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세계해양예보연구소의 설립 및 한국 유치의 당위성

- 에티오피아 고원에서의 강우량은 매년 북서인도양의 몬순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 으며, 동나일에 계획 중인 댐으로 인한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에 대처하기 위한 완화 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수치모델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함

- 또한 이 시스템은 기후변화로 인한 북서인도양의 변동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을 평가 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음

[그림 29] 에디오피아 고원의 수문 위치와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Indian Ocean Dipole 의 개념도

Ⅲ. 주요 기능 및 추진 전략

[그림 30] IOC 지역 위원회, 위원회, 프로그램 사무실 그리고 프로젝트 사무실들

○ IOC 의 북서태평양 지역 기구인 WESTPAC 의 조직도에서 볼 수 있듯이, IOC는 해양예보와 관련하여 다양한 관측 프로그램과 해양예보 연구 프로그램들을 운용하고 있지만 프로젝트 또는 프로그램 형태로 운용하며 IOC 산하에서 실제 적인 자료나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관은 아직 설립되지 않았음

○ 육상 공간 및 자원이 고갈되면서 해양 공간 및 자원에 대한 개발이 확대되고, 해양에서의 각종 재난, 재해가 끊이지 않고 있어 국가 간의 첨예한 이해의 대립 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2010년 멕시코만 유류 오염 사고,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방사능 오염물질의 해양 방출, 2013년

태풍 Haiyen 의 필리핀 습격 등은 어느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며 이러한 이슈

들을 다루고 지원할 해양과학기구가 필요하며 이는 IOC 의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해양 예보 기능을 수행할 세계해양예보연구소가 IOC 산하에 설립될 필요가 있음

[그림 31] IOC의 조직도

○ 여수엑스포 이후 해양분야에서 국제사회 (특히 군소도서국 포함한 개발도상국) 에 기여하겠다고 한국 정부는 공약한 바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일환으로 여수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음. 나아가, 세계해양예보연구소를 유치하여 개발 도상국들을 위해 서비스할 뿐 아니라 국제 사회에 보다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임

Ⅲ. 주요 기능 및 추진 전략

3 2 2

추진전략

3.1 국제기구 설립에 관한 국내 사례

○ APCC (Asia-Pacific Climate Center)

- 제3차 APEC 과학기술장관 회의에서 실시간 기후정보 및 이상기후 공동 감시를 위한 아태지역 기후 네트워크 구축 필요성 제시함(1998. 10, 멕시코)

- 제1차 APCN 실무그룹 회의 개최하고 APCN 사무국을 한국 기상청에 설립하기로 합의함(2001. 5)

- APCN 사무국을 개소함(2003. 1)

- APCN 국제 심포지움 개최(2003. 10) : 14개 회원국 참가 - APCN 방문 과학자 프로그램 운영(2004. 1)

- 제4차 과학기술장관 회의에서 APCN 발전방안으로 APCC 설립필요성 제안(2004. 3, 뉴질랜드)

- 회원국 지지 확보 활동(2004. 9)

- 중국은 한중기상협력회의를 통해 협상 추가

- 일본은 한일양자간 협력사업(핵융합원자로 사업 ITER 등)을 활용하여 설득 - 제27차 APEC 산업과학기술실무그룹 회의에서 회원국 동의를 확보하여 APCC 설립

에 합의(2004. 9)

- 제13차 APEC 정상회의 의제 안건으로 상정 및 APCC 개소식 (2005. 11, 부산)

○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 1990년대 초 유엔개발계획(UNDP)의 프로젝트로 시작

- 국제 공모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1994년 대한민국에 유치 성공

○ 아태원자력협력협정(RCA) 지역 사무국

- 정식명칭은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원자력과학기술의 연구개발 및 교육훈련을 위한 지역협력협정’으로 1972년 국제원자력기구의 주도하에 체결됨

- 회원국 수의 증가에 따라 지역사무국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2000년 한국이 운영비 등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유치하게 됨

○ 아시아태평양 이론물리센터(APCTP)

- 세계물리학계는 각각의 권역별 블록화가 심화되어 아태지역의 구심점이 필요 - 1997년 다자간 협의에 의한 민간(NGO) 국제기구로 설립

3.2 유치 전략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제 기구를 설립하고 유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4-5년 의 기관이 소요되며 그 사이 회원국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활동이 있어 왔음. 세계해양예보연구소 설립을 제안함과 동시에 회원국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정부와 관련 전문가 집단의 다년간의 노력이 필요함

○ 해양예보와 관련 한국의 국제적인 활동이 극히 저조했던 것이 사실임. 그러나 한국은 전지구 해양예보를 수행할 만한 인적, 물적 자원을 갖추고 있어 기회 가 주어지면 국제 사회에 기여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음. 특히, 한국은 새로운 슈퍼컴 도입을 위해 기획 연구를 수행 중이며 이를 이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IOC로부터 세계해양예보연구소를 위한 예산 지원을 기대하기가 어렵고, 아직

은 선진국에 비해 기술력이 떨어지는 한국이 세계해양예보연구소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한국 정부 (해양수산부)의 예산 지원이 필요함

○ 국내의 해양예보 관련 인력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의 협조를 구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전문가 그룹이 적극적으로 세계해양예보연구소에 관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세계해양예보연구소의 소장을 포함하여 국외 전문가를 초청할 필요가 있음

○ 국제적인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세계해양예보 연구소의 설치 장소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Ⅲ. 주요 기능 및 추진 전략

3.3 세계해양예보연구소의 입지 조건

장소 장점 단점

송도국제도시

인천공항과 가까워 접근성 좋음. 국제도시로서 외국 인력이 체류 하기에 적합함

인천시의 재정상 연구소 부지 및 사무실에 대한 지원을 기대 하기 어려움

서울대학교 시흥 국제캠퍼스

인천공항과 가까워 접근성 좋음. 송도국제도시와 가깝고 서울대 학교 국제캠퍼스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국 인력 체류에 장점. 서울대학교와의 학연 협력 관계 용이

서울대학교 및 시흥시와 협의가 필요함

한국해양 과학기술원 안산 캠퍼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부산 이전 이후 부지 사용 가능성 높음. 인천공항과 비교적 가까움

외국 인력 체류를 위한 부대 시설 부재

한국해양 과학기술원 부산 캠퍼스

해양예보 관련 유관 기관들과 가까워 협력 관계 유지 용이. 부지 및 사무실 사용 비용 절감

접근성 떨어짐.

외국 인력 체류를 위한 부대 시설 부재

여수 엑스포 부지

엑스포 부지 재활용, 부지 및 사 무실 사용 비용 절감

접근성 떨어짐.

외국 인력 체류를 위한 부대 시설 부재

4 로드맵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