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공공형어린이집 인증 시에 국공립어린이집 설치 현황을 고려하여 지역적으로 형평하게 선정함.
ㆍ선정 제외대상으로 임대료 및 융자금 상환액이 보육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하향 조정함.
ㆍ공공형_민간어린이집의 특별활동 관리를 강화하고, 회계관리시스템 도입함.
ㆍ비담임교사와 보육 도우미에 대한 인건비를 추가 지원하되, 가정어린이집의 경우는 비담임교사를 우선 지원함.
ㆍ자율공부모임에 3년 또는 4년 이상 참여 시는 맞춤형 보육컨설팅 지원으로 교육 방식을 전환하고, 보육컨설팅 지원 시에 안심보육 부문을 추가 시행함.
공공형어린이집의 성과 평가 및 발전 방안 연구
유해미, 김아름, 박기원
Ⅱ. 2015년도 주요연구 - 수시연구
Ⅱ. 2015년도 주요연구
배경 및 목적
ㆍ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가 늘어나면서 이들의 서비스 이용자로서의 권리뿐만 아니라 복지정책 수혜자 로서의 역할과 책임도 강화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음.
ㆍ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살펴보고, 부모참여 현황과 인식 및 요구 등을 파악하여 제도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음.
연구방법
ㆍ문헌조사, 설문조사(온라인·오프라인 조사 포함), 사례조사, 심층면담 및 자문회의
ㆍ설문조사에는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참여 인식 및 현황조사와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수행을 위해 지켜야 할 사항 조사가 포함됨.
ㆍ사례조사는 육아정책연구소, 인천광역시청, 인천육아종합지원센터 공동의 부모참여 우수사례 공모전 개최를 통한 사례수집 및 분석이 포함됨.
연구결과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 및 참여 실태
ㆍ부모와 교사들은 부모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를 양육 동반자·협력자로 인식하고 있었음.
ㆍ부모는 기본적으로 1차적 양육자로서의 책임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정부가 지원하는 무상보육비에 대한 관리책임보다 자신들이 지불하는 필요경비에 대한 관리책임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음.
ㆍ교사는 부모참여활동 활성화로 인해 자신들의 업무량이 증가하는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냄.
ㆍ부모와 보육교직원들은 의사소통과 부모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마련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부모참여활동을 제도적으로 유인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음.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수행을 위해 지켜야할 사항
ㆍ어린이집 운영규칙 준수에 관한 사항(387건)이 가장 많이 제시되었으며, 다음으로 교사 및 교사의 수업권 존중에 관한 사항(365건)이 제시되었음.
ㆍ부모들이 지켜야할 사항으로 ‘영유아의 등·하원 시간을 지키고 지원’해 달라는 의견이 242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사를 존중’해 달라는 의견이 180건으로 뒤를 이었음.
부모참여 프로그램 사례분석
ㆍ본 연구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인천광역시·인천광역시육아종합지원센터가 공동으로 개최한 ‘부모 참여 프로그램 우수사례 공모전’에 출품된 프로그램(전체 34건) 중 우수사례로 선정된 7개 프로 그램에 대해 활동사례를 분석함.
정책 제언
ㆍ부모역할 개념 정립 및 책임의식 제고를 위해 ‘어린이집 이용자 수칙’을 제정 보급 ㆍon·off ·line 부모교육을 통한 부모의 사회적 책임의식 제고
ㆍ부모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ㆍ보육조례 재(개)정을 통한 부모참여 활성화 ㆍ어린이집 ‘부모참여의 날’지정·운영 ㆍ「공익 어린이집운영위원 파견제」시행 ㆍ부모참여활동 우수사례 발굴 및 파급
ㆍ부모참여활동 활성화를 위한 행·재정 지원 확대
어린이집 이용 부모의 역할 제고 및 참여 활성화 방안: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윤재석, 이정림, 임준범
Ⅱ. 2015년도 주요연구
배경 및 목적
ㆍ지역별·유형별 어린이집 수요·공급에 격차가 있어 이와 같은 차이를 분석하고 지역 특성에 따른 보육수급 관리와 장기적 보육수급예측을 통한 정책 방향 설정이 필요한 시점임.
ㆍ최근 5년간의 어린이집 수급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어린이집의 수급계획에 있어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수급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역별 보육 수요를 예측하고 향후 5년간 어린이집 수급을 전 망하여 합리적인 어린이집 수급계획 수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연구방법
ㆍ2010년부터 2014년까지 지역별 어린이집 수요·공급 기초 자료를 분석함.
ㆍ비선형 시계열 모형을 추정하고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지역에 따라 연령별 어린이집 이용률 예측 후 지역별·유형별 어린이집 수급을 전망함.
연구결과
지역별·유형별 어린이집 수급 현황
ㆍ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어린이집 영유아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 1,279,910명에서 2011년 1,348,729명, 2012년 1,487,361명, 2013년 1,486,980명, 2014년 1,496,671명으로 계속해서 증가함.
ㆍ2010~2014년 기간 동안 어린이집 영유아 추이는 서울, 부산, 인천, 울산, 경기, 충북, 충남, 제주 지역이 매해 증가하고, 그 외 지역은 2012년을 기점으로 감소 추세로 전환됨.
ㆍ설립유형별로 살펴보면, 분석 기간 동안 사회복지법인과 법인·단체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어린이집 영 유아가 증가함.
