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부처별 세부사업 현황

Dalam dokumen 나노기술연감 2008 (Halaman 139-200)

(1) 교육과학기술부 (2) 지식경제부 (3) 농림수산식품부 (4) 보건복지가족부 (5) 환경부

(6) 방위사업청

(7) 식품의약품안전청

(8) 정부출연연구기관

나노과학기술 관련 정부지원 프로그램의 각 부처별 정책목표 및 방향, 중점추진과제, 투자현황 총괄과 중점 추진과제별 세부 추진계획과 추진실적을 정리하였다.(참조 : 2009년도 나노기술발전 시행계획 (2009.4)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중점 추진방향

<연구개발>

나노소재, 테라급나노소자, 나노메카트로닉스 등 21세기 프론티어 신기술 분야의 전략적 개발 추진 및 우수 연구성과 활용 증대

미래기술 발굴을 위한 창의⋅탐색형 핵심 원천기술개발

<시설 및 기반구축>

나노 인프라시설인 나노팹센터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활용 극대화

나노기술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정보분석 및 정책지원기능 강화

<인력양성>

BK21사업 추진을 통해 국제경쟁력 있는 NT분야 핵심고급인력양성

NT분야 우수연구집단 발굴을 통해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

구 분 사 업 명 2008실적 2009계획

연구 개발

◦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 6,360 7,000

◦ 신진교수연구지원사업 1,203 2,000

◦ 21세기 프론티어사업(나노) 27,600 27,600

◦ 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나노) 8,300 12,400

◦ 기초연구사업(나노) 46,806 46,806

◦ 과학기술국제화사업 6,927 7,000

인프라

◦ 나노팹센터구축사업 4700 6,700

◦ 나노팹시설활용지원사업 - 1,000

◦ 나노기술종합정보분석 및 정책지원 1,600 1,600

◦ 학문후속세대 양성사업 1,489 1,489 인력

양성 ◦ 2단계 BK21사업 10,958 11,018

합 계 115,943 124,613

<표 Ⅲ-1> 교육과학기술부의 투자현황 총괄

(단위 : 백만원)

1 부처별 세부사업 현황

사업개요

사업목표

- 신진교수들의 연구 참여기회 확대로 창의적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국제적 연구역량의 향상을 도모

사업기간 : 89년 ~ 계속

총사업비(정부) : 1,203백만원 (2008년 사업전체 예산은 27,500백만원)

사업내용

- 최초 대학교원 임용 5년 이내인 국내대학의 소속교원을 대상으로 연간 25백만원 이내의 연구비를 1년에서 3년간 지원

2008년도 추진실적

사 업 명 과 제 수 연 구 비 비 고

신진교수연구지원사업 55 1,203 (나노분야)

(단위 : 백만원)

가. 기초연구과제지원사업

사업개요

사업목표

- 이공분야 우수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과제를 다양한 형태로 지원하여 연구의 질을 국제적 수준으로 향상

사업기간 : 1989 ~ 계속

총사업비(정부) : 6,360백만원 (2008년 사업전체 예산은 96,600백만원)

사업내용

- 이공분야를 대상으로 연간 단독 4천만원 이내(정액과제 7백만원), 공동 1억원 이내의 연구비를 1년에서 3년간 지원

2008년도

추진실적 사 업 명 과 제 수 연 구 비 비 고

기초연구과제지원 120 6,360 (나노분야)

(단위 : 백만원)

2009년도 추진내용

2009년에는 동 사업이 일반연구자지원사업의 기본연구로 편성되어 지원되며 지원 분야는 이공분야 전체를 지원할 예정이며 과제 공모 시 NT분야 관련 연구과제의 신청과제에 대한 소정의 심사를 실시하여 관련 연구비를 지원

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2007년까지 2008년 2009년

기초연구과제지원 정부 6,357 6,360 7,000

6,357 6,360 7,000

(단위 : 백만원)

