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9. Assessing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Using the Newcastle – Ottawa Scale
Author (Year) Selection Comparability Outcome Score
Sovio et al (2014)
ⓐ ⓐ ⓑ ⓐ ⓑ ⓐ ⓐ ⓓ
7
★ ★ ★ ★ ★ ★ ★
Graversen et al.
(2014)
ⓐ ⓐ ⓑ ⓐ ⓑ ⓐ ⓐ ⓒ
7
★ ★ ★ ★ ★ ★ ★
Schooling et al.
(2010)
ⓐ ⓐ ⓒ ⓐ ⓐ ⓐ ⓐ ⓒ
6
★ ★ ★ ★ ★ ★
Bouhanick et al.
(2014)
ⓑ ⓐ ⓓ ⓐ ⓑ ⓐ ⓒ
5
★ ★ ★ ★ ★
Namwongprom et al. (2013)
ⓑ ⓐ ⓓ ⓐ ⓐ ⓐ ⓒ
5
★ ★ ★ ★ ★
Sachdev et al.
(2008)
ⓑ ⓐ ⓑ ⓐ ⓐ ⓐ ⓐ ⓒ
7
★ ★ ★ ★ ★ ★ ★
Fall et al. (2008)
ⓑ ⓐ ⓑ ⓐ ⓐ ⓐ ⓐ ⓑ
8
★ ★ ★ ★ ★ ★ ★ ★
Tzoulaki et al.
(2010)
ⓐ ⓐ ⓑ ⓐ ⓑ ⓐ ⓐ ⓑ
8
★ ★ ★ ★ ★ ★ ★ ★
4. 0-6세 아동의 과체중·비만과 성인 대사증후군의 효과크기 추정
성인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0-6세 아동 과체중·비만의 효과크기는
모두 이항자료로 승산비(OR)를 산출하였다. 각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
(OR)는 0.81에서 3.22로 그 중 0-6세 과체중·비만이 성인 대사증후군
위험을 낮춘다고 보고한 연구 2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Figure 3). 종합적 효과크기(OR)는 1.49 (95% CI: 1.159, 1.919)로
0-6세 아동의 과체중·비만은 비교집단에 비해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발
생위험이 약 1.4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Q-자유도(df)”가 0을
초과하여 연구 간 분산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질성 검정결과
p값은 0.001보다 작고, I square 통계량은 75.19%로 연구들 간에 이질
성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Study OR LL UL Z p Wt Forest Plot
Bouhanick. B. (2014) 0.95 0.79 1.14 -0.56 0.573 11.56Sachdev, H. (2008)_c 1.43 1.01 2.01 2.02 0.044 10.03 Fall. C. (2009)_b 1.18 0.82 1.69 0.90 0.370 9.89 Sachdev, H. (2008)_a 1.58 1.08 2.30 2.36 0.018 9.67 Fall, C. (2009)_a 0.81 0.55 1.20 -1.05 0.292 9.54 Gravesren, Lisa (2014)_i 3.00 1.81 4.96 4.28 0.000 8.29 Gravesren, Lisa (2014)_h 3.22 1.93 5.36 4.49 0.000 8.20 Gravesren, Lisa (2014)_b 1.66 0.96 2.87 1.80 0.072 7.79 Gravesren, Lisa (2014)_f 2.07 1.19 3.60 2.57 0.010 7.74 Gravesren, Lisa (2014)_a 1.21 0.66 2.19 0.61 0.542 7.29 Gravesren, Lisa (2014)_d 1.35 0.72 2.50 0.94 0.350 7.06 Namwongprom, S. (2013) 1.56 0.43 5.63 0.68 0.497 2.95
1.49 1.16 1.92 3.10 0.002
0.01 0.1 1 10 100
Heterogeneity : Tau
2=0.134, Q=44.33 df=11 (p<.001), I
2=75.19%
Test for overall effect Z=3.103(p=.002)
Note. OR=Odds Ratio; LL=Lower limit; UL=Upper limit; Wt=Relative Weight
Figure 3. Forest Plot and Meta Analysis of Overweight·Obesity in Child
Aged 0-6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s.
5. 0-6세 아동의 연령 군별 과체중·비만과 성인 대사증후군의 효과크기 추정
연구들 간의 이질성의 원인과 요인 별 효과크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의 분석적 기틀에 맞추어 아동의 연령을 출생체중, 0-2세, 2-6세로 세분하고, 메타 ANOVA 분석을 통해 하위그룹 분석을 시행하 였다(Figure 4). 성인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출생체중의 종합적 효과크 기(OR)는 0.928 (95% CI: 0.639. 1.345), 0-2세 아동의 종합적 효과크 기(OR)는 1.424 (95% CI: 0.845, 2.400), 2-6세 아동의 종합적 효과크 기(OR)는 1.778 (95% CI: 1.389, 2.275)이었다. 출생체중은 낮을수록 성인의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으며, 0-2세 아동에서 과체중·비만인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성인의 대사증 후군 발생위험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2-6세 아동집단에서 과체중·비만 노출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성인에서 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약 1.78배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세 집단의 효과 크기 추정 값이 동일하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함으로써 세
집단 간의 효과크기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
였다(Between Q=9.762, df=1,
p=.002). 집단 구분변수인 아동연령에
의해 설명되는 분산의 정도(R
2)는 0.5821로 출생 시, 0-2세, 2-6세로
세 집단을 구분함으로써 전체 분산의 58.21%가 설명되어 영향이 큰 조
절변수로 확인되었다. 한편, 집단 구분 전의 상당한 수준의 이질성이
(Overall Q=44.33, df =11,
p<.001, I
2= 75.19) 세 집단으로 구분한 후
에 출생 시(
p= .556, I
2= 0.00)와 0-2세 집단에서는 이질성이 없는 것
으로 나타났고(
p= .443, I
2= 0.00), 2-6세 집단에서도 낮아 졌으나 여전
히 중등도의 이질성이 보고되었다(
p<.001, I
2= 64.90).
