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의 경우는 창․낙조의 방향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4월 26일의 경우는 파 랑이 높고 바람이 많이 불었으나, 확산양상이 창․낙조 방향으로 확산되었으 며, 2005년 11월 1일, 12월 1일, 12월15일, 2006년 2월 2일, 3월 3일, 3월 17일 의 경우는 일정한 양상이 없이 고르게 확산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월 2일의 경우는 기상 조건과 파랑조건이 양호한 관측일임에도 불구하고 확산 양 상이 창․낙조의 방향으로 확산되지 않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준설토 투기점을 기준으로 하여 관측한 SS 농도 자료는 Table 4.3 ~Table 4.6에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Fig. 4.20 Diffusion distribution after 6hours (㎎/ℓ)
Fig. 4.21 Diffusion distribution after 12hours (㎎/ℓ)
Fig. 4.22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5/12/26, ㎎/ℓ)
Fig. 4.23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1/11, ㎎/ℓ)
Fig. 4.24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1/11, ㎎/ℓ)
Fig. 4.25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2/02, ㎎/ℓ)
Fig. 4.26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3/02, ㎎/ℓ)
Fig. 4.27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3/17, ㎎/ℓ)
Fig. 4.28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3/31, ㎎/ℓ)
Fig. 4.29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4/26, ㎎/ℓ)
Fig. 4.30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6/28, ㎎/ℓ)
Fig. 4.31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8/29, ㎎/ℓ)
Fig. 4.32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08/29, ㎎/ℓ)
Fig. 4.32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1 (06/11/13, ㎎/ℓ)
Fig. 4.34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5/11/01, ㎎/ℓ)
Fig. 4.35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5/11/17, ㎎/ℓ)
Fig. 4.36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5/12/01, ㎎/ℓ)
Fig. 4.37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5/12/15, ㎎/ℓ)
Fig. 4.38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5/12/26, ㎎/ℓ)
Fig. 4.39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6/01/11, ㎎/ℓ)
Fig. 4.40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6/02/02, ㎎/ℓ)
Fig. 4.41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6/02/13, ㎎/ℓ)
Fig. 4.42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6/03/02, ㎎/ℓ)
Fig. 4.43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6/03/17, ㎎/ℓ)
Fig. 4.44 Comparison of diffusion between survey and simulation Case2 (06/04/26, ㎎/ℓ)
2005/12/26 2006/1/11 2006/2/2 2006/2/13 2006/3/2 2006/3/17 ST.1
Surface 4 0.4 1.6 3.2 3.6 3.2
