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섬진달래
◾
섬진달래가 포함된 진달래속(Rhododendron
)에 대한 연구는 분류 및 생태, 염색체, 분자마커를 통한 계통분류, 해부학적 형질을 포함한 형태 분류학적 연구가 수행된 바 있음[표 3]◾
섬진달래의 국내․외 연구는 2015년 처음으로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된 이래 현재까지 국내 섬진달래 집단에 대한 계통분류, 생태, 유전 등의 연구가 전무함◾
섬진달래 서식지 식생조사 연구는 전무하며, 분자계통 및 세포분류학적 연구를 통한 일본 집단 내 자생하는 분류군들과 종내 집단 간 개체 변이 연구가 필요함번호 제목 저자 연도 출판사 주제
1
On taxonomy, phytosociology, and ecology of some Korean
Rhododendron
speciesDostalek 등 1988 Flora 분류 및 생태
2 Chromosome numbers of some
tropical
Rhododendron
(sectionVireya
) Atkinson 등 2000 Edinburgh Journalof Botany 염색체
3
The molecular systematics of
Rhododendron
(Ericaceae): A phylogeny based upon RPB2 genesequences
Goetsch 등 2005 Systematic Botany 계통분류
4 한국 미기록 식물: 섬진달래(진달래과) 양종철 등 2015 식물분류학회지 분류
5
Morpho-anatomical characterization of
Rhododendron subsessile
Rendle, an endangered species of the CordilleraCentral Range, Philippines
Bitayan 등 2021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형태분류 [표 3] 섬진달래 국내·외 연구 문헌자료
1) On taxonomy, phytosociology, and ecology of some Korean Rhododendron species (Dostalek et al., 1988)
◾
북한 지역 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L.) 5종(R. aureum
- 노랑만병초,R. dauricum
- 산진달래,R. mucronulatum
- 진달래,R. parvifolium
- 황산차,R. schlippenbachii
- 철쭉나무)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및 생태적 환경을 기재하였음◾
1984년 5월에서 7월까지 북한 지역 내 자생하는 진달래속 분류군들의 토양 이화학적 분석을 동 반한 생태 조사 결과(식물상 및 식생조사)를 자세하게 기재하였음◾
황산차(Rhododendron parvifolium
)의 종 이하 분류체계에 대한 형태분류학적 조사 결과,R.
parvifolum
subsp.parvifolium
과R. parvifolium
subsp.alpinum
은 독립된 아종으로 구분되 어야 함을 제시함2) Chromosome numbers of some tropical Rhododendron (section Vireya) (Atkinson et al., 2000)
◾
진달래속(Rhododendron
L.)Vireya
절에 속하는 27종의 염색체 수를 확인하여 보고하였으며, 23종의 염색체 수를 최초로 기재하였음◾
현재까지 섬진달래(Rhododendron keiskei
Miq. var.hypoglaucum
Suto & Suzuki)의 염색체 수는 보고된 바 없으며, 본 논문에서 진달래속 분류군들의 전반적인 염색체 수 확인 결과, 기본염색체 수x
= 13인 2배체(2n
= 26)가 모든 종들에서 보고되었음◾
다배체 현상은 진달래속Vireya
절내 분류군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수체 현상 (2n
= 30)이 1972년에 보고된 바 있으나, 실체가 불명확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음3) The molecular systematics of Rhododendron (Ericaceae): A phylogeny based upon RPB2 gene sequence (Goetsch et al., 2005)
◾
세계산 진달래속에 포함되는 87종을 대상으로 핵DNA 부분의 RPB2 유전자 염기서열을 활용한 분자계통분석을 수행하였음◾
섬진달래의 원종인Rhododendron keiskei
Miq. var.keiskei
는Rhododendron
절에 포함되나, 절내 속한 분류군들이 단계통군(monophyletic group)을 형성하지 않는 바,Rhododendron
절의 분류학적 재논의가 요구됨◾
진달래속 분류군들의 화서의 특징을 포함한 형태학적 형질과 분자계통분계도의 형질 진화 방향성이 논의 되었으며, 분자계통분계도와 형태형질과의 불일치성이 보고됨4) 한국 미기록 식물: 섬진달래(진달래과) (양종철 등, 2015)
◾
한국 미기록 식물인 섬진달래(Rhododendron keiskei
Miq. var.hypoglaucum
Suto &Suzuki (Ericaceae)를 국내 최초로 보고하여 기재하였음
◾
