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연구 방법
7. 독립변수 설정
7-1. 의학적 요인
1) 성별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의미를 포함한 성별(gender)이 아닌 생물학적/
의학적 기준의 성별(sex)을 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2) 연령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시점에서의 연령 측정이 가능하다 (수술 시점, 전내시경 시점, 후내시경 시점). 앞서 연구 모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65세 이상 고령의 기준은 전내시경 시점을 기준으로 한다. 이유는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변수가 결국 ‘금식 약속에 대한 순응’이므로 수술 시점보다 첫 내시경 시점에서의 나이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3) 수술 방법
수술 방법은 위암의 병기 정보를 포함한다. 위암의 병기 정도에 따라 수술의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위암의 병기 및 수술 방법은 매우 중요한 비뚤림 인자가 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첫 환자군 선정 과정에서부터 수술 방법을 아전절제술과 원위절제술만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므로 통계 분석에서 수술 방법은 배제가 가능하다.
4) 문합 방법
동일한 수술 방법에서도 여러 가지 문합 방법이 가능하다. 이중 임상에서 쓰이는 네 가지 문합방법을 기술적 통계결과에 사용하였으며, 생리학적으로 비슷한 두 개의 수술법 (Billoth-II와 Roux-en-Y 수술 법을 한 종류로 묶어서 이후의 단변수/다변수 분석에 사용하였다.
5) 암의 병기
기술한 바와 같이 이미 수술 방법을 한 가지로 통일하였으므로, 진행성 위암은 본 연구에서 포함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암의 병기를 조기 위암 (early gastric cancer)과 진행성 위암 (advanced gastric cancer)로만 구분하기로 한다.
5) 수술후 항암치료 여부
수술 관련 정보로는 사실 상기의 정보 외에도 혈관 침범 여부, 절제연 침범 여부, 림프절 침범 여부 등의 다양한 요소가 개입된다.
그러나 이 모든 정보는 결국 수술후 항암치료를 했는지의 여부로 대변될 수 있으므로, 다른 수술 정보 대신 수술후 항암치료 여부를 대표 변수로 기입하도록 한다. 또한 항암치료 여부가 이후의 체중 감소나 소화 불량
등 여러 부작용에도 관여하므로, 항암 치료 여부를 대표 변수로 설정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6) 전내시경, 후내시경의 시술 회차
증명되지 않은 가설이나, 상식적 견지에서 볼 때 내시경 시술 회차가 늘어날수록 환자의 ‘준비 숙련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는 가설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기술 통계 및 요인 분석에서 내시경 시술 회차가 비뚤림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이 필요하다. 동일한 맥락으로 수술 시점에서 내시경 시점까지 걸리는 기간과, 전내시경-후내시경 간의 시간 간격도 측정, 분석하였다.
7) 음주 및 흡연
음주 행태는 일반적으로 금주 상태, 일반적인 (social) 음주 상태, 만성 음주 상태의 세 가지로 나뉘어진다. 기술 통계에서는 위의 3가지를 모두 제시하되, 요인 분석에서는 만성 음주 상태와 나머지 상태의 두가지로 나누었다. 동일한 맥락으로 흡연 상태 또한 무흡연, 금연, 현재 흡연의 세 가지 상태로 제시하되, 요인 분석에서는 현재 흡연 (current smoking)과 나머지의 두가지 상태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8) 수술 전 만성 소화장애 여부
위 수술과 상관 없이 기저에 소화 장애가 있는 환자는 이 요소가 비뚤림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평가 항목에 추가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후향적 연구이므로 소화장애가 환자의 주관적 느낌인지 실제 위장운동이 기저에 저하되어 있는 것인지는 측정할 수 없었다.
7-2. 사회/경제적 요인
1) 결혼 상태
기술 통계에서는 미혼, 결혼, 동거, 이혼, 사별 등을 나누어서 제시하였으나, 요인 분석에서는 배우자 (사실혼 포함)와의 동거 여부가 중요하므로 미혼-이혼-사별을 기준 변수(0)로, 결혼-동거를 활동 변수(1)로 측정하였다.
2) 교육 정도
초졸 이하, 중졸, 고졸, 대졸, 대학원 이상으로 구분하여 기술하되 요인 분석은 중졸 이하와 고졸 이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비슷한 맥락으로 종교 또한, 대표적 종교들을 모두 기술하되 요인 분석 시에는 무교와 유종교 상태의 이분 변수를 사용하였다.
4) 보험 종류
환자의 연봉, 직업, 자산 등을 분석할 자료가 의무기록 상에는 없으므로, 보험 종류 (건강 보험, 의료급여 1종)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환자의 경제 상태를 측정하였다. 단점은, 극빈층과 중하층 이상이라는 두 계층만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5) 병원-자택 간 거리
포털 사이트의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소와 병원 간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단, 이 거리는 최소 거리가 아니라 지도 서비스에서 추천하는 최적화 도로 거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