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물플랑크톤 모니터링

English Channel)의 L4 station에서 매주 플랑크톤 중심의 장기모니터링 프로 그램을 운영하고 있음(Ducklow et al. 2009).

- 물리, 화학 및 생물(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요각류 알 생산력 등을 조 사항목에 포함하고 있음.

- 요각류 알 생산력과 개체군 변동 연구는 우점 요각류인 Calanus spp.를 중심 으로 하고 있음.

그림 45. 영국 PML의 서부 영국해협의 L4 station

그림 46. 영국 PML의 L4 station의 플랑크톤 모니터링 프로 그램 웹페이지

○ 미국 스크립스해양연구소 Pier 샘플링

- 미국 스크립스해양연구소(SIO)는 연구소 Pier 시설을 이용하여 수십 년 전부 터 식물플랑크톤 채수 또는 네트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 가운데 규조류의 장기 시계열 시료에 대하여,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시기에 이 시료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박사 후 과정 공고를 낸 바가 있음.

- Pier 시설을 이용한 채집이지만, 장기 시계열 자료를 손쉽게 확보하여 기후변 화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종 조성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음.

○ 국립수산과학원은 1965년부터 정선관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격월로

동물플랑크톤 조사를 수행하고 있음. 그러나 수산자원의 먹이생물 변동 관점 에 치우쳐 있으며, 종수준의 동정이 되지 않아 환경 변화에 대한 해양생태계 변동 분석을 위한 자료 활용성에 한계가 있음.

○ 해양환경관리공단의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및 해수부 국가개발연구사업 ‘장기 해양생태계 연구’등에서 동물플랑크톤 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나, 해역별 조사시 기의 차이 및 생활사를 고려하지 않은 조사간격 등으로 동물플랑크톤의 구조 와 기능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제한이 있음.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는 2001년부터 현재까지 주(weekly) 간격으로 진해만 장목항의 고정점에서 물리, 화학, 동․식물플랑크톤을 장기 모니터링 중에 있음. 장기 변동 자료를 분석하여 외부 환경변화가 젤란틴질 동물플랑크 톤 증가 및 종 다양성, 개체군 변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음(그림 2, Jang et al., 2013; Jang, 2014).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

-1 0 1 2

-2 -1 0 1 2

-2 -1 0 1 2

-2 -1 0 1 2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2 -1

0 1 2 Annual

Spring Summer

Autumn Winter

2001 2002 2003 2004 20052006 2007 2008 2009 2010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0.6 0.8 1.0 1.2 1.4 1.6 1.8 2.0 2.2

(A) Diversity index (B)

그림 47. 진해만 고정점 중형동물플랑크톤 장기모니터링 주요 결 과

○ 해양생태계 및 수산자원의 미래 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태평양과 대서양의 연 안 및 대양 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장기모니터링(>10년)이 실시되었거 나 진행 중에 있음(표 4).

○ 미국의 스크립스 해양연구소가 1949년부터 조사하는 있는 CalCOFI(California Cooperative Oceanic Fisheries Investigations)가 북태평양의 대표적인 장기모 니터링 프로그램임(그림 3). 이 프로그램에서는 계절별(연 4회)에 걸쳐 캘리포 니아 해류역에 대한 물리, 화학, 플랑크톤, 어란 등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실 시하고 있음.

○ 영국은 Plymouth Marine Laboratory에서 Western English Channel의 고정

Program Start and end year Location

North Pacific

CalCOFI 1949-continuing(seasonal) California

Station PAPA 1956-continuing(3 times per year) North Pacific,50°N 145°W Newport,OR,USA Intermittentsince1969, continuous

since1996(5 times per year) Offshore transect at 44° 39.1′N(Oregon) Vancouver Island Shelf 1985-continuing(annual) South west shelf of Vancouver Island Odate plankton time-series 1951-continuing(monthly)

Western North Pacific

(Kuroshio,Oyashio,and transition region east of Japan)