Bottom 3.6 0.8 2 2.8 3.2 2.8
ST.2
Surface 8.8 2 2 3.6 4 3.2
Bottom 6.4 0.4 2.4 3.2 3.6 3.2
ST.3
Surface 5.2 0.4 2.4 3.2 3.6 3.6
Bottom 5.6 0.4 2.4 2 3.2 3.2
ST.4
Surface 4.8 1.2 1.2 2 2.8 3.6
Bottom 3.6 1.2 0.8 2.8 3.2 3.6
ST.5
Surface 7.2 2.4 2 3.2 3.6 3.2
Bottom 6.8 2.8 2.4 3.6 3.2 4
ST.6
Surface 4.4 1.6 3.6 4 3.6 4
Bottom 5.2 3.2 4 3.2 3.2 3.6
ST.7
Surface 5.2 0.4 2.4 3.6 4 3.2
Bottom 4 1.2 2.8 3.2 3.6 3.6
ST.8
Surface 10.2 2 2 2.4 3.2 3.6
Bottom 9.2 1.6 2 2.8 2.8 4
ST.9
Surface 6.8 2.4 2.8 3.2 3.6 3.2
Bottom 7.6 2.4 3.2 3.6 3.6 2.8
Table 4.3 Surveyed SS Case 1-1 (㎎/ℓ)
2006/3/31 2006/4/26 2006/5/25 2006/6/26 2006/8/29 2006/11/13 ST.1
Surface 9.6 3.2 8 16 8 7.2
Bottom 8 2.8 5.6 16 8 6.8
ST.2
Surface 7.6 2.8 2.8 16 8 6.4
Bottom 8.4 2.4 3.6 12 12 8.8
ST.3
Surface 6 2.4 6.4 12 8 6
Bottom 7.2 2 3.2 16 4 6.4
ST.4
Surface 8.4 2.8 4 16 8 7.2
Bottom 6.8 2.8 3.6 16 12 6.8
ST.5
Surface 12 2 9.2 12 4 7.2
Bottom 11.2 2.4 6.4 16 8 6.4
ST.6
Surface 8.8 2.8 4.6 16 8 6.8
Bottom 7.2 2.4 4 16 8 6.8
ST.7
Surface 4.4 2.8 3.6 16 8 7.2
Bottom 8 2.4 4 16 12 7.6
ST.8
Surface 10.4 2.4 4.8 12 8 6.8
Bottom 6.8 2.8 4 16 4 7.2
ST.9
Surface 12 2.4 5.2 16 4 6.4
Bottom 6.4 2.8 4.4 16 4 6.8
Table 4.4 Surveyed SS Case 1-2 (㎎/ℓ)
2005/11/6 2005/11/17 2005/12/1 2005/12/15 2005/12/26 ST.1
Surface 8.4 3.4 4.8 1.6 6.8
Bottom 6.8 6.8 4.4 6.4 6.4
ST.2
Surface 9.2 4.2 4.8 6 8.5
Bottom 10.4 5.8 3.6 4.8 7
ST.3
Surface 7.6 4.6 5.2 2 6.4
Bottom 5.2 4.4 3.2 7.48 5.2
ST.4
Surface 8.2 3.2 5.2 7.6 4.8
Bottom 5.6 2.6 4.8 3.6 5.6
ST.5
Surface 8.6 3.8 3.6 2.8 8
Bottom 10.4 5.4 3.2 4.8 6.4
Table 4.5 Surveyed SS Case 2-1 (㎎/ℓ)
2006/1/11 2006/2/2 2006/2/13 2006/3/2 2006/3/17 2006/4/26 ST.1
Surface 1.2 2 2.8 3.6 2.8 2.4
Bottom 0.8 1.2 2.4 3.2 3.2 2.8
ST.2
Surface 0.8 2.4 3.2 4 3.2 2.4
Bottom 1.2 3.6 3.6 3.6 3.2 2.4
ST.3
Surface 0.8 2.8 4 3.6 2.4 2.4
Bottom 2 3.2 3.2 3.2 2.8 2.8
ST.4
Surface 2.8 2.8 2.4 3.6 2.8 2
Bottom 1.2 2.4 2.8 4 2.4 1.6
ST.5
Surface 0.4 2 3.2 3.2 3.2 2
Bottom 1.6 2 2.8 3.6 2.8 2.4
Table 4.6 Surveyed SS Case 2-2 (㎎/ℓ)
제5장 결론
준설토의 해상투기 공사시 발생되는 투기물질의 거동을 추정하기 위하여 투 기 대상해역에서 현장관측과 함께 수치모형실험을 통해 유동장의 변화에 따른 확산과정을 예측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신항만의 증심에 따른 초과 준설토를 남형제도 일원 외 해해상에 투기하는 시점에 정기적으로 유속과 층별 샘플을 채취하여 월별로 변화를 정리하였다. 또한, 해수유동 및 부유사 확산의 수치모의를 위해 해양수 산조사원의 관측결과를 토대로 4대분조인 M2, S2, K1, O2 를 모델입력치로 하 였으며, 15일 간의 해수유동 수치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준설토의 외해투기로 인한 외해에서의 부유사 확산양상을 시뮬레이션하였다.
