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에서 정리해 온 3종 布經은 모두 면포의 생산자가 직접 남긴 기록이 아니라 당시 棉布字號가 미가공면포의 수매와 가공단계에서 어 떻게 “품질검사”를 진행했는가를 알려 주는 지극히 개인적인 상점 내 부의 자료이다. 흔히 “江南 字號의 경영지침서”라고 말하지만, 3종 가 운데 2종이 면포업의 중심지 蘇州府城이나 松江府城에 위치한 字號의 것이 아니라 嘉定縣의 南翔鎭, 또는 上海縣의 下沙鎭에서 字號를 경영 하는 상인의 손에 의해 편찬되거나 抄寫되었다는 것(1종은 불명확)은 明淸代 강남의 사회경제적 변화의 핵심 공간인 市鎭의 발달과 맥을 같 이 하고 있어 매우 주목할 만하다.
과거 면포의 상품성을 결정지은 것은 직조의 품질이었지만, 청대가 되면 직조보다는 염색과 발광의 가공이 상품성을 결정짓게 된다. 품질 이 떨어지는 미가공면포가 가공 공정을 거치면서 상등품에 못지않은
상품성을 갖추게 되는 것을 우리는 布經의 내용 가운데 木椗紗로 직조 한 면포에 염색가공을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冬布, 夏布를 상품화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에서 읽었다. 이는 직조 능력이 떨어지는 縣이 나 市鎭의 漿紗布나 木椗紗布에 상품화의 옷을 입혔고, 면포업을 그와 같은 곳의 산업의 하나로 자리 잡게 하였고, 市鎭의 경제적 명맥을 계 속 이어가게 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를 우리는 布經要覽 중 松江 면포업계 내부의 품 질검사에서 고정관념 잡혀 검사의 기준을 세우는 태도를 否定하고자 하는 태도에서 읽었고, 면포상품을 만들어 놓고 객상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늘 시장 변화에 주시하면서 판로를 열어 나가려고 하는 자세에 서 읽었다. 또한 이와 같은 태도는 기존 직조 중심의 생산지가 아니라 염색과 가공으로 인해 면포의 상품화가 가능해진 생산지에서 字號를 열고 있는 면포업 경영자나 賈師가 더 적극 보여줄 수 있는 것이라고 이해하였다.
강남 면포업이 이와 같은 단계에 이르게 되면 蘇州府城이나 松江府 城의 字號에서 품질검사를 담당하는 책임자 “賈師”는 미가공면포(白 布)의 품질검사보다 더 엄격하고 까다로운 기준으로 염색면포와 발광 면포의 품질을 요구하게 되고, 이와 같은 능력의 기초가 되는 각 생산 공정에 대한 기술상의 이해를 더 철저하게 습득할 것을 요구 받았을 것이고, 그와 같은 자질을 면포업 경영의 입문자에게 교육할 필요에서, 또 늘 곁에 두고 참고로 삼기 위해서 布經은 편찬되고 抄寫되었던 것이다.
결국 “賈師”가 미가공면포의 “看白布”와 “配布”에서 행하는 엄격한 품질검사는 직포농가의 향촌의 수매상인인 “布庄”으로 하여금 字號가 요구하는 품질과 기술수준에 응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는 기능을 하였 다. 또한 염색장업장과 발광작업장에 가공을 위탁한 면포의 품질검사 소위 “看缸水”와 “看光布” 역시 염색업자와 발광업자로 하여금 字號에 서 요구하는 품질과 기술수준을 표준화시켜 나갔고, 그 와중에 “退布”
와 “寫賬”이라는 가공업자와 가공노동자를 압박하는 수단도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다만 賈師의 품질검사와 압박 수단이 염색과 발광 가공의 전대제 생산을 강남의 생산 환경에 잘 어울리도록 만들어 나갔는가에 대해서 는 본고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추후의 논고를 기약한다.