Hokkaido University,Oshoro-Maru

time-series 1953-2001(annual)

Western and central Subarctic North Pacific,and Bering Sea(mostly along180°E)

Japan Meteorological Agency(JMA) 1967,1972-continuing(seasonal) Several transects in western North Pacific (all around Japanese water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Japan), fish egg

and larvae survey 1971-continuing(annual) Western subtropical North Pacific(including Kuroshio region) Hokkaido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A line monitoring 1987-continuing(5-8 times per year) Western Subarctic North Pacific (Oyashio region)

South Pacific

IMARPE zooplankton sampling 1964-continuing(seasonal) Peru coast and continental shelf Antofagasta zooplankton sampling 1991-2003 Northern Chile coast

IFOP zooplankton sampling 1985-continuing(seasonal) Northern Chile shelf North Atlantic

Continuous Plankton Recorder(CPR) 1931-continuing(monthly) North Atlantic Helgoland Roads 1974-continuing(daily to weekly) Southern NorthSea

Dove Marine Laboratory 1968-continuing Central-west North Sea

Stazione Zoologica Anton Dohrn;

Station MC 1984-continuing(weekly to

bi-weekly sampling) Gulf of Naples

Station C,western Mediterranean 1985-1995(weekly) Gulf of Tigullio,Ligurian Sea, western Mediterranean

Plymouth Marine Laboratory,

Station L4 1988-continuing(weekly) Western English Channel

Icelandic Monitoring Programme 1961-continuing(annual) Transect sradiating from Iceland Emerald Basin 1984-continuing(twice per year) Scotian Shelf, NW Atlantic MARMAP and Follow-up

Programme 1977-continuing(quarterly) NE United States continental shelf Station 2 1972-1997; 2002-continuing(weekly) Lower Narragansett Bay, RI, USA South Atlantic

Cape Routine Area Monitoring Programme,expanded in1961 to Southern Routine Area Monitoring Programme

1951-1961(monthly), 1961-1967(monthly)

Western Cape coast of South Africa, South western Cape coast of South Africa

Pelagic Fish Stock Assessment

surveys 1983-continuing(3 times per year) Most of South Africa’s west and south coasts

Walvis Bay Routine Area

Monitoring Programme 1957-1965(monthly) Namibian coast, vicinity of Walvis Bay

SWAPELS Programme 1972-1989(monthly) Namibian coast

Elephant Island 1977-continuing Elephant Island region of the Antarctic Peninsula

표 4. 중형동물플랑크톤 장기 모니터링 국외 현황

점(Station L4)을 대상으로 1988년부터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장기 모니터링을 주 간격으로 실시하는 하고 있음(그림 48). 특히, 이 프로그램은 자국 및 지중 해의 연안역 고정점 모니터링 프로그램들과 중형동물플랑크톤의 분석 자료를 정례적으로 상호 비교․검토하고 있음(그림 49).

그림 48. 미국 CalCOFI (왼쪽) 및 영국 Plymoth L4 (오른쪽) 장기 모니터링 정점

그림 49. 영국 및 지중해 연안 고정점들 간의 동물플랑크톤 자료 상호 비 교

○ Continuous Plankton Recorder(CPR)을 이용한 동물플랑크톤 장기모니터링 1931년부터 월 간격으로 북대서양과 북해에서 집중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그 림 50), 현재까지 CPR 자료를 이용한 논문이 100편 이상 발간되었음.

그림 50. Continuous Plankton Recorder(CPR)를 이용한 집중 조사해역

○ 일본은 해양기상청 및 국립수산연구원 주관 하에 북서태평양 인근해역과 홋 카이도 남쪽해역(A line)에서 각각 1972년과 1987년부터 물리, 화학 및 플랑크 톤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음(그림 51).

그림 51. 일본 국립수산연구원에서 1987년부터 조사한 홋카이도 A line 정점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