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4행 출현의 영향과 의의

Dalam dokumen 북양정부시기 北四行의 발전* (Halaman 33-39)

면의 분야에 적극적으로 진출하였다(中國人民銀行上海分行編, 앞의 책,, pp.386-459.)

40) 天津市檔案館編, 앞의 책, pp.384, 415.

41) 中國人民銀行上海分行編, 앞의 책, p.257.

북양정부시기 금성, 대륙, 염업, 그리고 중남은행의 북4행이 빠른 속 도로 발전함으로서 화북지역 상공업과 경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우선 북4행과 같은 대형의 금융기관이 경진 지역에 설립됨으로써 천 진과 북경 등 경진 지역에 설립 운영되고 있었던 방직공사나 면분공사 와 같은 대형의 공장들이 원활하게 기업의 운영 자금을 공급받을 수 있어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할 수 있었던 점과 경진 지역에 중국, 교통 은행이나 북4행과 같은 대형의 금융기관이 설립 운영됨으로써 1920년 대 초 중반의 짧은 기간이긴 했지만 경진 지역의 금융시장이 상해 금 융시장을 누르고 중국의 금융계를 리드해갔다는 점이다. 본 장에서는 경진 지역에 북4행과 같은 대형의 금융기관이 들어섬으로써 중국의 정치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몇 가지로 나누어 간단히 살펴 보고자 한다

첫째, 북양정부시기 군벌간의 권력 투쟁과 전쟁에 필요한 재정적 뒷 받침에 있어서 한 축을 담당했던 점과 북양정부의 재정 압박과 국민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북양정부시기 끊임없는 군벌간 의 권력 투쟁이 지속되었는데 통계에 의하면 1912년부터 1922년의 11년 동안 군벌간의 크고 작은 전쟁이 170차례나 발생하였다.42) 북4 행 등 시중의 유력 상업은행은 북양정부시기 정부 기관에 高利의 융자 를 해주거나 교통부의 철로 건설과 같은 국책 사업이 있을 경우 이에 참여하여 많은 이윤을 올렸다. 특히 북양정부에서 공채를 발행할 시에 는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이윤을 추구해갔다. 북양정부를 장악한 군벌들은 그들에게 협조하는 관료 조직과 군대의 유지를 위해 외자를 도입하거나 공채와 같은 內債를 끊임없이 발행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때마다 시중의 유력 상업은행은 高利의 조건으로 정부 발행의 유가 증권을 매입함으로써 내채의 발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42) 楊陰溥, 民國財政史 (中國財政經濟出版社, 1985) p.12.

군정비용 舊債償還 금융정리 賑災 교육 기타 합계

회 수 16 9 5 1 1 1 33

비 율 48.5 27.3 15.2 3 3 3 100

*출처: 張宗培 中國之內國公債上卷 (상해, 1933) p.28.

<표8> 북양정부시기 국내공채발행의 용도에 대한 분석표

<표8>은 북양정부시기 발행했던 국내공채의 용도에 대한 것인데 북양정부시기 발행했던 공채의 48.5%가 북양군벌의 군정 비용으로 지 출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북양정부시기의 공채에 대한 연구 에 의하면 북양정부에 의해 발행되었던 공채 중 명목상으로는 賑災, 교육 사업, 금융시장의 안정 등과 같은 필요에 의해 공채의 발행을 추 진했지만 실제로는 이들 명목을 통해 발행되었던 공채들의 상당 부분 이 군정 비용으로 전용되곤 하였다. 그러므로 북양정부시기 발행된 공 채가 군정 비용으로 사용된 것은 <표8>에 나타난 것처럼 48.5%보다 훨씬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1922년 整理公債의 발행을 위해 담보로 사용하려 했던 鹽餘收入 중 150만원을 직예파와 봉천파 사이에 직봉전쟁이 발생하자 군향으로 전용해버렸다. 그리고 교통부의 철로 운행을 통한 수입의 일부를 강제로 군비로 전용하였다.43) 1918 년 1월부터 1922년 8월 사이에 북양정부시기 발행된 공채 총액의 반 이상이 발행되었고 그 기간 중 안휘파와 직예파 사이의 전쟁이 발발하 였고 얼마 후 직예파와 봉천파 사이의 직봉전쟁이 발생하였다. 이처럼 북양정부시기 발행되었던 공채는 국가 경제, 사회의 각 부문에 유용하 게 쓰인 것이 아니라 군벌간의 권력 투쟁과 전쟁의 필요에 따라 주로 사용되었다. 북4행 등 시중의 상업은행은 북양정부에서 공채의 발행이 있을 때마다 이에 대한 참여를 통해 높은 이윤을 보장받았지만 각 은 행에 의해 북양정부에 제공된 엄청난 양의 금융 자금은 군벌간의 권력 유지에 필요한 군정 자금이나 전쟁과 같은 군사적 필요에 낭비되어버 렸다. 말하자면 북4행 등 시중의 유력 상업은행은 북양정부에 기생하

