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사업화 계획

Dalam dokumen 오픈 셀 케이슨 설계기술 개발 (Halaman 153-200)

○ 사업명 : 오픈 셀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사업화 ○ 사업화 모델

- 코이도(주)는 KIOST와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 셀 케이슨, 그 구조물 및 시공 방법”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하고자 함

- 상용화 공동 연구개발 협력 및 사업 역량 강화를 위해 KIOST에서 보유한 기 술 지분을 출자함으로써 연구소기업을 설립하고자 하며, 추가 연구개발 결과 물의 후속 기술이전을 계획하고 있음

- 사업화 대상기술은 해양수산부의 신기술 인증을 받았으며, 시범사업을 통해 시공 노하우 및 후속 사업 수주를 위한 reference를 확보할 예정임

- 또한 R&BD 사업 등 상용화 개발과제를 통해 공법 안정화를 추진하며, 시공 과정의 연계기술 개발을 통해 항만 구조물 장대화 시공에 대한 기술 포트폴리 오를 구축하고자 함

- 특히, 항만구조물 시공에 필요한 해상 조건별 시뮬레이션, 수리모형 실험, 항 내 정온도 평가 등을 KIOST와 협력함으로써 설계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며, 코 이도(주)는 구조물 제작 및 설치, SEALOCK 선정, 준설치환 등 시공 안정성을 확보해나갈 계획임

- 사업영역 및 규모가 유사한 경쟁기업들의 경우 독자적인 항만 장대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시장 진입장벽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오픈 셀 케이슨 설계기술 개발

132

오픈 셀 케이슨을 이용한 항만구조물 사업화

[사업 확장 시나리오]

① 상용화 시공기술 확보 (시공 reference 확보)

② 국내 기술 범용화 (항만 신기술 인증사업)

③ 해외 기술 보급 및 범용화 (국제 항만 사업 수주)

[경쟁자]

- (주)한길, 동광건설(주) 등

[협력자]

- 대형건설사(SK, 삼성, GS, 대우 등)

[시장규모]

- 케이슨: 1,153억원 (‘2017) - 항만건설: 14,883억원

(‘2017)

- 해외 항만 건설 수주액 증가 - 항만 건설 투자비 증가 - 기후 환경 변화 및 선박

대형화

[법/규제/제도 등]

- 그린포트 구축 종합계획(국토부) - 2015 해양수산발전시행계획 - 해양수산 신기술(NET) 인증제도 - 건설기술진흥법 제13조, 제14조

Revenue Model (2017년~2020년)

① 오픈 셀 케이슨 모델 적용 - 해양수산부 건설 신기술 시범사업 - 국내 시공 레퍼런스 확보

대형 항만구조물 수주 - (내수) 1,050억원

- (수출) 2021년 이후

표 5.3.1 사업화 모델

- 신항만 건설 또는 보수보강 공사의 경우 해양수산부, 지방자치단체, 지방해양 항만청, 지방항만공사 등 공공입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설계 및 시공 을 일괄 입찰하는 턴키 입찰제도의 비율이 높음

- 대형 항만시설의 경우 대형 건설사와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입찰에 참여하거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33

나 도급공사를 통해 특정 공구의 시공을 담당하고 있음

- 따라서 대형사업 입찰 참여 시 오픈 셀 케이슨 공법적용을 위해 대표기업과의 시공 협력을 추진하며, 중소형 사업의 경우 단독 입찰을 통해 시공 전문성 강 화 및 기술 범용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임

- 2020년까지 국내 항만구조물 시공 누적 매출액 1,05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 항만시설 수주에 참여하여 오픈 셀 케이슨 공법의 보급 확 대 및 사업규모 확장을 추진하고자 함

- 기술 우위성 및 경제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사업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 되며, 항만구조물의 대형화, 항만 확충 및 경쟁력 강화 정부정책, 자연환경 변 화 등 사업 외부환경 또한 긍정적임

