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남북한 직업교육훈련의 환경

각종 정책과 업무는 그 과정과 결과에서 환경(environment)적인 요인 이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이다.15) 남 북한의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교류 및 협력도 예외가 아니라서 국내외 의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군사·국제 관계 등의 많은 환경적 변수에 따라서 영향을 받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활 발한 교류 및 협력이 이루어 질 경우는 그 반대로 다른 분야에 영향을 주게 될 수도 있다. 즉 남북한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교류 및 협력은 환 경적 요인과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긴밀한 관계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남북한간의 직업교육훈련 분야의 교류 및 협력 은 그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주로 남북한간의 직업교 육훈련 분야에서 교류 및 협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환경적 요인 을 검토하고자 한다.

15) 가우스(J. Gaus, 1947)는 생태적 요소들이 어떻게 정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 해하기 위해서는 환경을 관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사회적 요인을 중시하였 는데, 이는 통일을 대비하여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정책을 연구하는데 많은 시사점 을 주고 있다. 주요 내용을 보면, (곽효문, 1995; 박성복·이종렬, 1994). 첫째, 사람 (people)과 장소(place), 둘째, 물리적 기술(physical technology), 셋째, 사회적 기술 (social technology), 넷째, 욕구와 아이디어(wishes and ideas), 다섯째, 재난 (catastrophe), 여섯째, 인성(personality) 등이다. 일반적인 정책에서 보면, 정책환경 의 특징으로 F. Emery와 E. Trist는 환경의 변화를 진화론적인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다(F. E, Emery & E. L. Trist, 1965). 이들에 의하면 환경은 첫째, 정적·임의적 환경(placid randomized environment) 둘째, 정적·집단적 환경(placid clustered environment) 셋째, 혼란·반응적 환경(disturbed-reactive environment) 넷째, 소용돌 이의 장(turbulent field) 등의 네 단계의 진화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특히 소용돌 이의 장에서는 동태적인 과정이 일어나며, 여기에서는 구성원들의 교호작용에 의해 서 뿐만 아니라 환경 안에서의 토착적인 과정에 의해서도 변화가 일어나고, 상호 작용의 복잡성과 급속한 변화는 구성원들로 하여금 예측을 곤란하게 하고, 자기 행 동의 영향을 통제하기 곤란하게 하는 상태가 나타난다고 한다(조석준, 1986).

가. 경제지표와 산업구조

북한경제는 1990년대 들어서면서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전환된 이래 1998년까지 9년간 연속 마이너스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199 5~1997년을 ‘고난의 행군시대’, 1998년을 ‘사회주의 강행군의 해’라고 북한 스스로 명명한 것을 보아도 1990년대 후반 들어 북한의 경제난이 최악의 상태였음을 알 수 있다(박석삼, 2000). 그러나 1998년 중 북한의 경제 성장률(실질GDP 기준)은 -1.1%로 1990년 이후 연속 9년째 감소 추세가 지속되었으나 전년(-6.8%)에 비해서는 감소세가 둔화되었다.

1999년에 들어와서는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은 식량생산증가와 남한 을 비롯한 국제 사회의 지원 확대 등에 힘입어 전년에 비해 6.2% 증가 하였다.

<표 Ⅱ-1> 남북한 경제 성장률 추이

(단위: %) ’94 ’95 ’96 ’97 ’98 ’99 북한 GDP 성장률

남한 GDP 성장률

-2.1

<8.3>

-4.1

<8.9>

-3.6

<6.8>

-6.3

<5.0>

-1.1

<-6.7>

6.2

<10.7>

농 림 어 업 2.7 -10.4 0.5 -3.8 4.1 9.2 제 조 업 -3.7 -5.2 -8.9 -16.8 -3.1 8.5 건 설 업 -26.9 -3.2 -11.8 -9.9 -11.4 24.3 서 비 스 업 2.4 1.7 1.1 1.3 -0.5 -1.9 ( 정 부 ) (3.3) (2.8) (1.8) (2.2) (-0.3) (-4.5)

* 자료: 북한의 GDP 추정결과(2000), 한국은행.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남북한 교류 및 협력의 환경과 기본전제 21

- 1 0 - 5 0 5 1 0 1 5

9 0 9 1 9 2 9 3 9 4 9 5 9 6 9 7 9 8 9 9

남 한 G D P 성 장 률

북 한 G D P 성 장 률 ( % )