43) 申報 1922년 7월 11일, 「公債基金之空虛」.

여 은행의 수익을 창출해갈 수 있었지만 반대로 그 과정에서 그들에 의해 정부에 제공된 막대한 양의 자금이 군벌의 권력 유지나 군벌 간 의 전쟁에 필요한 자금으로 낭비되어 버리는데 한 축을 담당했던 것이 다.

북양정부시기 재정 상황은 1912년 출범 초부터 내채와 외채를 통해 재정의 적자를 메꾸어가는 악순환이 되풀이되었다. 말하자면 북양정부 시기 정부 재정은 재정 적자를 메꾸는 과정에서 빚을 내어 빚을 갚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었던 것이다. 원세개 정부는 외채를 도입하여 재정 적자를 메꾸어갔으나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이후 서구 열강 은행단으 로부터 외채의 도입이 어려워지자 공채나 內國庫券과 같은 내채를 발 행하여 재정의 적자를 메꾸어갔다. 내채를 발행할 때마다 심각한 재정 적자에 시달리고 있던 북양정부는 시중 유력 은행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파격적인 우대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내채 발행으로부터 얻 어졌던 정부의 실제 수입은 내채 발행액의 70-80%에 불과하였고 나 머지 20-30%의 액수는 시중 유력 상업은행의 수입으로 넘어갔다. 실 제로 가장 성공적인 공채 발행이었다고 평가를 받는 민국3년공채와 4 년공채의 경우를 살펴봐도 정부 수입액은 발행액의 80.3%와 82.37%

에 불과하였다. 이처럼 정부 수입이 적은 이유는 ‘民三公債’의 경우 연 6厘의 비교적 낮은 이율의 내채였지만 발행초 시중 유력 상업은행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九四折, 즉 실제가격보다 94%의 가격으로 인수 하도록 하는 한편 발행 당시 제1기분 이자 6%를 다시 공제하고 이어 공채 발행에 필요한 수속비, 어느 일정 액수 이상의 공채를 인수한 은 행단에 대한 인센티브 등의 액수를 모두 공제하고 나머지 액수만을 정 부에서 취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북양정부시기 27종에 달하는 정식 공채와 90종에 달했던 內國庫券, 단기 은행차관 등 수많은 내채의 발 행이 있을 때마다 이에 참여한 은행들은 많은 이윤을 챙길 수 있었지 만 정부 재정의 개선에는 그리 도움이 되지 못했다. 군정 비용과 전 쟁의 수행에 필요한 경비의 조달이 급박할 경우에는 六七折에 달하는 內國庫券를 발행하기도 했다. 내채를 발행할 때마다 이에 대한 상환은

田賦, 鹽餘收入, 關餘收入, 厘金稅와 같은 통행세 등의 징세를 통해 이 루어져야 했기 때문에 결국 그 부담은 국민에게 돌아갔다. 결국 북양 정부의 재정결손을 메꾸기 위한 수단으로 발행했던 공채는 정부의 재 정개선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하고 국민의 혈세를 이용한 상환 과정에 서 은행들만을 살찌우는 결과만을 초래하였을 뿐이었다. 북양정부시기 북4행의 각 은행들은 정부와의 유착을 통하여 은행의 발전을 이룰 수 있었지만 그것은 북양정부라는 매개체를 통해 국민의 혈세를 은행의 수입으로 흡수할 수 있었던 민국초의 기형적인 재정 구조의 결과였다.

