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 북한지역 6대 보호지역 자연환경

◾북한지역 6대 보호지역이 포함되는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자연환경 현황을 분석함

­북한 6대 보호지역: 백두산, 칠보산, 묘향산, 장수산, 구월산, 금강산[그림 14]

­6대 보호지역이 위치하고 인접된 행정구역을 대상으로 표고, 산지경사 분석

[그림 14] 북한지역 6대 보호지역 분포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3-3. 북한 자연환경 현황

◾백두산 보호지역

­백두산이 포함되는 행정구역은 삼지연군으로 표고는 최소 842m, 최대 2,589m, 평균 1,471.3m 이고[그림 15] 산지경사는 평균 4.1°이고 최대 49.2°임[그림 16]

[그림 15] 백두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표고(단위:m)분포

[그림 16] 백두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산지경사(단위:°) 분포

­토지피복 7가지 유형 중[그림 17] 산림지역이 삼지연군 전체 면적의 94%를 차지하고 농경지, 나지가 각각 2.9%, 2.1% 차지하고 초지, 시가화건조지역, 수역, 습지는 1% 미만으 로 분포함[표 3]

[그림 17] 백두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토지피복도

피복유형 비율 면적(㎢)

산림지역 94.0% 1,296.7

농경지역 2.8% 39.6

나지 2.1% 29.6

초지 0.7% 9.2

시가화건조지역 0.3% 4.0

수역 0.1% 1.0

합계 100% 1,380.2

[표 3] 백두산 보호지역 피복유형별 면적분포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3-3. 북한 자연환경 현황

◾칠보산 보호지역

­칠보산이 위치하고 인접된 행정구역은 화성군, 명천군, 길주군으로 표고는 최소 0m, 최대 1,900m, 평균 540m이고[그림 18] 산지경사는 평균 8.7°이고 최대 57.4°임[그림 19]

[그림 18] 칠보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표고(단위:m)분포

[그림 19] 칠보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산지경사(단위:°) 분포

­토지피복 7가지 유형 중[그림 20] 산림지역이 화성군, 명천군, 길주군 전체 면적의 82.6%를 차지하고 농경지, 시가화건조지역이 각각 15.2%, 1.3% 차지하고 나지, 수역, 초지, 습지는 1% 미만으로 분포함[표 4]

[그림 20] 칠보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토지피복도

피복유형 비율 면적(㎢)

산림지역 82.6% 2,137.8

농경지역 15.2% 393.9

시가화건조지역 1.3% 34.7

나지 0.4% 9.3

수역 0.3% 7.1

초지 0.2% 5.2

습지 0.0% 0.0

합계 100%  2,588.0

[표 4] 칠보산 보호지역 피복유형별 면적분포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3-3. 북한 자연환경 현황

◾묘향산 보호지역

­묘향산이 위치하고 인접된 행정구역은 향산군, 희천군, 구장군으로 표고는 최소 30m, 최대 1,886m, 평균 384.9m이고[그림 21] 산지경사는 평균 9.1°이고 최대 48.7°임[그림 22]

[그림 21] 묘향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표고(단위:m)분포

[그림 22] 묘향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산지경사(단위:°) 분포

­토지피복 7가지 유형 중[그림 23] 산림지역이 향산군, 희천군, 구장군 전체 면적의 74.9%를 차지하고 농경지, 시가화건조지역이 각각 22.0%, 1.3% 차지하고 나지, 수역, 초지, 습지는 1% 미만으로 분포함[표 5]

[그림 23] 묘향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토지피복도

피복유형 비율 면적(㎢)

산림지역 74.9% 1,155.3

농경지역 22.0% 340.0

시가화건조지역 1.3% 19.7

나지 1.0% 15.6

수역 0.8% 13.1

초지 0.0% 0.2

습지 0.0% 0.0

합계 100% 1,543.9

[표 5] 묘향산 보호지역 피복유형별 면적분포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3-3. 북한 자연환경 현황

◾구월산 보호지역

­구월산이 위치하고 인접된 행정구역은 삼천군, 신천군으로 표고는 최소 5m, 최대 604m, 평균 110.8m이고[그림 24] 산지경사는 평균 4.1°이고 최대 49.2°임[그림 25]

[그림 24] 구월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표고(단위:m)분포

[그림 25] 구월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산지경사(단위:°) 분포

­토지피복 7가지 유형 중[그림 26] 농경지역이 삼천군, 신천군 전체 면적의 58.9%를 차지 하고 산림지역, 나지, 수역, 시가화건조지역이 각각 33.4%, 5.2%, 1.4%, 1.1% 차지하고 습지가 1% 미만으로 분포함[표 6]

[그림 26] 구월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토지피복도

피복유형 비율 면적(㎢)

농경지역 58.9% 369.7

산림지역 33.4% 209.3

나지 5.2% 32.6

수역 1.4% 8.6

시가화건조지역 1.1% 6.9

습지 0.0% 0.0

합계 100% 627.1

[표 6] 구월산 보호지역 피복유형별 면적분포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3-3. 북한 자연환경 현황

◾장수산 보호지역

­장수산이 위치하고 인접된 행정구역은 재령군, 은파군으로 표고는 최소 3m, 최대 595m, 평균 60.1m이고[그림 27] 산지경사는 평균 2.9°이고 최대 38.2°임[그림 28]

[그림 27] 장수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표고(단위:m)분포

[그림 28] 장수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산지경사(단위:°)분포

피복유형 비율 면적(㎢)

농경지역 71.2% 501.1

산림지역 20.6% 144.6

수역 3.9% 27.4

나지 2.8% 19.9

시가화건조지역 1.5% 10.6

습지 0.0% 0.2

합계 100% 703.8

[표 7] 장수산 보호지역 피복유형별 면적분포

­토지피복 7가지 유형 중[그림 29] 농경지역이 재령군, 은파군 전체 면적의 71.2%를 차지 하고 산림지역, 수역, 나지, 시가화건조지역이 각각 20.5%, 3.9%, 2.8%, 1.5% 차지하고 습지가 1% 미만으로 분포함[표 7]

[그림 29] 장수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토지피복도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3-3. 북한 자연환경 현황

◾금강산 보호지역

­금강산이 위치하고 인접된 행정구역은 금강산, 고성군으로 표고는 최소 0m, 최대 1,617m, 평균 609.4m이고[그림 30] 산지경사는 평균 9.8°이고 최대 54.9°임[그림 31]

[그림 30] 금강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표고(단위:m)분포

[그림 31] 금강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산지경사(단위:°)분포

­토지피복 7가지 유형 중[그림 32] 산림지역이 금강산, 고성군 전체 면적의 86.7%를 차지 하고 농경지역이 11.5% 차지하고 수역, 시가화건조지역, 초지, 나지가 1% 미만으로 분포 함[표 8]

[그림 32] 금강산 보호지역 행정구역 토지피복도

피복유형 비율 면적(㎢)

산림지역 86.7% 1,439.6

농경지역 11.5% 190.4

수역 0.7% 11.5

시가화건조지역 0.4% 7.4

초지 0.4% 6.7

나지 0.3% 5.3

합계 100% 1,660.9

[표 8] 금강산 보호지역 피복유형별 면적분포

Ⅲ. 한반도 생태축 단절 분석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