기대효과 NT분야의 창의적인 지식 생산 및 기술 발전 도모 2009년도

추진일정

상반기(단독과제), 하반기(협동과제) 2차에 걸친 과제 공모, 심사 및 선정

- 상반기 : 공모(1월) ⇨ 신청접수(2월) ⇨ 심사 및 선정(3~4월) ⇨ 연구개시(5월 1일) - 하반기 : 공모(5월) ⇨ 신청접수(6월) ⇨ 심사 및 선정(7~8월) ⇨ 연구개시(9월 1일)

나. 신진교수연구지원사업

2009년도 추진내용

2009년에는 동 사업이 일반연구자지원사업의 신진연구로 편성되어 지원되며 지원 분야는 이공분야 전체를 지원할 예정이며 과제 공모 시 NT분야 관련 연구과제의 신청과제에 대한 소정의 심사를 실시하여 관련 연구비를 지원

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2007년까지 2008년 2009년

신진교수연구지원사업 정부 2,833 1,203 2,000

2,833 1,203 2,000

(단위 : 백만원)

기대효과 NT분야의 창의적인 지식 생산 및 기술 발전 도모 2009년도

추진일정 공모(1월) ⇨ 신청접수(2월) ⇨ 심사 및 선정(3~4월) ⇨ 연구개시(5월 1일)

다. 21세기 프론티어사업(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

사업개요

사업목표

- Tera(1012)급 나노소자 TEG(Test Element Group) 개발

사업기간 : 2000.7.1 ~ 2010.3.31(10년간)

총사업비 : 138,800백만원(정부 90,400백만원, 민간 48,400백만원)

사업내용

- Tera급 Nanoelectronics 분야 : Tera bit급 Si 기반 비휘발성 메모리 개발, SET Logic 소자개발, Tera bps급 집적회로 개발, Tera bit급 탄소나노튜브 전자소자 개발

- Magnetoelectronics 분야 : 초 고집적 자기소자 개발

- 나노요소기술 분야 : 고속 AFM Litho. 시스템 개발, 나노 식각장비 및 공정 개발, 단원자층 증착 기술 개발, 원자이미지를 이용한 양자점 형성 기술 개발 등

2008년도 추진실적

초 저소비전력 반도체 회로기술 세계최초 개발

세계 최초 양자 효과 소자를 이용한 통신시스템용 초고속 IC 개발

45nm 이하 반도체용 구리배선 확산방지 기술 개발 등

2009년도 추진내용

20나노급 실리콘 기반의 비휘발성 메모리 Array TEG 개발

중성빔 이용 대면적 식각장비 및 공정 개발

Nano HEMT를 이용한 MMIC 개발 등

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2007년까지 2008년 2009년

21세기 프론티어사업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

정부 72,570 9,000 8,800

민간 38,560 5,000 5,000

111,130 14,000 13,800

(단위 : 백만원)

기대효과 메모리반도체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나노소자를 통한 초미니 수퍼컴퓨터, 인식 및 추론가능 로봇 개발 등 신산업 창출

사업개요

사업목표

- 나노단위에 이르는 극미세 산업용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기술 및 공정장비 개발과 공정관련 해석/설계/제어/측정기술의 개발

사업기간 : 2002.7.1 ~ 2012.3.31(10년간)

총사업비 : 128,600백만원(정부 100,000백만원, 민간 28,600백만원)

사업내용

- 저가의 대량생산 가능한 나노공정 기술 및 공정장비 개발 추진 - 나노프로브 응용기술 및 나노소재 조립기술 개발

- 공정 및 측정 장비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실용화 추진 2008년도

추진실적

고효율 광결정 OLED 제작을 위한 나노임프린팅 공정기술 개발

6인치 Sub-50nm급 하이브리드 나노임프린트장비 개발

가변강성 수직형 MEMS Probe Tip 개발

탄소나노튜브 고순도 대량 분리 기술 개발

라. 21세기 프론티어사업(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사업개요

사업목표

- 세계수준의 핵심원천기술 확보 및 실용화 기술개발을 통한 나노소재기술 선진 강국 실현

사업기간 : 2002. 7. 1 ~ 2012. 3. 31(10년)

총사업비 : 110,992백만원(정부 89,749백만원, 민간 21,243백만원)