[그림 Ⅱ-1] 남북한 GDP성장률 비교

9년 연속 마이너스 경제 성장으로 인한 북한의 인적자원 유실 상황 은 남한의 경험을 통해 실감할 수 있다. IMF 경제관리 체제하에서 1998년 한해동안 -6.7% 성장률에 실업률이 전년보다 4.2%p 상승(91만 명)하였던 남한의 상황을 동일하게 북한에 적용하는 경우, 1990년부터 1998년까지 9년 연속 마이너스 경제 성장을 보인 북한경제는 1998년말 현재 24%의 실업률에 실업자 수는 약 280만명으로 추산할 수 있다.16)

<표 Ⅱ-2> 북한의 실업률 추정

(단위: %) 199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실업률

(1998) 경제 성장률(%) -3.7 -5.2 -7.6 -4.2 -1.8 -4.6 -3.7 -6.8 -1.1 - 전년대비 실업률

증가(%p) 2.3 3.3 4.8 2.6 1.1 2.9 2.3 4.3 0.7 24.3%

(277만명)

*자료: 한국은행(1999).

16) 경제활동인구를 1,140만명(1995년 기준)으로 전제

다음으로 북한의 산업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농림어업은 어업이 5.4% 증가하고, 재배업은 양호한 기상여건과 재배 면적 확대 및 외국의 비료 지원 증대 등으로 10.1% 증가하였다. 축산업 도 식량난 해결을 위한 소·돼지 및 염소 등의 사육장려로 16.1% 늘어나 전체적으로 전년(4.1%)보다 증가세가 크게 확대된 9.2% 성장하였다.

광업은 전력난 타개 및 부존자원 개발 노력 강화 등으로 석탄생산이 14.0% 증가하고, 철광석 및 동광석 등 금속광물 생산도 14.6% 증가하 여 전체적으로 14.1% 증가하였다.

제조업은 에너지 및 원자재의 공급 확대와 중공업 부문의 관리 개선 을 통하여 침체된 제조업 부문의 생산을 정상화시키는데 초점을 둠으 로써 중화학공업 생산이 11.6% 늘어나고, 경공업의 생산도 2.4% 늘어 나 전체로는 8.5% 증가하였다.

전기·가스·수도업은 전력공업의 중요성 강조 등으로 발전 설비의 보 수 및 정비에 주력하여 화력발전(22.7%) 및 수력발전(0.8%)이 늘어난 데다 가스 및 수도업도 늘어나 전체적으로 6.8% 증가하였다.

건설업은 주택 건설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다 발전소 건설 및 나진·

선봉지역의 개발확대 등으로 토목 건설도 크게 늘어나 전체로는 24.3%

증가하였으나 건설 활동은 ’96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업(10.0%) 및 운수업(7.6%)이 농림수산물 및 광·공 산품 등의 물동량 증가로, 음식·숙박업(15.6%)은 관광객 증가로 각각 높 은 성장률을 나타내었으나, 비중이 큰 정부 부문(-4.5%)이 관리 행정부 문 종사자수 감소 등으로 큰 폭 감소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1.9% 감소 하여 전년(-0.5%)보다 감소 폭이 확대되었다. 남북한의 산업구조를 비 교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남북한 교류 및 협력의 환경과 기본전제 23

<표 Ⅱ-3> 남북한의 산업구조

(단위: 명목기준) 북 한 남 한

’97 ’98 ’99 ’98 ’99

농 림 어 업 28.9 29.6 31.4 4.9 5.0 광 공 업 25.5 25.6 25.6 31.2 32.2 전 기 가 스 수 도 업 4.3 4.2 4.5 2.4 2.6

건 설 업 6.3 5.1 6.1 10.1 8.8

서 비 스 업 35.0 35.6 32.4 51.2 51.4 국 내 총 생 산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북한의 GDP추정결과, 한국은행(2000).

1999년 중 북한 경제의 각 산업부문별 현황을 정리해 보면, 농업·건 설 부문을 중심으로 경제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철강·화학·운수 부문에 서도 경제사정이 나아지고 있다. 이를 한국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북한 GDP 추정결과’의 산업별 성장률 시계열과 함께 살펴보면, 1999년에는 북한 경제가 10년만에 처음으로 플러스 성장률을 나타내었다.

<표Ⅱ-4> 북한의 산업별 경제 성장률 추이

(단위: %) 90 93 95 96 97 98 99 농림어업 -10.2 -7.6 -10.5 1.0 -3.9 4.2 ○ 광공업 -2.9 -3.2 -4.6 -9.6 -15.6 -4.1 △ 광업 -8.5 -7.2 -2.3 -11.8 -11.8 -6.6 ― 제조업 -1.5 -1.9 -5.3 -8.9 -16.8 -3.3 △ (경공업) (-6.2) (5.0) (-4.0) (-7.1) (-12.0) (-1.1) △ (중화학공업) (-0.4) (-4.2) (-5.9) (-9.7) (-18.7) (-4.3) △ 전기가스수도업 -2.2 -8.7 0.1 -7.8 -9.6 -9.3 ― 건설업 5.9 -9.7 -3.2 -11.8 -9.9 -11.4 ○ 서비스부문 0.3 1.2 1.5 0.8 1.1 -0.7 ―

