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
D _4_ 3:한글 D _4_ 4:201006 D_ 4_5 :남길임 D _4_ 6:제1 D_4 _7:KCI피인용지수
5
D _5_ 1:5
D_5 _2:한국어의
정형화된 표현 연구
D _5_ 3:담화와 인지 D _5_ 4:201008 D_ 5_5 :남길임 D _5_ 6:교신 D_5 _7:KCI피인용지수
2
D _6_ 1:6
D_6 _2: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D_ 6_3 :한국학논집 D _6_ 4:201006 D_ 6_5 :정우락 D _6_ 6:제1 D_6 _7:KCI피인용지수
2
D _7_ 1:7
D_7 _2:텍스트의
구경-선금술(選 金術)의 방법론
D_7 _3:한국현대문학
연구 D _7_ 4:201108 D_ 7_5 :김주현 D _7_ 6:제1
D_7 _7:우수연구
연구자 리뷰http://boo kgram.pe.kr/12
0163291439
D _8_ 1:8
D_ 8_2 :<십현담주해>
의 언어관과 한용운의 시론
D_8 _3:한국현대문학
연구 D _8_ 4:201212 D_ 8_5 :박현수 D _8_ 6:제1
D _8_ 7:2013년 제11회
유심작품상 학술 부문 수상
D _9_ 1:9 D_ 9_2 :<하차>에 대한
비교 연구 D _9_ 3:어문학 D _9_ 4:201106 D_ 9_5 :김재석 D _9_ 6:제1
D _9_ 7:2012년
한국연구재단 우수논문지원사
업 수혜
ⓑ 객관적 수치를 활용한 대표실적 우수성 제시
--- 1. 피인용지수를 통해 본 대표실적의 우수성
1) 남길임: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한국어의 정형화된 표현 연구>
남길임의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은 발표되자마자 관련 학계의 큰 관심을 끌고 있는 논문이
다. KCI피인용지수가 5로 나와 있으나, 실제적 피인용지수는 그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연구는 통사적으로 핵의 위치에 있지 않으면서, 의미적으로 명제적 내용을 가지지 않는 담화표지의 사용패 턴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심화시켰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한국어의 정형화된 표현 연구>는 말 뭉치 분석을 통해 한국어의 정형화된 표현의 형태적, 통사적, 담화기능적 특성을 살펴본 논문으로, KCI피인 용지수가 2이다.2) 백두현: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백두현의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은 한글로 필사된 국어사 자원을 생활사와 관련
지은 연구로, KCI피인용지수가 2이다. 이 논문은 언간과 한글고문서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라면 읽어야 하 는 논문으로 평가받는다.
3)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정우락의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은 조선 중기 낙동강 연안 지역의 문학을 철학과 역사 학의 관점을 수용한 학제간 연구로, KCI피인용지수가 2이다. 이 논문은 본 사업단의 주제와 관련성이 높은 바, 본 사업단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논문이면서, 실천적 연구의 방향을 함께 보여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조선중기 낙동강 연안 지역의 문학을 연구하되 작가들의 문학 활동에 중점을 두었으며,
문화공간-영
남'의 한문학적 독해를 시도하여, 영남을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인식하고 연구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 다. 아울러 문학을 연구하되 철학과 역사학적 관점을 수용하였다는 측면에서 학제간(Interdisciplinarity) 연구의 대표적 성과로 인정받고 있다.2. 공인된 우수 논문 실적
1) 김재석: <<하차>에 대한 비교 연구>
김재석의 <<하차>에 대한 비교 연구>는 유럽과 일본 그리고 한국의 근대극 현상을 아우르는 흐름을 보여준 논문으로 학계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킨 논문이다. 한 편의 극이 유럽, 일본, 그리고 한국이라는 서로 다른 문화적 맥락에서 어떻게 변형되고 있는지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나가는 이 논문은 저자의 학 문적 역량과 성실성이 빚어낸 우수한 업적이다.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이 논문은 2012년 한국연구재단 우수 논문지원사업의 수혜를 받았다.
2) 김주현: <텍스트의 구경─선금술의 방법론>
김주현의 <텍스트의 구경─선금술의 방법론>은 한국 근대문학의 연구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글이다.
