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외 군사판매 (FMS) 와 상업구매 (CS) 와의 차이점
• 해외 생산업자 / 공급자와 직접계약에 의해 구매하는 제도
• 구매 ( 장비획득 ) 보다 경제적일 경우
2. 무기체계 획득 방법
제 4 절 무기체계 획득방법
■ 무기체계 획득방법 ( 계속 )
국외 구매의 장 · 단점
구 분 내 용
장 점
- 획득단가가 연구개발 / 기술협력 생산보다 저렴 ( 개발도상국 ) - 군사적으로 결정된 무기체계 획득 요구사항이 절박할 때
- 연구개발의 실패 위험성 배제가능
- 무기 수출국가와 정치 · 경제 · 군사적으로 유대 강화 가능
단 점
- 무기체계의 종속화 , 대외 의존적 국방체제 우려 - 기술이전 및 축적의 기회 상실
- 국가경제 및 산업발전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없음
- 구매국의 작전환경과 신체적 조건에 맞지않을 경우가 있음
2. 무기체계 획득 방법
제 4 절 무기체계 획득방법
■ 연구개발과 구매 비교
구 분 연구개발 구 매
형 태
• 국내개발 , 국제협력개발 • 국내구매 , 국외구매
• 정부개발 , 업체개발 , 공동개발 • 민수규격품 구매 , 국방규격품 구매
• 상업구매 , FMS 구매 , 임차
장 점
• 독자기술 확보가능
• 장기적 기술 및 경제 파급효과
• 수명추가비용 측면에서 유리
• 획득기간 단축
• 비용 대 이득가능성 존재 ( 초기 )
• 실패위험 낮음
단 점
• 장기간 소요
• 실패위험 높음
• 단기적 경제효과 불리
• 장기적 측면에서 비용 증대
• 필요한 기술 확보 곤란한 경우 발생
2. 무기체계 획득 방법
제 4 절 무기체계 획득방법
■ 무기체계 획득대안 구상 시 고려사항 (4 가지 )
• 무기 획득비용 고가 ⇒ 무기 수요량의 제한
• 무기체계 산업 : 중화학 공업 및 첨단산업에 기반
경제적 제약 조건
• 엄청난 획득비용 소요 : 국가경쟁력이 우선되어야 함
• 군사 동맹국과의 관계유지 고려
• 정치적 / 전략적 무기 생산 / 수출 금지 조항 : 핵무기 규제 등
• 군비경쟁의 유발 가능성 고려
3. 무기체계 획득대안 구상 시 고려사항
정치적 제약 조건
■ 토 론 주 제 ( 공통 )
2. 무기체계 발전추세
제 2 절 무기체계 발달과정 및 추세
1. 각 조별로 가상의 무기체계를 선정하고 명칭을 부여 ( 개인전투체계 , 육 . 해 / 공 / 미래 무 기 등 )
2. 선정한 무기체계가 왜 한국군에 필요한지 설명
3. 선정한 무기체계의 성능 기술 ( 사거리 , 피해능력 , 스텔스 , 기동능력 ) 4. 선정한 무기체계를 지원하기 위한 전투근무지원 체계 기술
※ 조별 단체점수 부여 : 가장 기발한 아이디어 / 논리력 순으로 0.5 점 /0.4 점 /0.3 점 /0.2
■ 점 토론방법
- 조 구분 소그룹방에서 토의 진행 ( 교수님이 소그룹방 지정 ) - 조별 진행자 ( 토론 진행 ) 임명
- 교수님이 그룹별 토의에 참가 시 잘 모르는 내용 질문
- 시간 (20 분 ) : 진행자 (0.1 점 가산점 ) 선정 , 토의주제 개인 연구 , 자체토의
- 다시 전체 그룹방으로 모여 조별 발표 ( 조별 5 분씩 서기가 발표 )
Dalam dokumen
무기체계 운영유지 측면에서의 특성
(Halaman 3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