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매개효과 검증

Dalam dokumen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Halaman 34-39)

양육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 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단계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 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고 2단계에 독립변인이 매개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확인하며 3단계 매개변인이 독립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독립변인이 영향력이 감소하되 여전히 통계적으로 유의하 다면 부분매개효과를, 독립변인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으면 완전매개효과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세 번의 중다회귀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산출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 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림 2] 매개효과 검증 모형

1) 권위적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위 적 양육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권위적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위적 양육행 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결과는 표 10과 같다.

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단계

구분

B SE

β p R2

독립변인 종속변인

1단계 권위적 불안/우울 -.794 .171 -.129 .000 .017

2단계 권위적 자아존중감 .126 .031 .111 .000 .012

3단계

권위적

불안/우울

-.738 .171 -.120 .000

.023

자아존중감 -.451

.151 -.083 .003

1단계 권위적 위축 -.585 .099 -.163 .000 .027

3단계

권위적

위축

-.535 .099 -.149 .000

.042

자아존중감 -.400

.088 -.126 .000

1단계 권위적 신체증상 -.370 .110 -.094 .001 .009

3단계

권위적

신체증상

-.356 .111 -.090 .001

.010

자아존중감 -.114

.098 -.033 .246

p<.001

매개효과 검증 1단계에서 권위적 양육행동은 내재화 문제행동의 불안/우울에 미치 는 설명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β=-.129, p<.001), 위축에 미치는 설명력도 통계 적으로 유의하며(β=-.163, p<.001), 신체증상에 미치는 설명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β=-.094, p=.001). 2단계에서 권위적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설명력이

<표 11>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위주 의적 양육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단계

구분

B SE

β p R2

독립변인 종속변인

1단계 권위주의 불안/우울 .625 .145 .119 .000 .014

2단계 권위주의 자아존중감 -.075 .027 -.078 .005 .006

3단계

권위주의

불안/우울

.589 .145 .113 .000

.022

자아존중감 -.475

.151 -.087 .002

1단계 권위주의 위축 .514 .084 .168 .000 .028

3단계

권위주의

위축

.483 .084 .158 .000

.045

자아존중감 -.414

.087 -.130 .000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111, p<.001). 3단계에서 권위적 양육행동과 내재화 문제 행동의 불안/우울, 위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나 신체증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권위주의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 위주의 양육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권위주의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권위주의 양 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표 11과 같다.

<표 12> 허용적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허용적 양육 행동이 내재화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단계

구분

B SE

β p R2

독립변인 종속변인

1단계 허용적 불안/우울 1.138 .202 .156 .000 .024

2단계 허용적 자아존중감 -.126 .037 -.094 .001 .009

1단계 권위주의 신체증상 .279 .094 .083 .003 .007

3단계

권위주의

신체증상

.269 .094 .080 .004

.008

자아존중감 -.127

.098 -.036 .194

p<.001

매개효과 검증 1단계에서 권위주의 양육행동은 내재화 문제행동의 불안/우울에 미 치는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β=.119, p<.001), 위축에 미치는 설명력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며(β=.168, p<.001), 신체증상에 미치는 설명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β=.083, p=.003). 2단계에서 권위주의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β=-.078, p=.005). 3단계에서 권위주의 양육행동은 내재화 문 제행동의 불안/우울, 위축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증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허용적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허용 적 양육행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허용적 양육행동이 자아존중감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허용적 양육행 동과 내재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표 12와 같다.

3단계

허용적

불안/우울

1.082 .202 .148 .000

.031

자아존중감 -.448

.151 -.082 .003

1단계 허용적 위축 .807 .117 .189 .000 .036

3단계

허용적

위축

.757 .117 .177 .000

.051

자아존중감 -.400

.087 -.126 .000

1단계 허용적 신체증상 .357 .131 .076 .006 .006

3단계

허용적

신체증상

.342 .132 .073 .010

.007

자아존중감 -.125

.098 -.036 .202

p<.001

매개효과 검증 1단계에서 허용적 양육행동은 내재화 문제행동의 불안/우울에 미치 는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β=.156, p<.001), 위축에 미치는 설명력이 통계적 으로 유의하며(β=.189, p<.001), 신체증상에 미치는 설명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β=.076, p=.006). 2단계에서 허용적 양육행동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설명력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β=-.094, p=.001). 3단계에서 허용적 양육행동은 내재화 문제행동 의 불안/우울, 위축과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신체증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5장 논의 및 결론

Dalam dokumen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분석- (Halaman 34-3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