문학 연구에서 원전확정을 통한 실증적 연구에서 본색의 추구라는 의미의 부여에 이르기까지 텍스트 연구 의 방법론을 실제 연구와 결부시켜 제시한 글로 하나의 방법론을 모색한 글이다. 한 연구자는
<텍스트의
구경─선금술의 방법론>이라는 최근의 논문에서 신채호의 방법론을 통해 근대 문학사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점을 지적하고 문학 연구자가 좇아야 할 자세와 태도에 대해 정말 멋진 논의를 펼쳤다.고 썼다.3) 박현수: <<십현담주해>의 언어관과 한용운의 시론>
박현수의 <<십현담주해>의 언어관과 한용운의 시론>은 시론을 거의 남기지 않은 한용운의 시론을 <십현담주 해>라는 글을 통해 재구성한 논문이다. 이 논문은
불교적 학설과 현대 시학의 논리를 새롭게 접목시켜 만
해 한용운의 언어 의식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줬다.며이를 통해 시집 님의 침묵에 담긴
오묘한 시적 함축을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는 평가를 받으며 만해사상실천선양회(이사장 조오현)가 운영하는 유심작품상 학술 부문에 선정되었다.4) 백두현: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융합성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 리>
백두현의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융합성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 리> 두 논문은 모두 한국연구재단의 엄격한 심사 과정을 거쳐 선발된 연구과제이다.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 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은 한글로 필사된 국어사 자원을 생활사와 관련지은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융 합성의 관점에서 본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는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집대성한 연구이므로 앞으로 이 방면 의 연구자가 반드시 읽어야 할 논문이다. 두 논문은 기존의 한국어문학 자원을 현대적 문화자산으로 활용하 기 위해 창의적 재해석을 가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두 논문은 모두 본 사업단의 연구 방향에 부합되는 것 이다.
3. 국제적 파급 효과의 우수성
1) 김덕호: <Production of a dialect map utilizing Map Maker>
김덕호의 <Production of a dialect map utilizing Map Maker>는 한국 방언지도 제작 능력의 우수성을 해외 에 과시한 논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동안 한국에서 방언지도 제작 기술은 외국의 방법을 도입해 적용하 는 단계에 있었으나, 김덕호는 독자적인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한국어뿐만 아니라 각국의 방언지도 를 좀 더 쉽게 만들 수 있는 길을 연 것이다.
---
9.2.3 사업단 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향상 계획
--- 1. 사업단 저명학술지 우수 논문 향상 계획
1) 국제 저명학술지(SCI(E), SSCI, A&HCI급) 게재 계획
한국학의 경우
한글로 이루어진 자료를 주 대상으로 삼는 까닭에 영어를 사용하는 해외 학술지에 투고
할 기회가 그리 많지 않았다. 한국학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SCI(E), SSCI, A&HCI급 해외 학술 저널에 투고 를 늘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사업단에서도 이 점을 주목하여 해외 저명학술지에 결과물을 적 극 게재할 예정이다.본 사업단이 구성원들의 연구 결과물을 발표하고자 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는 아래와 같다.
◇ 연구 결과물 발표 예정 국제 저명학술지
-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Quarterly ISSN: 0925-8558 SPRINGER, VAN GODEWIJCKSTRAAT 30, DORDRECHT, NETHERLANDS, 3311 GZ 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
- JOURNAL OF ASIAN STUDIES Quarterly ISSN: 0021-9118
CAMBRIDGE UNIV PRESS, 32 AVENUE OF THE AMERICAS, NEW YORK, USA, NY, 10013-2473 - INTERNATIONAL JOURNAL OF ASIAN STUDIES Semiannual ISSN: 1479-5914
CAMBRIDGE UNIV PRESS, 32 AVENUE OF THE AMERICAS, NEW YORK, USA, NY, 10013-2473
- ASIAN THEATRE JOURNAL Semiannual ISSN: 0742-5457
UNIV HAWAII PRESS, 2840 KOLOWALU ST, HONOLULU, USA, HI, 96822 - ASIAN STUDIES REVIEW Quarterly ISSN: 1035-7823
ROUTLEDGE JOURNALS, TAYLOR & FRANCIS LTD, 4 PARK SQUARE, MILTON PARK, ABINGDON, ENGLAND, OXFORDSHIRE, OX14 4RN
-Dialectologia ET Geolinguistica(DEG)<A&HCI>
◇ 국제 저명 학술지 게재 단계별 목표
2013년 ~ 2015년 : 1편 2016년 ~ 2017년 : 2편 2018년 ~ 2019년 : 4편
(※ 국제 학술저서는 논문 2편으로 인정)
2) 국내 우수학술지 게재 계획
본 사업단 참여교수들의 국내 우수학술지 게재 실적은 2010년 14.5편, 2011년 17.2편, 2012년 19.7편으로 꾸준히 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사업단은 이와 같은 참여교수의 실적을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으로 국 내 우수학술지(등재후보지 이상) 게재 실적을 향상시켜 나간다.