최근 국내 전라남도 여수시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음◾
분류군 식별 형질로는 산형총상화서를 보이며, 화관은 노란색을 띠는 백색에 외부에는 인편상 털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한국에 분포하는 진달래속과는 구분됨◾
섬진달래의 형태학적 특징을 기재하고 도해하였으며, 진달래속내 검색표를 제시하였음5) Morpho-anatomical characterization of Rhododendron subsessile Rendle, an endangered species of the Cordidllera Central Range, Philippines (Bitayan et al., 2021)
◾
필리핀, Cordillera Central 지역 내 멸종위기 분류군으로 알려진Rhododendron subsessile
의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기재하였음◾ R. subsessile
의 독특한 생식형질을 처음으로 보고하였으며, 잎 및 줄기의 해부학적 형질을 처음으로 관찰 및 기재하였음◾
해부학적 형질 기재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멸종위기종인R. subsessile
의 종 보전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음나. 실비녀골풀
◾
실비녀골풀의 국내․외 연구는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계통분류연구, 염색체 연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근거로 제시된 분류학적 연구가 있음[표 4]◾
실비녀골풀은 국내 지리산국립공원 암벽에 고립되어 생육하며, 국내 실비녀골풀의 보전적 관점의 유전적 다양성 및 생태학적 연구는 수행된 바 없음◾
실비녀골풀 서식지 생육환경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염색체 연구는 한국산 골풀속 전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나, 실비녀골풀의 염색체 수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음번호 제목 저자 연도 출판사 주제
1 한국산 골풀속(골풀과) 식물들의 식별 형질 김성민과
김상태 2013 식물분류학회지 분류
2
A survey of karyological phenomena in the Juncaceae with emphasis on chromosome number variation and
evolution
Drabkova LZ 2013 The Botanical
Review 염색체
3 동북아시아산 골풀속(골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장창석 2016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계통분류
4 한국산 골풀속의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장창석과
오병운 2016 식물분류학회지 분류
5 한국산 골풀속(
Juncus
J.) 분류군의세포유전학적 및 미세형태학적 연구 최영민 2020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세형태 [표 4] 실비녀골풀 국내․외 연구 문헌자료
1) 한국산 골풀속(골풀과) 식물들의 식별 형질 (김성민과 김상태, 2013)
◾
한국산 골풀속 14 분류군들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지하경, 잎, 화서, 꽃, 과실, 종자)을 조사함◾
국내 자생하는 골풀속 14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종자의 모양 및 표면 무늬를 관찰 및 기재함◾
생태적 특성 및 외부형태학적 형질들을 근거로 한국산 골풀속 분류군의 검색표를 작성하였음◾
실비녀골풀의 종자 형태는 좁은 타원형이며, 부속체가 발견되었으나 자세한 종자 표면 무늬에 대한 기재가 미흡함2) A survey of karyological phenomena in the Juncaceae with emphasis on chromosome number variation and evolution (Drabkova, 2013)
◾
골풀속 분류군들이 속한 벼목(Poales)은 전장염색체(holocentric chromosome), 이수체 및 다배체 현상을 동반한 염색체 재배열이 빈번하게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골풀과(Juncaceae)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염색체 수를 파악하고 다배체 현상이 발견되는 종들을 기재하였음◾
골풀속 분류군들은 2n
= 18부터 2n
=170까지의 염색체 수가 보고되었으며, 2n
= 80의 염색체 수가 가장 빈번하게 관찰됨◾
골풀속 분류군들의 기본염색체 수(base chromosome number)는x
= 10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수체현상(aneuploidy)으로 인한 염색체 수 변이가 다수의 분류군에서 발견되었음◾