둘째, 경진 지역에 북4행이 출현함으로써 화북 지역 최대의 상공업 과 금융업의 중심지였던 천진시의 공상계와 금융계가 열강의 자본에 의해 잠식되는 것을 저지시킬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미 앞장에서 언 급했듯이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중국의 상공업 발전에 유리한 국제경제여건이 조성이 되면서 천진시에는 수요층이 두터웠던 면방직 업과 면분업과 같은 분야의 공업을 중심으로 자본금 수백만원대의 공 장들이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이로써 불과 10여년의 짧은 기간에 중소 형의 공장들을 모두 포함하여 수천 개의 공장들이 설립될 수 있을 정 도로 호황기를 맞이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열강은 중국 의 공상계에 자본을 투자하며 점차 잠식해 들어오기 시작하였는데 소 비 수요층이 두터웠던 면방직업과 면분업과 같은 공업 분야에는 이미 중국의 자본가들이 모두 선점하고 있어 거의 진출하지 못하고 일부 중 화학공업 분야에 자본금 수십만원대의 중형급 공장을 설립 운영할 수 있을 뿐이었다. 그래서 1920년대 천진시 상공업계의 뚜렷한 특징 중 의 하나는 중국인 자본가의 투자 분야의 공업과 외국 자본가에 의해 투자된 공업의 분야가 확연히 구분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로써 중국 의 민족 공업은 수요층이 두터웠던 면방직업과 면분업과 같은 경공업 분야에 자본금 수백만원대의 공장이 들어서면서 점차 싹이 트기 시작 하였다. 이미 앞장에서 언급했듯이 이들 대형 공장들이 원활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북4행과 같은 대형의 금융기관이 경진 지역에 출현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만일 북4행과 같은 대형의 금융

기관이 경진 지역에 출현하지 않았다면 대형 공장들은 필히 경진 지역 의 외상은행이나 상해의 금융기관에 의존하여 필요한 기업 자금을 융 통해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게 될 경우 경진 지역의 공상계과 금융계는 자연히 열강과 상해 금융시장에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을 지도 모른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려해 볼 때 북양정부시기 경진 지역 에 출현했던 북4행은 경진 지역의 공상계와 금융시장을 열강과 상해 에 종속되는 것을 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에 틀림없다.

셋째, 북4행이 경진 지역에 설립됨으로서 나타났던 또 하나의 중요 한 변화는 경진 지역과 화북내지의 무역이 급성장하는데 일조를 하였 다는 점이다. 경진 지역에 대형의 방직공장과 면분공장이 들어서게 되 자 화북 내지에는 공업 원료의 조달을 위하여 광범위한 면화 집산지와 같은 공업 원료 생산 기지들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화북 내지에서 공업 원료의 생산에 종사했던 자들은 자본력이 취약하여 농업 경영을 위한 자금을 융통하는데 있어서 신식 은행을 이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구식 은행인 전장에서 농업 자금을 융자하는 일이 많았다. 원래 신식 은행들은 담보대출을 원칙으로 하였기 때문에 담보력이 취약했던 화북 내지의 농민들은 농업 자금을 신식 은행으로부터 대출받지 못하고 전 장에 의존해야 했다. 이에 북4행과 같은 신식 은행들은 同業存放款이 라는 계좌를 통해 전장에 금융 자금을 융통해주고 전장을 통해 그들의 자금이 간접적으로 중소 상인들과 농민들에게 흘러들어가는 정책을 취 하였다. 북양정부시기 북4행의 각 은행들은 화북 지역의 주요도시에 그들의 지점을 확대해가기 시작하였다. 금성은행의 경우 하얼삔, 鄭州, 包頭, 張家口 등 화북 일대의 지역과 한코우, 남경 등 양자강 일대에 이르기까지 지방의 지점을 확대해갔다. 화북 내지의 주요 도시에 광범 위하게 형성되기 시작했던 북4행의 지점들은 지방의 주요 전장들에게 금융 자금을 융통해주어 그들의 자금이 지방의 중소 상인들과 농민들 에게 간접적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앞장에서 이미 서술했듯이 금성은행과 같은 북4행의 각 은행들은 유통업에 자본을 투자하여 지방의 주요 거점 지역에 수십 곳의 대형 철골 창고를 건립

Dalam dokumen 북양정부시기 北四行의 발전* (Halaman 33-3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