◇ 국내 우수학술지 게재 단계별 목표
2013년 ~ 2015년 : 60편(20편*3년) 2016년 ~ 2017년 : 42편(21편*2년) 2018년 ~ 2019년 : 42편(21편*2년)
2. 국제 저명학술지 및 국내 우수학술지 게재 실적 향상 전략
1) 참여교수 연구 실적 평가제도 도입
본 사업단은 참여교수의 국제 저명학술지 및 국내 우수학술지 발표 실적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참여교수 평 가제도를 도입한다. 사업 기간 동안 매년 참여교수의 논문 발표 실적을 평가해 우수한 참여교수에게는 사업 단 예산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성과급을 지급한다. 반면 사업단이 설정한 논문 발표 실적을 달성하지 못 할 경우에는 사업단 참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2) 피인용지수(IP) 평가를 활용한 연구 논문의 질적 향상 도모
본 사업단은 피인용지수를 활용해 참여교수 발표 실적에 대한 질적 평가도 실시한다. 피인용지수 부분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참여교수에게는 성과급을 우선적으로 지급할 수 있도록 한다.
---
9.3 기타 연구의 우수성
--- 1. 사업단 참여교수의 대표 우수 사례
1) 산학협동 사업 추진: 김덕호
김덕호는 국립국어원과 산학협동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지역 언어문화 상품 개발을 목표로 하는 사업 을 2012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진행하고 있다. 특히
사투리 상품 아이디어 공모전은 사투리를 활용한 유
․무형의 상품, 인테리어 소품, 관광 기념상품, 지역 언어 경관 상품 개발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을 높였다
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산학협동의 경험은 이번 사업에서도 지역의 문화어문학 자료를 실용 화하는 데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2) 201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김재석
김재석의 《근대전환기 한국의 극》(연극과인간, 2010)은 한국의 근대전환기 연극 현상을 다룬 글 10여 편 을 모은 저서이다. 이 저서에서 필자는 한국 근대극 형성 과정의 복잡다단한 상황을 치밀하게 재구하고, 그 것을 바탕으로 한국 근대극의 형성 과정을 구성해 나가고 있다. 특히 <협률사>와 <은세계>에 관한 연구는 필자의 학문적 열정과 집념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이 저서는 발간 이후 한국 근대극 전공자들의 필독서 가 되고 있다. 이런 성과를 인정받아 이 저서는 201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3) 2013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 김주현
김주현의 《신채호문학연구초》(소명출판, 2012)는 단재에 관련된 20여 편의 글을 모아 발간한 저서로 단 재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한 저서이다. 단재의 글을 200여 편 발굴하였으며, 또한 기존에 저자 논란이 많 던 여러 편의 글에 대해 저자확정을 함으로써 단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저서로 평가된다. 이 저서에 대해서는 황재문의 <선금술의 의의와 몇 가지 문제>(《민족문학사연구》50, 2012. 12.)와 서은혜의
<흙덩이에서 사금을 찾아내는, 선금술(選金術)의 연구-김주현>, 《신채호문학연구초》(《문학의 오늘》, 2012. 9.)의 저서 리뷰가 있었다. 이 책은 2012년 8월 출판저널이 정한
이달의 책에 선정되었고, 2013
년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4)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산학 협동: 남길임
남길임의 산학협동은 디지털 시대에 어울리는 사업 수행이라는 면에서 중요하다. 2011년부터 문화체육관광 부와 협약을 맺고,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생활용어 구축 용역>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 전통 문헌에 서 살려쓸 만한 어휘, 전통 생활 용어, 의/식/주 관련 용어를 수집하여, 개방형 한국어지식대사전(우리말 샘)에 등재함으로써 일반 국민들의 언어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이 사업의 목적이다. 한국연구 재단의 용역으로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 색인 DB 구축> 사업을 수행하였다.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원전 말뭉치와 번역 말뭉치를 병렬 말뭉치로 구축하고, 어휘 주석과 의미 주석을 수행하였 다. 이를 통하여 국어학자뿐만 아니라 음식조리학자, 일반인들까지도 전통 한국음식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도 연구 성과 의 맨 윗자리(http://www.krm.or.kr/baseData/index.jsp)에 올려놓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