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동안 큰 추위와 더위가 없는 운남은 식물이 자라는 데 아주 적합한 곳이다. 운남의 풍부한 식물은 이 지역민들의 생활에 큰 영향 을 주었다. 민국시기 운남의 지방지 자료에 따르면 이 지역의 식물 중 목재류는 62종이고, 그 중 학명의 과(科)처럼 분류한 나무는 소나뭇과
148) 董孟雄 等著, 雲南地區對外貿易史 (昆明: 雲南人民出版社, 1998), p.91.
149) 董孟雄 等著, 위의 책, p.189.
150)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 p.8. 광서 15년에서 선통 3년까 지의 년도 별 대석 수출액과 운남의 대석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대해서 는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 pp.8-12 참조.
151) 民國新纂雲南通志(四) 卷144, 商業考二 , p.11.
를 비롯해 6종이다. 6종 중에서도 대나무가 가장 많다. 작물류에서는 주로 벼를 비롯한 곡물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작물류의 특징 중 하나 는 대부분 자료에서 나무 혹은 화폐로 분류하는 茶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작물류에서 언급하고 있는 종류는 16종이고, 그 중 곡물이 벼 를 비롯해 9종이다. 소채류는 43종이다. 과실류는 나무만 언급한 게 아 니라 풀도 함께 다루고 있는 게 특징이다. 과실류는 자두나무를 비롯 하여 40종이다. 그 중 나무가 44종이고, 나머지는 풀 종류이다. 화훼류 에서 언급한 식물은 114종이지만, 그 중에서는 우리나라 식물 이름으 로 대체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운남의 식물은 이 지역의 기후에 적합할 뿐 아니라 이 지역민들의 주요한 음식재료를 제공했다. 특히 가공식품이 없는 시대의 음식 재료 는 거주지의 식물에 절대적으로 기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식물의 종 류와 영양에 따라 거주민의 건강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고에 서는 이러한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지 않았지만, 중국 북동지역과 만주사이에 위치한 遵化州 사람들의 장수 비결이 다양한 식물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분석152)에서 알 수 있다.
지방지에 기록한 운남의 식물이 이 지역민들의 식생활에 미친 영향 은 식물을 약효로 바라본 지방지의 본초학적 시각에 기초한 것이다.
이 지역 인들은 경험을 통해 식물의 약효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그러 한 정보는 계승되면서 이 지역 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예컨대 오줌을 멈추게 하는 지뇨제로 사용한 은행나무 열매, 기름의 원료로 사용한 잣나무 열매 등은 이 지역 인들의 식생활에 필수였다. 그런데 이 시기 운남의 식물은 전적으로 토종만 존재한 게 아니라 아까시나무 (Black Locust)처럼 서양에서 수입한 것도 있었다.
운남 인들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 혹은 광물을 단순히 자급자족하지 않고 상품으로 생산․판매했다. 식물 혹은 광물 의 상품화는 시장과 유통망의 형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운남에서 가장 152) 마크 엘빈 지음, 정철웅 옮김, 앞의 책, pp.504-512 참조.
중요한 시장은 곤명이었지만 각 지역마다 5일장을 통해 다양한 상품이 매매되었다. 운남에서 생산한 상품은 운남은 물론 운남과 인접한 사천, 양광, 상해 등지로 판매되었다. 그런데 개항 이후 운남의 교역은 중국 국내를 넘어 외국과도 이루어졌다. 운남에서 수출한 상품은 주로 차와 약재였으며, 운남에서 수입한 상품은 주로 목화와 견직물이었다. 운남 의 이러한 교역의 형태는 소비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이 지역의 경제수준이 상당히 낮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운남을 비롯한 각 지역의 자연생태와 사회생태 및 인문생태의 관계 에 대한 이해는 그 지역의 역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물 론 이러한 작업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루어져야하지만, 본고에서 는 사료 활용의 한계 때문에 성공적이지 못하다. 구체적인 사례는 운 남 인의 삶을 한층 생생하게 전달해 줄 府․縣志 자료의 활용을 통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The Natural Ecology and Economic and Trading Activity
in Unnam of the Republican China Age
Kang, Pan Kwon
Unnam is a suitable place for growing plants because it has temperate climate which has no severely cold or hot temperatures.
A variety of kinds of plants in Unnam affected the life style of local residents. According to records in local paper there were 62 kinds of timber and 6 kinds of trees which could be given scientific names including Pinaceae. Bamboo trees comprised a large portion among 6 kinds of trees. Crops include lots of kinds of grains like rice. But one of the features of crops is that the local paper covers tea which is classified into trees or currency. The local paper refers to 16 kinds of crops, especially 9 kinds of grains like rice, and 43 kinds of vegetables. The local paper refers to grasses as fruits along with fruit trees, and it covers 40 kinds of fruit trees like plum trees. Some are 44 kinds of trees and others are lot of grasses. It refers to 114 kinds of flowering plants but many kinds of flowering plants could not translated into Korean.
Plants in Unnam were suitable for the local climate and they could be the food supplies for Unnam people. Especially in the period when there was no processed food local people used the local
plants as their main food supplies. Therefore the nutrition and kinds of local plants affected health and lifespan of the local people.
Although this paper did not analyze and present examples, there is a report which demonstrates that secret of longevity of the people in Junhwaju located between northeast China and Manchuria result from the variety of plant distribution.
The point of view, which Unnan people got medicinal effect from local plants, written in local paper is based on the viewpoint of herbal medicine. Unnam people got the information on medicinal effects of plants from their experiences and the information was passed down to next generations, affecting their lives. For example, they ate the ginkgo nut to stop urine and extracted oil from the nut pine. At that time there were some imported plants and trees from western countries like black locust.
Unnam people made many products with plants and mineral resources and sold them. The commercialization with local plants and mineral resources is on the premise of market and distribution network. The biggest market was Gonmyung but variety of products were traded in local five-day markets. Products made in Unnam were sold by Unnam, Sachun, Yanggang, Shanghai and so on. And products of Unnam were sold in China as well as in foreign countries after the opening of its port. Unnam mainly exported tea and medical plants and imported cotton and silk fabrics, and these trading products show the fact that the economic level of Unnam was low.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cology and social ecology or humanities in Unnam or other places is a method to analyze the history generally. Although this kind of method needs to give many examples, this paper do not explain by gi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