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선박 운항현황 및 간섭사항 검토

Ⅱ.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3 해양과학공원 구축계획 수립

2.3.4 선박 운항현황 및 간섭사항 검토

○ 항로현황

- 부산항의 항로는 제1항로~제5항까지 총 5개의 항로가 고시되어 있으며, 해양과 학공원 예정지 전면에는 현재 제1항로(부산항로)가 위치해 있다.

구 분 좌 표

비 고 북 위(N) 동 경(E)

제1항로 (부산항로)

35도 06분 21.2초 129도 03분 39.8초 35도 04분 38.6초 129도 06분 35.9초 35도 04분 12.2초 129도 06분 50.8초 35도 04분 42.1초 129도 07분 09.8초 35도 04분 45.8초 129도 06분 46.9초 35도 06분 30.2초 129도 03분 47.9초

<표 2.3.8> 항로현황

○ 박지현황

- 부산항의 작업 및 대기구역 현황은 북항의 경우 제1~4구에 총톤수 2만톤급 이 하 7개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해양과학공원 예정지 전면에는 북외항 제2구 중 M-8, M-9가 위치해 있다.

구 분 위 치(경위도) 시설능력(G/T,척)

북외항

O-2

1. N 35도 05분 46초 , E 129도 04분 06초

3,000미만 × 8 2. N 35도 06분 00초 , E 129도 04분 17초

3. N 35도 05분 22초 , E 129도 04분 30초 4. N 35도 05분 40초 , E 129도 04분 50초

M-7 N 35도 05분 21.1초 , E 129도 04분 55.9초 10,000미만 × 1 M-8 N 35도 05분 14.1초 , E 129도 05분 11.9초 10,000미만 × 1 M-9 N 35도 05분 02.1초 , E 129도 05분 27.9초 10,000미만 × 1 K-3 N 35도 01분 59.1초 , E 128도 59분 15.9초 20,000미만 × 1

<표 2.3.9> 박지현황

<그림 2.3.29> 현황도

. 선회장 계획

○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해설에서 제시된 선회장 계획은 다른 수역시설 등을 고 려하여 가급적 접안시설 전면에 계획하고, 필요 시 해상조건, 대상선박의 조종특 성, 예선 사용 유무, 쓰러스터 유무,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선회장의 규모(수면적)는 다음 값을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 자력에 의한 회전의 경우 : 3L(선박 전장의 3배)을 지름으로 하는 원 - 예선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 : 2L(선박 전장의 2배)을 지름으로 하는 원

○ 단, 충분한 추진력을 갖춘 쓰러스터(thruster) 장치나 혹은 아지무스 쓰러스터

(azimuth thruster) 등과 같은 특수 추진기가 장착되어 있는 선박의 경우에는 시뮬

레이션 검증 등에 의하여 안전성이 확보된다고 판단될 경우 이보다 작게 할 수 도 있다.

. 선박 운항현황 및 운항계획

○ 해양과학공원 예정지 주변해역의 운항현황 및 장래 운항계획에 따른 대상선박 제원을 조사한 결과,

○ 부산항 국제여객 크루즈터미널의 경우, 현재는 8만G/T급 크루즈선이 접안하 고 있으며, 장래에는 22만G/T급 크루즈선이 접안 가능하도록 확장할 계획인 것 으로 조사됨에 따라 대상선박을 현재와 장래로 구분하여 8만G/T급과 22만G/T급 으로 조사하였다.