<참고문헌>
范銅 撰, 布經(1751年序刊本) 八卷 (四庫未收書輯刊 第3輯 第30冊, 北京: 北京 出版社, 1997)
撰者不明, 布經 不分卷 (安徽省圖書館 소장)
撰者不明, (汪裕芳抄寫)布經要覽 上·下卷 (四庫未收書輯刊 第10輯 第12冊, 北 京: 北京出版社, 1997)
李伯重, 江南的早期工業化(1550-1850) (北京: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0) 陳學文, 明淸時期太湖流域的商品經濟與市場網路 (杭州: 浙江人民出版社, 2000) 范金民, 明淸江南商業的發展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1998)
陳學文, 明淸時期商業書及商人書之硏究 (臺北: 中華發展基金管理委員會․洪葉文 化事業有限公司, 1997)
張海鵬․王廷元 主編, 徽商硏究 (合肥: 安徽人民出版社, 1995) 徐新吾 主編, 江南土布史 (上海: 上海社會科學院出版社, 1992)
楊正泰 校注, 天下水陸路程․天下路程圖引․客商一覽醒迷 (太原: 山西人民出版 社, 1992)
樊樹志, 明淸江南市鎭探微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1990) 鄭昌淦, 明淸農村商品經濟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1989) 劉石吉, 明淸時代江南市鎭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87) 段本洛․張圻福, 蘇州手工業史 (蘇州: 江蘇古籍出版社, 1986) 許涤新․吳承明 主編, 中國資本主義萌芽 (北京: 人民出版社, 1985)
徐新吾, 阿片戰爭前中國棉紡織手工業與資本主義萌芽問題 (南京: 江蘇人民出版 社, 1981)
趙岡․陳鍾毅, 中國棉業史 (臺北: 聯經出版事業公司, 1977) 嚴中平, 中國棉紡織史稿 (上海: 科學出版社, 1955) 山本進, 明清時代の商人と国家 (東京: 研文出版, 2002) 川勝守, 明淸江南市鎭社會史硏究 (東京: 汲古書院, 1999) 寺田隆信, 山西商人の硏究 (京都: 同朋舍, 1972) 橫山英, 中國近代化の經濟構造 (東京: 亞紀書房, 1972) 西嶋定生, 中國經濟史硏究 (東京: 東京大學出版部, 1966)
閔耕俊, 淸代 江南의 棉紡織 生産構造-紡ㆍ織分業과 관련하여 (中國史硏究 23, 2003)
洪成和, 淸代前期 江南地域 農村 綿紡織業의 先貸制 生産에 대하여 (明淸史硏 究 9, 1998)
閔耕俊, 明淸代 江南 棉布業市鎭의 客商과 商路 (釜大史學 23, 1999) 閔耕俊, 淸代 江南의 棉業商人 (釜山史學 31, 1996)
范金民, “蘇樣” “蘇意”: 明清苏州领潮流 (南京大學學報(哲學ㆍ人文科學ㆍ社會 科學) 2013-4)
邱澎生, 18世紀蘇松棉布業的管理架構與法律文化 (江海學刊 2012-2) 范金民ㆍ羅曉翔, 清代江南棉布字號的競爭應對之術 (安徽史學 2009-2) 李伏明, 明淸松江府棉布産量與市場銷售問題新探 (史學月刊 2006-10)
林丽月, 大雅将还: 从“苏样”服饰看晚明的消费文化 (明史研究论丛 第6辑, 合肥:
黄山书社, 2004)
张海英, 明清江南与华北地区的经济交流 (历史教学问题 2003-2)
邱澎生, 由放料到工廠: 淸代前期蘇州棉布字號的經濟與法律分析 (歷史硏究 2002-1)
范金民, 淸代江南棉布字號探析 (歷史硏究 2002-1; 國計民生: 明淸社會經濟硏 究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2008)
张海英, 清代江南与两湖地区的经济联系 (江汉论坛 2002-1) 张海英, 明清江南与闽粤地区的经济交流 (社会科学 2002-1)
