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비상방송설비 점검하기(LM0502010405_13v1.3) 학습 4 자동화재속보설비 점검하기(LM0502010405_13v1.4)

Dalam dokumen NCS-학습모듈의 위치 (Halaman 64-71)

2-1. 비상경보설비의 구조원리 및 점검

학습 목표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라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제조사의 사양서를 참조하여 비상경보설비의 구조원리를 파악할 수 있다.

비상경보설비 점검 지침서를 참조하여 작동⋅점검할 수 있다.

비상경보설비 점검결과보고서를 작성⋅제출할 수 있다.

필요 지식 /

 비상경보설비의 개요 및 동작 순서 1. 개요

화재의 발생 또는 상황을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음 또는 음향으로 통보하여 초기 소화활동 및 피난유도 등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는 설비로서 그 종류는 비상벨설비, 자동식 사이렌설비 및 단독경보형감지기가 있다.

"비상벨설비”란 화재 발생 상황을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이며, "자동식사이렌설비”란 화재 발생 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를 말한다.

2. 구성

기동장치(발신기 누름스위치), 음향장치(경종, 사이렌), 표시등, 이들 상호 간을 연결하는 배선 및 전원 [상용전원, 비상전원(예비전원)]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2-1] 비상벨설비의 구성 개요도 [그림 2-2] 비상경보설비 중 비상벨설비의 구성도 (일반적인 건물 설치 형태)

[그림 2-3] 자동식사이렌설비의 구성 개요도 [그림 2-4] 비상경보설비 중 자동식사이렌설비의 구성도(일반적인 건물 설치 형태)

3. 동작 순서

화재

발생 (수동조작) 발신기 작동 수신기

입력 경종, 사이렌 동작

[그림 2-5] 비상경보설비의 동작 순서

수행 내용 / 비상경보설비의 점검 및 관리하기

재료·자료

• 비상경보설비 실습세트(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등)

• 비상경보설비 「국가화재안전기준」

•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 자동화재탐지설비 「국가화재안전기준」 해설서

• 점검정비 지침서

• 건축물관리대장

• 소방도면

• 자체점검보고서(과년도 포함)

• 소방시설점검표

• 점검장비대장

• 장비 사양서

• 질의회신자료

• 교육자료

기기(장비・공구)

• 「국가화재안전기준」에 따른 소방시설 점검기구: 절연저항계, 전류전압측정계, 열감지기시험기, 연기감지기시험기, 누전계 등

안전・유의 사항

• 수신기 내부 단자대 교류전압 220V 접촉금지 및 감전 등 전격에 주의한다.

• 법령 제⋅개정 사항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적용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 건축물 용도⋅구조변경, 소방시설의 변동사항을 수시로 파악하여야 한다.

• 점검정비지침서에 따라 관리되고 있는지 점검⋅정비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 소방관련 법령은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공공기관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 「초고층,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 관한 특별법」등을 포함한다.

• 소방관련 도면은 소방시설도면, 건축도면, 전기도면, 설비도면 등을 포함한다.

• 소방관련 시설은 소방시설⋅방화시설, 전기시설, 가스시설, 위험물시설 등을 포함한다.

수행 순서

 비상경보설비의 비상전원 시험, 기동장치 동작시험 등의 방법을 숙지하고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비상경보설비의 점검 방법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점검 방법에 포함되며, 이 장 에서는 점검표에 있는 항목을 중심으로 비상경보설비의 점검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1. 비상(예비)전원 시험 (1) 목적

상용전원에서 비상(예비)전원으로 자동절환 여부, 예비전원 전압의 적정여부 (2) 점검 방법

수신기의 시험스위치 이용

(가) 교류전원등(점등 상태)과 예비전원감시등(소등 상태)을 확인 예비전원감시등이 점멸 상태이면 예비전원이 불량임.

(나) 예비전원스위치를 누른다(누르고 있는 동안만 시험 가능).

(다) 예비전원 시험 결과를 확인한다.

① 자동절환여부: 상용전원 입력을 차단한 후, 자동절환 릴레이의 작동 상황 확인

② 예비전원 전압의 적정 여부

(라) 예비전원스위치를 복구한다.

2. 기동장치(발신기) 동작시험

(1) 목적: 누름버튼 등을 조작 시 작동하고, 음향장치가 울리는지의 여부

구분 발신기 구성 및 작동 순서

구성 및 배선

작동 순서

발신기의 누름버튼을 눌렀을 경우 두 접점이 동시에 붙게 되어

1. 수신반의 지구화재릴레이를 구동시켜 화재 발보(주․지구경종, 비상방송 등) 2. 수신반의 발신기등과 발신기의 LED를 동시에 점등시킨다.

(2) 점검 방법

단계 관련 사진

1단계

□ 발신기의 누름버튼을 누름

2단계

□ 수신기 발신기 확인등 및 발신기 LED 점등 확인

단계 관련 사진

3단계

□ 주경종 및 지구경종, 비상방송 등 연동설비 확인

4단계

□ 발신기의 누름버튼 복구(빼냄) 및 결합

3. 음량 및 경보방식 적합 여부 시험 (1) 목적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계의 음량 및 음색과 구별 여부, 경보방식(일제경보, 구분경보)대로 지구 음향장치가 울리는지의 여부

(2) 점검 방법

단계 관련 사진

1단계

□ 발신기의 누름버튼을 누름

2단계

□ 경종, 사이렌의 음량을 음량계로 측정(90 dB 이상 확인)

 비상경보설비의 관련 법정 점검표를 작성한다.

법정 점검 주기에 따라 소방시설 점검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점검결과보고서인 점검표 에 기록하여, 관할 소방서에 제출(보관)하여야 한다. 검검표를 작성하는 요령은 점검항목 에 대하여 (양호 ○, 요정비 △, 불량 ×)로 구분하여 기재하여야 한다.

제시되는 법정점검표의 중요한 내용에는 작성 예시를 수록하였으니, 참조하여 실제 소방 점검 시 활용하기 바란다. 불량 내용과 조치 내용을 모두 기재하여야 하며, 별도로 지적 내역서를 보고서 앞부분에 첨부한다.

1. 작동기능점검표: 비상경보설비

구분 점검항목 점검내용

점검결과 종별,제 원, 결과 불량 규격등

내용 조치 내용 비상

전원 (내장 형)

절환장치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 원에서 상용전원으로의 자동절환 여부

충전장치 변형손상 등이 없고 이상한 발열 등의

유무

기동장치 누름버튼 등을 조작 시 작동하고

음향장치가 울리는가의 여부

스위치류 단자의 풀림 및 개폐기능의 정상

여부

퓨즈류 적정의 종류 및 용량의 사용 유무 1A 퓨즈 단선

→ 교체. 현장조치완료

계전기 기능의 정상 여부

표시등 정상적인 점등 여부 결선접속 단선⋅단자의 풀림․탈락․손상 등의

유무

음향등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계의 잡음

등과 구별 여부

경보방식 경보방식(일제경보․구분경보)대로

지구음향장치가 울리는가의 여부 × 구분 경보 방식 불량 → 보수 요망

비고

(양호○, 요정비△, 불량×)

Dalam dokumen NCS-학습모듈의 위치 (Halaman 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