ㆍ2010년부터 2013년까지 어린이집 공급은 매해 지속적으로 증가함. 2014년 전국의 어린이집은 모두 43,742개소로 이는 2013년에 비해 다소 감소하였으나, 2010년과 비교할 때 15.0% 증가함.
지역별·유형별 어린이집 수급 전망
ㆍ예측 1안은 향후에도 어린이집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결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공급과 수요와의 격차는 전국적으로 34만명 수준으로 나타남. 지역에 따라 어린이집 수급 전망 결과를 살펴보면 2014년 정원을 기준으로 할 때, 대부분의 지역이 공급 과잉으로 전망됨.
ㆍ예측 2안에 따르면, 2014년 전국의 어린이집 정원은 1,800,659명이며 현원은 1,488,435명으로 정원의 82.7% 수준임.
- 지역에 따라 정원과 수요 예측치의 격차는 다르게 나타남. 서울의 경우 2015년의 경우 공급과잉 으로 전망되나 이후 점차 공급과 수요의 폭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인천, 경기 지역이 서울과 같은 추세를 보이고 그 외 지역은 2015-2019 기간 동안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거나 공급과잉이 심해지는 추세임.
정책 제언
ㆍ인구 변화를 반영한 수급계획 수립이 필요함.
ㆍ어린이집 수급계획 수립을 위해 지역단위 보육수요 조사 기반의 보육수요율 추정이 필요함.
ㆍ유치원 수요를 고려한 어린이집 수급계획 마련
ㆍ수급계획 시 활용 지표의 세부 기준 마련 및 신규 지표 개발
지역별·유형별 어린이집 수급 현황 분석 및 전망
박진아, 도남희, 조혜주
Ⅱ. 2015년도 주요연구 - 수시연구
Ⅱ. 2015년도 주요연구
배경 및 목적
ㆍ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의 공동주관으로 지난 3개년(2012.5월·2015.8월) 동안 추진된
‘인성교육 실천 우수 유치원과 어린이집 시범사업’의 목적 달성도 및 시범사업 추진체계 평가를 통하여 향 후 효과적인 유아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연구방법
ㆍ총 278개 시범기관 원장 및 담당교사 각 1인씩(기관당 2인), 총 556명 전수를 대상으로 웹페이지 기반 온라인 조사를 실시함(총 138개원 266명, 유치원 60개원과 어린이집 78개소 참여).
ㆍ시범기관 원장 및 교사 총 8명과 시범기관 심사자 3인, 담당공무원 2인 대상 심층면담 실시 ㆍ총 6개 최우수 시범기관 사례분석(유치원과 어린이집 각 3개 기관씩)
연구결과
유아 인성교육 시범기관의 성과 평가
ㆍ전체 시범기관의 78.6%가 3년간 동일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 대부분 연차별로 심화·확장되었으며, 시범사업이 심화·확장되지 못한 이유로 교사 이직(66.7%)이 지적됨.
ㆍ시범기관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점을 둔 주제는 인성덕목 및 가치중심 교육 41.4%> 기본생활습관 함양 18.8%> 사회정서교육 18.0% 순으로 조사됨.
ㆍ인성교육 시범사업의 애로사항은 인성교육 실천에 부적합한 시간적·물리적 여건(교사 1인당 많은 유아 수, 교실 공간 등)(48.1%)> 누리과정 생활주제와의 다양한 연계방안 미흡(16.2%)> 시범사업 지원체계 부실 (12.0%)> 부모의 비협조 및 이해 부족(11.7%) 등으로 파악됨.
ㆍ본 연구의 조사에 참여한 시범기관들은 정부의 인성교육 시범사업 목표를 70% 이상 달성한 것으로 평가 하여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파악됨. 3년동안 동일기관에 예산이 지원됨으로써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가능하였음.
ㆍ사례분석을 통하여 유아에 대한 시범사업의 성과는 유아의 정서적 안정감, 고운 말을 쓰는 유아의 태도, 공격적이지 않은 순화된 말씨, 차분하고 질서있는 교실 분위기 등으로 인식됨. 또한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이 활성화됨으로써 유아기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이 증진되었음.
유아 인성교육 시범기관의 개선 요구
ㆍ전반적인 시범사업 추진체계의 효율성(31.6%)> 지원(컨설팅 등) 인력 제공(16.5%)> 시범기관 선정 기준 및 절차의 적절성(13.9%) 순으로 높게 나타남.
ㆍ기관유형별, 지역별로 장점을 반영한 평가제도 마련, 시범기관 현장심사자의 질 제고 및 관리 강화가 요구됨.
정책 제언
ㆍ유아 인성교육 관리체계의 효율화(일원화된 관리체계 및 시범기관 평가제도의 정착 필요) ㆍ유아인성교육 컨설팅 활성화(프로그램과 교수학습방법, 인적자원 측면의 지원 강화 필요) ㆍ지역별, 기관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인성교육 우수사례 발굴 및 강화
ㆍ유아인성교육 네트워크 확산을 통한 지역 공동체 강화(우수사례 공유 및 보고회 공동 주최 등) ㆍ인성교육 실천의 중요성에 대한 부모 인식 증진 및 참여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ㆍ 유아 인성교육의 본질과 성과에 대한 연구 수행(유아인성교육 영향 평가 연구 수행 등)
인성교육 우수 유치원과 어린이집 시범사업(2012-2015년) 성과 분석
문무경, 박창현, 박기원
Ⅱ. 2015년도 주요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