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사
Ⅴ. 부양의무자 조사
81
01 조사의 목적 및 일반원칙
가. 조사의 목적
○ 보장기관은 급여신청이 있는 경우 수급권자・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 등 급여의 결정 및 실시에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여야 함
‑ 급여결정 이후에도 수급자의 수급자격 여부 및 급여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간조사계획에 따라 매년 1회 이상 수급자 및 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 등에 대하여 확인조사를 실시
※ 단, 주거·교육급여 수급(권)자는 부양의무자 부양능력 판정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부양의무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지 않음[법 제12조의2]
나. 일반원칙
○ 자산조사는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조회(통보)된 공적자료를 우선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통보되는 소득・재산 공적자료 변동사항은 원칙 적으로 자동 반영되나, 보유여부만 통보되어 가액 산정이 필요한 경우 등은 조사・ 확인 후 반영
‑ 수급자 및 부양의무자의 소득・재산 및 인적변동 등 변동사항은 변동 “발생월”을 기준으로 적용하여 변동사항을 반영하는 것이 원칙임
‑ 단, 발생월의 정보 확인이 곤란한 경우에는 “확인월”을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음
※ 해당 공적자료가 없거나 자진신고 이전에는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등
‑ 수급자 및 부양의무자가 자진 신고한 소득・재산 및 인적변동 등 변동사항의 경우에도 “발생월”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이 원칙
제3편 조 사
Ⅰ. 조사의 개요
2023 국민기초생활보장사업안내
82
※ 공적자료의 변동으로 급여종류별 자격 및 급여액 변동을 초래하는 경우는 담당공무원이 확인 후 급여종류별 보장중지 및 급여변동 등 처리
‑ 변동사항의 처리 방법은 부정수급자에 대한 보장비용 징수규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부정수급 기간 및 금액은 부정수급 발생월부터 종료월 까지를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함
‑ 보장기관의 귀책사유로 미지급된 급여에 대한 소급지급도 발생월부터 동일하게 적용함
○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으로 조회된 소득・재산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하는 경우 해당 공적자료 제공 기관의 자료를 수정하도록 하고 입증자료 제출 시 수정결과 적용
※ 이 경우 반드시 증빙자료를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 등록
○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조회된 공적자료가 불충분한 경우는 ‘지출 실태조사에 의한 소득확인’을 통해 소득을 추가 반영할 수 있음
02 조사의 종류
가. 신청조사
1) 조사의 목적
○ 수급권자 또는 그 친척, 그 밖에 관계인의 급여신청에 대해 해당 시장・군수・ 구청장이 급여의 결정 및 실시를 위하여 수행하는 조사[법 제22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