구축된 부유사 확산 모형의 검증은 기존 모형의 안정성에 의지하였으나, 모 델의 실험 운용에 따라 결과는 크게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제 확산시 자 료를 통한 검증은 매우 드물고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축적된 자료는 준설토의 해상처리에 중요하게 이용될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투기해역에서의 대조기시 최강 조류속은 30-50cm/sec 이내로 분포하였으 며, 낙조류의 영향이 창조류에 비하여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준설토 투기 후 시간에 따른 부유사 농도 관측성과와 수치실험 성과를 비교한 결과, 확산양상은 유사하지만 농도값은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즉, 외해역에서의 확산 양상은 조류와 같은 외력보다는 수심의 영향이 탁월 하였다.
3) SS 최대 확산 결과, 창조시 조류의 영향이 다소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4) 수치 실험의 결과 투기해역에서의 대조기시 최강 조류속은 50cm/sec 이
내의 범위에서 낙조류의 영향이 창조류에 비하여 다소 우세하며, 관측치 는 수치실험과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부유사 농도의 공간적 분포는 표․저층간의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혼 합 기작이 비교적 잘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준설토 투기 후 시간에 따른 부유사 농도 관측성과와 수치실험 성과를 비교한 결과, 확산양상은 조류의 영향만을 고려하였을 경우와 매우 유사 하였다.
7) 쇄파현상과 바람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 채수일의 농도값은 조류의 영향 을 받지 않고 전해역으로 고르게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8) 채수 분석결과 일별 농도값의 차이는 준설토 투기 후 채수시간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9) SS 최대치확산 결과, 창조시의 조류 영향이 다소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치모의 결과와 현장관측에서의 차이는
1) 유속관측 및 시료취수 시간이 관측점에 따라 1km ~ 10km 정도를 항해 를 하기 때문에 1.5~2.5시간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2) 실제 준설토 투기시 투기와 후 Barge선의 귀항으로 인해 투기 후 표층에 서 항주파 및 선박의 스크류에 의해 와류가 발생하여 실제 관측치에 영 향을 미친 점 때문에 확산 농도 값이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므로, 3) 따라서, 확산양상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속관측 및 시료취수
지역의 확대 및 취수 간격의 단축이 필요하다고 본다.
참 고 문 헌
이정규, 안수환 (1984), “조류에 의한 부유사의 확산에 대한 수치모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4권, 제4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소 (1994), “대하천에서의 오염물질 이송․확산 예측과 저 감대책에 관한 연구” 보고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3), “해수유동 및 부유사확산 예측기법 개선에 관한 연 구”, p.198.
해양수산부 (1997), “부산 신항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pp. 139-172.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 (1999), “99 가덕수도 조류관측 결과”, 보고서 해운항만청 (1983), “부산 파랑자료 분석 보고서(1978~1982)
Asselin, R. E. (1972), "Frequency filters for time integrations", Mon. Weather Rev., 100, pp.487-490.
Blumberg, A.F. (1977), "Numerical model of estuarine circulation",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103(HY3), pp. 295-310.
Blumberg, A. F., and G. L. Mellor (1987), "A description of a three-dimensional coastal ocean circulation model in Three-Dimensional Coastal Model", Vol.4, edited by N. Heaps,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gton, D.C.
Elder, J. W. (1959), "The dispersion of marked fluid in turbulent shear flow", Jour.
fo Fluid Mechanics, 5, pp. 544-560.
Madala, R. V. and S. A. Piacsek (1977), “A semi-implicit numerical model for baroclinic oceans", J. Comput. Phys., 23, pp. 167-178.
Mellor, G. L. and T. Yamada (1982), "Development of a turbulnece closure model for geophysical fluid problems", Rev. Geophys. Space Phys., 20, No.4, pp.851-875.
Phillips, N. A. (1957), "A coordinate system having some special advantages for numerical forecasting", J. Meteorol., 14, pp.184-185.
Simans, T. J. (1974), "Verification of numerical models of Lake Ontario, Part Ⅰ.
Circulation in spring and early summer", J. Phy. Oceanogr., 4, pp. 507-523.
Wang, D. and D.W. Kravitz (1980), "A semi-implicit two-dimensional model of estuarine circulation",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0(3): pp. 44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