가. 시장현황 및 전망 ○ 산업특성

- 오픈 셀 케이슨을 제조·설치하는 해당산업의 후방 산업은 원재료인 콘크리 트, 철근 등을 제조 판매하는 관련 제조업이며, 전방산업은 오픈 셀 케이슨이 사용되는 항만 등의 토목 건설업임

후방산업 해당산업 전방산업

철근 및 콘크리트 제조업 기타 토목시설물 건설업 토목 건설업

§ 철근 제조/판매

§ 콘크리트 제조/판매 § 케이슨 제조/시공 § 항만 건설 표 5.3.2 오픈 셀 케이슨 관련 산업 구조도

-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구조물도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케이 슨은 대형안벽 및 방파제의 직립구조로 선호도가 높으므로 수요가 점차 증가 하고 있음

- 이는 해상공사가 자연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고 시공 및 품질관리가 육상공사 보다 까다롭기 때문에 가능한 한 해상에서의 시공기간 및 시공분량을 줄여 대 형구조물로 하는 것이 공정 및 품질관리에 효율적이기 때문임

- 케이슨은 항만 건설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체로서 방파제, 안벽 등 항만 의 중요 시설에 적용되는 제품으로 항만 건설업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 며 산업적 특성은 아래 표와 같음

오픈 셀 케이슨 설계기술 개발

134

산업 특성 상세내용

공공재적 특성

§ 항만에 설치하는 사회간접자본의 성격이 강해 공공재적 특성 을 지니며, 수요는 정부의 해양정책 등 시장 외적인 요소에 의해 주로 발생

주문생산 방식 § 수요처의 발주에 따른 제품생산을 하게 되므로 주문생산 방식 의 산업 특성을 가짐

정부 SOC예산과 밀접 § 주요 적용분야가 항만시설 등 사회기반시설이므로 오픈 셀 케 이슨은 정부 SOC 예산의 영향을 받음

경기 변동의 영향이 적음

§ 항만 건설은 국가나 지자체의 중장기 계획에 의해 예산이 편 성되는 경우가 많아 경기 변동의 영향을 적게 받음

전후방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음

§ 철강, 조선, 물류 등 전후방 산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산업임

공공 주도 시장 형성 § 주요 수요처는 항만청,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으로서 공공 발주 형태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음

표 5.3.3 산업의 특성

○ 시장동향

- 우리나라는 21C 동북아 물류중심기지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항 만 시설물을 개선 및 확장해 나가고 있음

- 정부의 제3차 전국 항만기본계획에 따른 항만 인프라 확충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접안시설의 경우 전국 항만에 대해 화물 및 여객, 유류 등을 포함하 여 ‘20년까지 총 288선석의 접안시설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임

구분 현재시설 2011~2020 확충계획 2020년 목표

선석 능력 선석 능력 선석 능력

부산 144 25,992 40 15,023 148 38,335

광양 86 17,734 23 8,092 106 26,404

울산 101 5,674 32 3,208 132 8,882

인천 107 9,682 28 4,066 134 12,076

평택당진 47 6,938 32 3,064 79 10,103

포항 52 8,665 13 1,275 60 9,909

군산 30 2,012 9 1,039 36 2,912

목포 28 1,562 6 879 28 2,441

동해묵호 15 2,170 7 1,895 23 4,065

마산 33 1,673 4 553 26 2,294

그 외 무역항 122 8,762 67 13,476 178 21,659

연안항 104 679 27 315 126 991

합계 869 91,543 288 52,885 1,076 140,071

표 5.3.4 항만 인프라 확충계획 단위 선석 만톤 년

출처 국토해양부 제 차 전국항만기본계획

- 정부는 항만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항만인프라 확충을 지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35