<표 2.3.10> 8만G/T급 크루즈선 제원(현재)

총 톤 수 전 장(L) 선 폭(B) 만재흘수 비 고

80,000G/T 300.0m 33.0m 10.5m 선석수심

DL.(-)11.5

* 자료 : 부산항 국제여객 및 해경부두 축조 실시설계용역 보고서(2003, 부산항건설사무소)

<표 2.3.11> 22만G/T급 크루즈선 제원(장래)

총 톤 수 전 장(L) 선 폭(B) 만재흘수 비 고

220,000G/T 361.0m 47.0m 9.1m 선석수심

DL.(-)11.5

* 주 : 22만G/T급 대상선박 : OASIS(총 톤수 222,900), ALLURE(총 톤수 226,900)

* 자료 : 부산북항 재개발사업(2차) 실시설계용역 보고서(2011, 부산항만공사)

○ 한국해양대학교의 경우, 현재 운영 중인 실습선은 약 3천6백톤급의 한나라호와 6천6백톤급의 한바다호로 조사되었으며 실습선의 제원은 아래와 같다.

<표 2.3.12> 실습선 제원

선 명 총 톤 수 전 장(L) 선 폭(B) 만재흘수 비 고

한나라호 3,640G/T 102.7m 14.5m 5.1m 선석수심

DL.(-)6.5

한바다호 6,686G/T 117.2m 17.8m 5.9m 선석수심

DL.(-)6.5

* 자료 : 한국해양대학교 홈페이지(http://www.kmou.ac.kr)

. 해양과학공원 예정지 선회장 검토

○ 부산항 국제여객 크루즈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는 크루즈선 및 한국해양대학교 실 습선의 선회구역이 해양과학공원 예정지와 상호간섭이 발생될 것으로 우려됨에 따라 선박운항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위치 선정이 필요하다.

○ 해양과학공원 예정지 주변에 위치한 부산항 국제여객 크루즈터미널 및 한국해양 대학교 선회장 구역을 조사한 결과, 현재 별도로 고시 및 지정된 선회장 구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3.4.3 운항선박 현황 및 계획’에서 조사된 선박을 대 상으로 각각의 선회장 구역을 개략적으로 추정하여 검토를 수행하였다.

○ 부산항 국제여객 크루즈터미널 선회장 구역 추정 시 대상선박은 장래를 고려하

여 22만G/T급 크루즈선 선박제원을 적용하였으며, 선박 출항 시 모식도는 “GS

칼텍스 제3제품부두 신설 해상교통안전진단” 보고서 자료를 참고로 추정하였다.

<그림 2.3.30> 선박 출항 시 모식도

○ 한국해양대학교 실습선(하나라, 한바다) 선회장 구역 추정 시 대상선박은 선박규 모가 큰 한바다호 선박제원을 적용하였으며, 선박 출항 시 모식도는 『한국항해 항만학회지 제32권 제8호, pp.597~602』에 수록된 “실습선 한바다호의 강풍시 항내 어프로칭 조선 및 예인선 사용 기준에 관한 연구”논문 자료를 참고로 추정 하였다.

<그림 2.3.31> 선박 접안 시 모식도

. 선회장 검토결과

○ 대상선박(22만G/T급 크루즈선, 한바다호)의 전장(L)을 기준으로『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해설, 2014』에서 제시한 예선에 의하여 회전하는 경우(2L)를 적용하 여 선회장 규모를 검토한 결과, 소요되는 수면적은 22만G/T급 크루즈선의 경우,

409,415㎡(원지름 722m) 한바다호의 경우, 43,152㎡(원지름 234.4m)으로 검토되

었다.

<표 2.3.13> 선회장 검토결과

대상선박 전 장(L) 선회장 규모

원지름(m) 수면적(㎡)

22만G/T급 크루즈선 361.0m 722 409,415

한바다호 117.2m 234.4 43,152

○ 검토된 각각의 선회장 구역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과학공원 예정지를 평면 상에 오버랩(Overlap)하여 검토한 결과, 평면상에서의 상호간섭은 없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그림 2.3.32> 선회장 검토 모식도

○ 하지만, 평면상에서 검토된 선회장 구역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선회 장으로 지정 및 고시가 되어 있지 않고『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해설』상에서 제시된 기준으로만 검토한 것으로 보다 정확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해 상조건, 대상선박의 조종특성, 예선 사용 유무, 쓰러스터 유무, 용량 등을 고려한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