Study OR LL UL Z p Wt Forest Plot Bouhanick. B. (2014) 0.95 0.79 1.14 -0.56 0.573 55.02
Fall. C. (2008)_a 0.81 0.55 1.20 -1.05 0.292 37.54 Namwongprom, S. (2013) 1.56 0.43 5.63 0.68 0.497 7.43
at birth 0.93 0.64 1.35 -0.40 0.692
At birth
Heterogeneity : Tau2 =0.000, Q=1.14 df=2 (p=.556), I2=0.00%
Test for at birth group effect Z=-0.397(p=.692)
Gravesren, Lisa(2014)_b 1.66 0.96 2.87 1.80 0.072 52.58 Gravesren, Lisa(2014)_a 1.21 0.66 2.19 0.61 0.542 47.42
0-2y 1.42 0.85 2.40 1.33 0.185
0-2y
Heterogeneity : Tau2 =0.000, Q=0.59 df=1 (p=.443), I2=0.00%
Test for 0-2years group effect Z=1.327(p=.185)
Sachdev, H. (2008)_c 1.43 1.01 2.01 2.02 0.044 18.11 Fall, C. (2008)_b 1.18 0.82 1.69 0.90 0.370 17.62 Sachdev, H. (2008)_a 1.58 1.08 2.30 2.36 0.018 16.91 Gravesren, Lisa(2014)_i 3.00 1.81 4.96 4.28 0.000 12.95 Gravesren, Lisa(2014)_h 3.22 1.93 5.36 4.49 0.000 12.73 Gravesren, Lisa(2014)_f 2.07 1.19 3.60 2.57 0.010 11.60 Gravesren, Lisa(2014)_d 1.35 0.72 2.50 0.94 0.350 10.09
2-6y 1.78 1.39 2.28 4.57 0.000
2-6y
Heterogeneity : Tau2 =0.094, Q=17.09 df=6 (p=.009), I2=64.90%
Test for 2-6years group effect Z=4.574(p<.001)
Overall 1.45 1.20 1.76 3.83 0.000
0.01 0.1 1 10 100
Heterogeneity : Tau2 =0.134, Q=44.33 df=11 (p<.001), I2=75.19%
Test for overall effect Z=3.830(p<.001)
Heterogeneity between group : Q=8.17 df=2 (p=.017) Tau2 within = 0.056 Tau2 total = 0.134 R2 = 0.5821
Note. OR=Odds Ratio; LL=Lower limit; UL=Upper limit; Wt=Relative Weight
Figure 4. Forest Plot and Meta-Analysis of Overweight·Obesity in
Child Aged 0-6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s
by Age Group
메타 ANOVA 분석을 통해 두 변수의 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확인한 아동의 연령을 조절변수로 하여 메타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Figure 5). 분석 결과 0-6세 아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인의 대사증 후군 발생위험에 대한 과체중·비만의 효과크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 5.20,
p<.001). 회귀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model Q 통계량이 27.05 (df= 1,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으며, 회귀모형에서 아동 나이가 갖는 설명력(R
2)은 0.7314로 각 연 구 효과 크기들의 실제 분산 중 73.14%가 아동의 나이라는 조절변수에 의해 설명되었다.
Model : Q=27.05 df=1 (p<.001)
Slope point estimate : 0.16147 Intercept point estimate : -0.01847 Test for regression effect Z=5.201(p<.001)
Tau2 residual = 0.036 Tau2 total = 0.134 R2 = 0.7314
Figure 5. Meta Regression of Overweight·Obesity in Child Aged 0-6 and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s by Children Age
메타 ANOVA분석과 메타 회귀분석을 통해 아동의 연령이 두 변수의
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조절변수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출생 시의 효과크
기(OR)는 전체 아동 및 다른 연령집단과 1을 기준으로 반대의 방향성을
보였다. 이에 출생 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세 개의 연구결과를 제거하고
연구의 민감성을 분석하였다(Table 10). 분석 결과 전체 효과크기 OR=
1.49 (95% CI: 1.159, 1.919)에서 OR= 1.71 (95% CI:1.350, 2.171) 로 효과크기가 차이를 보였으며 변화한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고, 이질성 역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Overall Q=18.25, df =8,
p=.019, I
2= 56.17).
성인 대사증후군위험에 대한 초기 아동기 과체중·비만의 종합적 효과 크기 중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결과를 연령군 별로 정리하여 요약하 면 다음과 같다(Figure 6). 출생 시부터 6세, 출생 이후부터 6세, 2세부 터 6세까지 효과크기를 종합하였을 때, 공통적으로 아동의 과체중·비만 이 성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을 증가시켰다. 종합한 효과크기는 높은 연령 군을 포함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출생 시 체중의 포함여부가 효과크기 변 화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Table 10. Sensitivity Analysis of Studies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bout Childhood Age
Cetegories k Point Estimated Heterogeneity
ES 95% CI Q p I2
All studies 12 1.491 1.159, 1.919 44.33 <0.001 75.19
Studies excluding 3 research
of “at birth” group 9 1.712 1.350, 2.171 18.25 0.033 56.17
Note. k=Number of Studies; ES=Effect Size; CI=Confidence Inter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