실비녀골풀의 염색체 수에 대한 정보는 현재까지 전무함3) 동북아시아산 골풀속(골풀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장창석, 2016)
◾
동북아시아산 골풀속 24분류군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해부학적 및 분자계통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분류군들 간의 유연관계 및 진화경향성을 고찰하였음◾
nuclear rDNA의 ITS구간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동북아시아산 골풀속 분류군들에 대한 분자계통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존의 형태학적 형질의 분류체계와 불일치 결과를 도출함◾
외부형태학적 형질(지하부 구조, 줄기의 단면, 꽃의 개화 방향, 화서의 유형, 삭과의 모양 및 단면, 종자의 부속체 존재 유무)을 기반으로 동북아시아산 골풀속 분류군들의 분류체계를 설정함◾
종합적인 분류학적 처리 결과, 동북아시아산 골풀속은 2아속 7절 19종 5아종의 24분류군으로 정리되었으며, 검색표 및 기재문을 작성하였음4) 한국산 골풀속의 해부학적 형질에 의한 분류학적 연구 (장창석과 오병운, 2016)
◾
한국산 골풀속 19 분류군을 대상으로 해부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증하였음◾
해부학적 형질 중 줄기의 유관속, 섬유, 기도의 배열 양상과 잎의 형태, 유관속 및 유조직의 배열 양상, 삭과에서 태좌의 발달 정도가 한국산 골풀속의 분류체계 적용에 유용한 형질이었음◾
해부학적 형질은 종 수준의 진단 형질보다, 절(section) 수준의 분류 체계 설정에 유용하였음5) 한국산 골풀속( Juncus L.)의 세포유전학적 및 미세형태학적 연구 (최영민, 2020)
◾
한국산 골풀속 10분류군을 대상으로 염색체 수 파악, 미세형태학적 형질 분석, 화분학적 형질의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증함◾
한국산 골풀속 분류군들의 염색체 수 확인 결과, 2n
= 40의 2배체가 많은 종에서 관찰되었으며, 3배체(2n
= 60), 4배체(2n
= 80) 분류군들도 확인됨. 영양 형질(잎 및 줄기)의 표피 미세구조 관찰 결과, 공변세포의 크기, 표피세포의 형태, 각피층의 표면 무늬가 종간 진단 형질에 유용함◾
한국산 골풀속 모든 분류군에서 4립의 화분립이 관찰되었으며, 화분의 표면 무늬는 종간의 진단 형질에 유용하지 않음다. 왕다람쥐꼬리
◾
왕다람쥐꼬리의 국내·외 연구는 식물상 조사와 분자계통학적 연구가 수행되었으나[표 5] 종과 종의 서식지를 대상으로 보전적 관점에서 진행한 연구는 전무함◾
국내 연구는 동북아시아 뱀톱속(Huperzia
)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지리산국립공원과 제주도의 한라산국립공원에 왕다람쥐꼬리의 분포를 제시함◾
국외 연구로는 왕다람쥐꼬리가 포함된 석송과 식물에 대한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분류학적 위치를 제시함1) 동북아시아 뱀톱속( Huperzia s.s)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임진아, 2015)
◾
학자간 견해의 차이를 보이는 동북아시아 뱀톱속 식물의 분류학적 한계를 명확히 하고 계통과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진행함◾
뱀톱속 식물은 무성아를 생성하며 엽록체 DNA 규치, matK, psbA-trnH IGS를 이용한 분자계통 분석결과 단계통을 형성하여 무성아를 생성하지 않는 뱀톱속(=Phlegmariurus
속) 식물과 별도의 계통을 형성함을 확인함◾
왕다람쥐꼬리는Huperzia
속과 구분되는Phlegmariurus
속에 속하는P
.cyptomariena
으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 결과를 나타냄번호 제목 저자 연도 출판사 주제
1 동북아시아 뱀톱속(Huperzia s.s) 식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임진아 2015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계통분류
2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morphology of the Lycopodiaceae subfamily
Huperzioideae supports three genera:
Huperzia
,Phlegmariurus
andPhylloglossum
Field 등 2015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계통분류
3 지리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상 권재환 등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분류,
종다양성
4 제주도의 양치식물상 문명옥 2007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분류, 종다양성 [표 5] 왕다람쥐꼬리 국내·외 연구 문헌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