龍登高, 市場網絡或企業組織: 明清紡織業經營形式的制度選擇 (中國經濟史硏究 2001-4)
范金民, 明代徽商染店的一個實例 (安徽史學 2001-3)
李伯重, 英國模式, 江南道路與資本主義萌芽 (歷史硏究 2001-1)
巫仁恕, 明代平民服饰的流行风尚与士大夫的反映 (新史学 10-3, 1999; 品味奢 华:晚明的消费社会与士大夫 台北:联经出版公司, 2007)
李伯重, “男耕女織”與“婦女半邊天”角色的形成 -明淸江南農家婦女勞動問題探討之 二 , 中國經濟史硏究 1997-3)
李伯重, 從“夫婦幷作” 到 “男耕女織” -明淸江南農家婦女勞動問題探討之一 (中 國經濟史硏究 1996-3)
王廷元, 論明淸時期江南棉織業的勞動收益及其經營形態 , 中國經濟史硏究, 1993 吳承明, 論工場手工業 (-2) 中國經濟史硏究(京) 1993-4)
樊樹志, 江南棉布業市鎭與棉布貿易 (淸代區域社會經濟硏究 上冊 北京: 中華書 局, 1992)
史建雲, 淸代華北平原農村棉紡織業商品生産 (淸代區域社會經濟硏究 上冊 北 京: 中華書局, 1992)
徐新吾, 關于淸代前期江南紡織手工業資本主義萌芽問題探討 (淸代區域社會經濟 硏究 上冊 北京: 中華書局, 1992)
劉秀生, 淸代中期湘鄂灨棉布産銷與全國棉布市場格局 (葉顯恩 主編, 淸代區域社 會經濟硏究 上冊 北京: 中華書局, 1992)
李斌, 淸代染織專著布經考 (東南文化 1991-1)
劉秀生, 淸代棉布市場的變遷與江南棉布生産的衰落 (中國社會經濟史硏究 1990 -2)
樊樹志, 蘇松棉布業市鎭的盛衰 (中國經濟史硏究 1987-4)
史建雲, 從棉紡織業看淸前期江南小農經濟的變化 (中國經濟史硏究 1987-3) 方行, 論淸代前期棉紡織的社會分工 (中國經濟史硏究 1987-1)
徐新吾, 中國紡織手工業中唯一資本主義萌芽 -絲織業商人資本包買主問題探討 ( 平準學刊 3-下, 1986)
陳忠平, 明淸時期江南城鎭的布戶與布莊 (江淮論壇 1985-5) 方行, 淸代前期商人支配生産的形式及其歷史問題 (經濟硏究 1982-9)
全漢昇, 淸代蘇州的踹布業 (1978; 中國近代經濟史論叢, 臺北: 稻禾出版社, 1996)
全漢昇, 阿片戰爭前江蘇州棉紡織業 (中國經濟史論叢, 香港: 新亞硏究所, 1972) 傅衣凌, 論明淸時代的棉布字號 (明代江南市民經濟試探,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57)
则松彰文, 清代中期社会における奢侈ㆍ流行ㆍ消费-江南地方を中心として (东 洋学报 80-2, 1998)
则松彰文, 清代中期江南における为流行衣料について (和田德教授古稀记念明清 时代の法と社会, 东京: 汲古书院, 1993)
山本進, 淸代江南の牙行 (東洋學報 74-1ㆍ2. 1993)
山本進, 開港以前の中國棉紡織業 -日本との技術比較を中心に (歷史の理論と敎 育 69, 1987)
田中正俊, 明淸時代の問屋制前貸生産について -衣料生産を主とする硏究史的覺書 (西嶋定生還曆記念 東アジアにおける國家と農民, 東京: 山川出版社, 1984) 寺田隆信, 蘇州踹布業の經營形態 (1968; 山西商人の硏究-明代における商人およ
び商業資本, 京都: 京都大學東洋史硏究會 1972)
北村敬直, 淸代における湖州府南潯鎭の棉問屋について (經濟學雜誌 57-3, 1967)
西嶋定生, 中國初期棉業市場の考察 (東洋學報 31-2, 1966)
西嶋定生, 16․17世紀を中心とする中國農村工業の考察 (歷史學硏究 137, 1965)
橫山英, 淸代における踹布業の經營形態 (1960-1961; 中國近代化の經濟構造, 東 京: 亞起書房, 1972)
西嶋定生, 中國初期棉業の形式とその構造 (オリエンタリカ 2,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