속 추진하고 있어, 2016~2018년 동안 울산신항 등 15건에 약 9,000억원의 오픈 셀 케이슨 적용 가능 항만 건설 사업이 예정되어 있음

예정사업명 공사비

(억원) 착공시기 예정사업명 공사비

(억원) 착공시기

평택현대제철소부지매립 84 2016 하반기

동해항3단계방파제1,2공

1,360 2016

상반기 평택현대제철철광석부두 168 2018

상반기 포항신항스웰방지시설 350 2017 상반기 평택GS글로벌잡화부두 192 2016

하반기 제주외항3단계 228 2018

상반기 군산풍력지원항만 84 2016

하반기

울산신항남방파제2-2공

1,540 2018

상반기 포스파워

(화력발전소) 1,440 2016 상반기

동해항3단계방파제1,2공

496 2018

상반기 강릉안인화력

(화력발전소) 1,400 2016

상반기 기사문항 100 2016

하반기 울릉사동항 538 2016

하반기

부산신항서컨테이너부두

2-6단계 420 2018 하반기 울산신항북방파호안 114 2016

하반기 기타 발주사업 500 수시

표 5.3.5 오픈 셀 케이슨 적용 가능 항만 건설사업(2016~2018)

○ 시장규모 및 전망

- 선박의 대형화 추세와 석재원의 부족으로 인한 사석경사제 적용의 한계, 품질 확보와 공기단축 등을 이유로 최근 대형케이슨을 이용한 안벽 및 방파제의 시 공이 증가하고 있음

- 오픈 셀 케이슨이 적용되는 항만구조물의 경우 주로 정부 주도로 예산이 편성 되고 집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케이슨 시장 현황은 정부의 항만건설 예산 편성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파악이 가능함

- 정부의 항만건설 예산은 2013년 1조 2,287억원에서 연평균 4.91% 성장률로 2016년 1조 4,186억원으로 증가함

- 항만 건설비용의 7.75%가 케이슨 시장규모로 추정되므로 항만 건설비용에 7.75%를 적용하여 오픈 셀 케이슨 시장규모를 추산한 결과 오픈 셀 케이슨 국내 시장규모는 2013년 952억원, 연평균 4.91% 성장률로 2016년에 1,099억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됨

- 향후 연평균 성장률 4.91%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1년 1,397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됨

오픈 셀 케이슨 설계기술 개발

136

2013 2014 2015 2016 2017(E) 2018(E) 2019(E) 2020(E) 2021(E) CAGR 케이슨 제작

및 설치비용 952 940 1,057 1,099 1,153 1,210 1,269 1,331 1,397 4.91%

항만

건설비용 12,287 12,125 13,640 14,186 14,883 15,613 16,380 17,184 18,028 4.91%

그림 5.3.1 국내 오픈 셀 케이슨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억원)

출처 해양수산부 항만 건설 예산 및 연평균 성장률 적용 케이슨 제작 및 설치비용은 항만건설비용의 적용 ○ 해외 항만 수주 동향

-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와 함께 초대형 태풍 및 쓰나미 등의 영향으로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피해가 증가하고 있음

- 특히 태풍의 경우 규모가 대형화되면서 방파제 등 항만시설의 피해 규모도 갈 수록 커지고 있어, 안정성 및 경제성을 제고한 오픈 셀 케이슨의 필요성이 커 지고 있음

- 2030년 전 세계 인프라 시장규모는 57.3조 달러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 중 항 만 인프라 시장규모는 0.7조 달러로, 일반적으로 신규 항만 건설시 전체 비용 의 74%정도가 항만 건설에 투자되는 것으로 분석됨

- 이에 따라 항만건설 시장과 항만장비 시장은 각각 520억 달러, 18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됨

- 해외 건설 수주는 세계 경기변동 및 사업 수주 관련 변수에 의해 증감이 반복 되고 있으나 항만 수주액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구 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수주건수(건) 14 8 8 6 10 13 3 5

수주액(억 달러) 24 14 17 8.5 10.9 19.5 7.1 29 표 5.3.6 항만 수주액(단위 : 달러, %)

출처 건설산업연구원

Dalam dokumen 오픈 셀 케이슨 설계기술 개발 (Halaman 15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