀짐(Seo et al., 2014).

 과거 퇴적기록에 따르면 추운시기(stadial)에는 몽고기원의 입자가 상대적 으로 따뜻한 시기에는 타클리마칸 기원의 입자가 주로 동아시아 지역에 공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추운 시기동안 편서풍의 경로가 늦 은 여름까지 히말라야 남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됨 (Nagashima et al., 2011, 2013)

 먼지입자는 대기 복사 수지 및 해양 표층생산성을 조절하여 기후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 특히 풍성기원입자는 철의 공급량을 높여 중위도 저생산대 지역의 표층 생산성 증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됨(Han et al., 2011)

그림 2-2. 중국 mineral dust 기원지별 광물조성 변화 (3) Chemical tracer

국내 연구 동향

 국내 미세먼지(PM2.5, PM10)에 대한 연구는 PM10/PM2.5 sequential Air Sampler (APM Engineering, PMS-103, Korea) 혹은 대용량 공기채취기 (high volume air sampler, DHA-80, Digital)를 이용하여 테프론 및 GF/F 필터 내 주요이온 및 미량원소의 정량적인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음(이순 봉 외, 2011; 김기주 외., 2014)

 이러한 농도 위주의 정량적인 접근은 통계적인 방법인 요인분석(factor

analysis)로 인위적인 오염기원 성분, 토양기원, 해염성분 등의 구분하여 기원을 추정하고자 하였음

 유색 용존 유기물(colored dissolved organic matter)을 이용하여, 서울시 강수시료에 포함된 유기물의 기원지 추적연구를 진행함(Yan and Kim, 2017)

 입자상 탄소와 질소의 안정동위원소 비를 이용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의 배출원 및 배출지역을 추적하는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미세먼지 내 암모 늄과 질산염의 질소 동위원소비는 장거리 이동 오염물질의 추적자로 사 용가능성은 확인한 바 있으나, 미량금속(중금속) 안정동위원소에 대한 연 구사례는 없음

국외 연구 동향

 금속 안정동위원소(metallic stable isotope)를 활용하여 황사(asian or aeolian dust)의 기원을 추적하는 연구는 Pu (Dong et al. 2017), Sr-Nb (Nakano et al., 2005), Pb (Lee and Yu, 2010; Du et al., 2017) 동위원소 연구결과가 제시된 바 있음

 이들 연구는 토양 및 퇴적물 시료 중심의 연구로 황사가 발생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황사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가 주요한 관심사임.

 미세먼지(PM2.5, PM10) 내 탄소(C)와 질소(N)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오염 기원을 밝히기 위한 연구(Gorka et al., 2014; Lopez-Veneroni, 2009;

Widory, 2007)가 시작되고 있음

 금속원소인 Pb 동위원소를 통해 미세먼지 오염기작 및 기원을 밝히기 위 한 연구가 일부 존재하나(Widory et al., 2010; Chen et al., 2006, Graney et al., 2017), 주로 차량기원(vehicle exhaust)에 영향을 받는 대도시 위주 의 연구결과임

 미세먼지는 복합적인 오염원이 존재하며 발생기작이 다르므로, 이를 추적 하기 위한 금속 안정동위원소에 대한 연구결과는 없음

2. 미세먼지 생성기작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