(정부) (1.2) (2.3) (2.8) (1.7) (2.2) (-0.3) (기타) (-1.1) (-0.5) (0.7) (-0.7) (-1.0) (-1.4)

국내총생산(GDP) -3.7 -4.2 -4.6 -3.7 -6.8 -1.1 +전환

*범례: ○: 호전, △: 다소 호전, ―: 현상유지

*자료: 한국은행, “북한GDP 추정결과”, 각년호.

이와 같은 북한 경제의 회복은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과 남북경협사 업 활성화에 힘입은 바 크지만, 농수축·철도수송·철강·건설부문 등을 중 심으로 상당폭의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대내경제 상황이 경기 저점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 경제가 경기 저점을 통과하여 1999년 중 상당폭의 경제 성장을 이루었다고 하더라도 이는 1990년부 터 1998년까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보여온 북한 경제로서는 최악 상태를 벗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나. 남북한의 경제력 비교

1999년 중 북한의 경제 규모(명목GNI)는 18조 7,410억원으로 남한의 약 1/26 수준이다. 1999년 중에는 북한의 경제 성장률이 큰 폭의 회복 세를 나타내었으나, 남한의 경제 성장률에는 못 미쳐 경제 규모의 남·

북한간 격차는 전년보다 다소 확대되고 있다. 1999년 중 북한의 1인당 국민소득(GNI)은 84.9만원으로 남한의 약 1/12 수준이다.

<표 Ⅱ-5> 남·북한 간의 경제 규모 및 1인당 GNI 비교

북한 (A) 남한 (B) B/A(배)

’98 ’99 ’98 ’99 ’98 ’99

명목 GNI (10억원) 17,597.2 (4.7)

18,741.0 (6.5)

437,871.4 (-2.9)

478,250.9 (9.2)

24.9 25.5

(억달러) 126 158 3,130 4,021

1인당 GNI (만원) 80.2 84.9 943.1 1,020.6 11.8 12.0 (달러) 573 714 6,742 8,581

인 구 (천명) 21,942 22,082 46,430 46,858 2.1 2.1

* 주: ( )내는 전년 대비 증감률(%)

* 자료: 북한의 GDP 추정 결과(2000), 한국은행.

직업교육훈련 분야에서 남북한 교류 및 협력의 환경과 기본전제 25 1999년 중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14억 8천만 달러로 남한의 약 1/178 수준이다. 1999년 중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수입이 9.1% 증가 하였으나 수출이 7.1% 감소하여 전년에 비해 2.8% 증가에 그침에 따라 대외무역 규모의 남북한간 격차는 전년보다 더욱 확대되고 있다.

다. 북한의 노동 구조 및 정책

북한의 노동 정책은 강제적인 노동 동원을 통하여 경제 성장을 추구 하면서 한편으로는 주체사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노동력 구조에서는 우리보다는 물론이고 다른 사회주의 국가보다도 높 은 경제활동 참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북한 이 외국기업에 대해 요구하고 있는 임금수준은 평균적으로 약 150달러 수준으로서 우리의 임금수준보다는 낮으나 중국이나 동남아 등 북한의 해외투자유치 경쟁국에 비하여는 높은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고용과 해고에 있어서도 우리 기업이 자유로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반드 시 북한의 고용 기관을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대북 투자사업이 본격화 되는 단계에서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단순노동자 뿐만 아 니라 어느 정도의 숙련공이나 기능공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인 바, 그 경 우 북한 노동력의 질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대북 투자가 북한 의 노동력의 이용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북한 노동력의 수준이 대북 투 자 결정의 가장 중요한 고려 요인의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에서 임금은 직종에 따라 다르며 같은 직종이라도 등급, 노 동 조건에 따라 차등이 있다. 북한은 이를 ‘생활비 등급제'라고 하며 사 회주의 노동법 제38조는 국가기관이나 기업소는 생활비 등급제와 생활 비 지급원칙에 입각하여 노동자들에게 생활비를 정확히 지급하여야 한 다고 규정하고 있다(조성호, 1996). 생활비 등급제는 노동 종류와 기능 등급에 따라 생활비를 산정하고 있는 ‘생활비표' 및 산업 부문별 ‘직종 기능등급표'와 ‘기능등급사정기준표'에 의거하여 운영된다. 북한 임금 구조의 일반적인 특징을 보면, 중노동이 경노동보다 높은 보수를 받으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