사업내용

- 21세기 사회형성의 핵심인 정보화, 친환경화,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고속.고효율의 사회간접자본(SOC) 구축에 필수적인 핵심 나노소재 개발

- 구조용 나노소재, 환경⋅에너지 나노소재, IT 응용 나노소재의 원천기술 및 실용화 기술 개발 2008년도

추진실적

‘경조직 대체용 하이브리드 나노복합체 개발’ 등 기술이전 5건 및 제품화 2건 달성

골융합을 촉진/유도하는 생체나노박막 세계 최초 개발 및 아조벤젠고분자의 새로운 표면 미세 나노구조 형성 메카니즘 세계 최초 규명

2009년도 추진내용

금속 나노복합 소재 제품화 및 나노구조 다기능성 코팅 기술개발

나노소재 기반 플라스틱 태양전지 및 이차전지용 나노소재 기술개발

정보감지 소자용 나노소재 및 정보 저장용 나노소재 기술 개발

생체구조용 나노소재 및 생체적합성 나노구조 표면처리기술 개발

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2007년까지 2008년 2009년

21세기 프론티어사업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

정부 49,466 8,800 8,800

민간 10,935 1,554 1,554

60,401 10,354 10,354

(단위 : 백만원)

기대효과 첨단 소재기술과 나노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갖는 핵심 나노소재 기술개발로 소재기술분야 기술선진국 실현

마. 21세기 프론티어사업(나노메카트로닉스개발사업)

2009년도 추진내용

기능성 나노패턴 제작을 위한 대면적 롤 임프린트 공정기술 개발

8“ 웨이퍼 기반 30nm급 나노임프린트장비 다층화 핵심기술 및 소자응용 특성 평가

나노소재의 분리, 조립 및 기능화 핵심기술 개발

30 nm급 고세장비 나노 패턴 스탬프 제작 및 나노 사출성형 공정 기술 개발

10 nm급 측정 기술 구현 및 실증

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2007년까지 2008년 2009년

21세기 프론티어사업 (나노메카트로닉스개발사업)

정부 55,826 9,800 10,000

민간 15,981 3,623 3,100

71,807 13,423 13,100

(단위 : 백만원)

기대효과 공정 및 장비개발에 필수적인 초정밀가공기술, 나노단위 측정 및 제어기술 등 공통핵심기술개발로 신산업형성 및 국가경쟁력 확보

바. 미래기반 기술개발사업(나노분야)

사업개요

사업목표

- 나노분야 미래기술의 선도적 발굴을 위한 탐색적⋅발아형 기초원천기술 개발 - 나노분야 기초연구 역량강화 및 미래 신산업 핵심⋅원천 기술수요에 대처

사업기간 : 2004 ~ 계속

총사업비 : 2008년까지 기투자액 53,040백만원(정부)

사업내용

- 미래기술 발굴 및 창의적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원천기술연구 지원

- 나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탐색형 연구와 다학제적 연구성격인 학제간 융합연구로 이원화

2008년도 추진실적

‘불균일 자기장 이용 자벽이동 메모리 소자’등 창의탐색형 45개 과제 지원

‘그래핀 제작방법 및 물성 연구’등 핵심중점형 14개 과제 지원 ※ 2008년에는 ‘특정연구개발사업’중 ‘나노원천기술개발사업’으로 추진 2009년도

추진내용

NT기반 신규과제 선정 (29과제)

창의적 개별연구 및 학제간 융합연구 계속과제 지원 (54과제, 7,892백만원)

소요예산

사 업 명 구 분 2007년까지 2008년 2009년

미래기반 기술개발사업(나노)

정부 44,740 8,300 12,400

민간 - - -

44,740 8,300 12,400

(단위 : 백만원)

기대효과

21세기 신산업⋅신기술 혁명을 주도할 나노분야에 대한 기초원천기술 개발 및 관련 인프라 확충

기술개발 초기단계인 나노기술에 대하여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함으로써 2015년까지 나노기술 선진 3대국 진입

Dalam dokumen 나노기술연감 2008 (Halaman 139-20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