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1 세부과제별 기술 및 목표 성과물 제시
� 유효활용을 위한 수저준설토 표준평가지침 및 기준제시
핵심기술명 수저준설토 정화 기작 및 처리 공정 개발
기술정의 Ÿ 유효활용을 목적으로 한 정화 기작 및 처리시스템 개발
기술트리 (요소기술) 세부기술명
Ÿ 중금속 및 잔류성 유기오염물질의 최적화 정화 기술 Ÿ 중금속 존재 형태별 타깃 금속형태를 정화하는 기술 Ÿ 정화 모듈 공정 개발 기술
Ÿ 정화 모듈 최적화 평가 기술 Ÿ 정화 기술 경제성 평가 기법 Ÿ 정화 기술 환경 영향 평가 기법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연도 1차년 2차년 3차년 4차년 5차년
연구개발 목표
- 수저준설토 정화 타깃 중금속 형태 선정 - 정화모듈의
설계변수도출
- 정화모듈의 개념설계 - 최적화 정화
방안 설계
- 정화모듈의 상세 설계 - 정화기술의
경제성평가
- 모듈화 설계 - 모듈 최적화
평가
- 상용규모설계 - 정화기술의
가치 평가
단계별 산출물
- 정화 타깃 오염물질 인벤토리 - 정화 공정을
위한 설계 변수
- 오염물질 정화 기술 - 모듈화 설계
- 정화 모듈 완성 - 완성된
모듈화 설계
- 최적화된 정화 공정
- 최적화 된 정화 모듈
� 수저준설토 정화 기술 개발
90
핵심기술명 수저준설토의 유효활용을 위한 소재 및 재생기술 개발
기술정의 Ÿ 수저준설토의 유효활용을 위한 소재 개발 및 재생 기술
기술트리 (요소기술) 세부기술명
Ÿ 수저준설토 재생기술 Ÿ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기술
Ÿ 유효활용 소재 및 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 Ÿ 재생기술 및 소재의 경제성 평가 기법 Ÿ 재생기술 및 소재의 환경성 평가 기법
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연도 1차년 2차년 3차년 4차년 5차년
연구개발 목표
- 관련기술 프로파일 구축
- 개발 기술의 경제성 평가
- 재생기술의 공정 개발 - 친환경건설재
료화 기술 개발 - 고형화
기술을 이용한 재생기술 개발
- 개발 기술의 가치 평가
- 유효활용 제품 시험 생산
단계별 산출물
- 재생기술 관련 기술 프로파일
- 경제성이 확보된 재생 기술
- 수저준설토를 이용한 친환경 건설재료 - 고형화
기술을 이용한 수저준설토 재생제품
- 재품기술에 대한
- 수저준설토를 이용한 제품
�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소재 및 재생기술 개발
그림 5.9 성과물 기반의 TRM 5.3.2 세부과제별 성과물 연계성
- 각 세부 과제에서 개발되는 요소기술의 연계를 통한 획득 전략 구축
Ÿ 준설물질에 대한 오염 현황 분석 및 신속한 결정을 위한 표준분석기법 개발 Ÿ 유효활용 관련 법제도 개선(안) 및 환경기준(안) 마련
Ÿ 환경 및 생태계 영향 파악을 위한 진단 기법 Ÿ 오염 성상 연구를 통한 최적화 정화 기법 수립
Ÿ 오염 현황 분석 및 환경∙생태계 영향 파악 진단 기법을 이용한 정화 대상 및 기준 선정 Ÿ 제시된 정화기준을 바탕으로 한 재생소재 연구
Ÿ 환경∙생태계 영향 파악 진단 기법을 활용한 재생 기술의 안전성 평가
5.3.3 성과물 기반 TRM
92
과제 사업내용 (사업목표) 예산
(억 원)
준설토 관련 정화기준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기준 마련
- 수저준설토 내 오염물질 프로파일 구축 및 정화 기준안 마련 -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 초안 개발
- 수저준설토의 중금속·잔류성유기오염물질 표준평가방법 실증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개념설계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기법 개발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기법 실증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지침서(제안) - 정화 처리 기준 개발
- 유효활용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 개발
- 유효활용을 위한 수저준설토 환경 관리 세부 지침 개발
- 수저준설토 정화 의사결정 도구안 확립 -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의 사결정 도구안 확립
- 개발된 정화기술의 경제적 가치 평가
18.65
제 6장 연구과제 소요예산
6.1 소요예산
6.1.1 연구비 총괄
� 90억 원, 총 5년(1차년 10억) (천원)
구 분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계
준설토 관련
정화기준 225,000 450,000 440,000 400,000 350,000 1,865,000 정화기술개발 665,000 1,180,000 1,220,000 1,240,000 1,380,000 5,685,000
재생기술개발 110,000 370,000 340,000 360,000 270,000 1,450,000 총 계 1,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2,000,000 9,000,000
6.1.2 세부과제별 소요예산
- 수저준설토 정화 및 유효활용 의사결정기법지침(고시안) 제안 - 법제화 자문 및 지원
정화기술개발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개발
- 실시간, 대용량 수저준설토 분리 기술 기초 개발
-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정화 기작(Mechanism) 개발 - 실시간, 대용량 수저준설토 분리 기술 개발(Lab. scale) -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정화 공정 개발(Lab. scale) - 실시간, 대용량 수저준설토 분리 기술 개발(Pilot scale) -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정화 공정 개발(Pilot scale)
처리기술 공정 설계
- 국·내외 수저준설토 현장 정화 관련 기술 조사 및 주요 설계 요소 도출
- 처리기술 공정 개념설계 - 처리기술 공정 상세설계 - 처리기술 공정 모듈화 설계 - 처리기술 공정 상용규모 설계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최적화 및 기술 실증 - 정화 처리기술 공정의 최적화
- 정화 처리기술 실증(안) 개발
- 정화 처리기술 실증 및 상용화(기술이전)
58.86
재생기술개발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기반 구축 및 재생기술 개발 - 유효활용 소재 개발
- 재생기술 공정 개발 및 설계 - 재생기술의 경제성 평가
- 소재의 성능평가 및 실용성 확인
수저준설토 재생 기술 최적화 및 기술 실증 - 재생기술 공정의 최적화
- 재생 산물 평가(규격, 물성, 성능 및 가치) 방안 개발 - 재생기술 실증(안) 개발
- 재생기술 실증 및 상용화(기술이전)
수저준설토 유효활용을 위한 재생공정 Pilot-장치 구현
- 수저준설토 재생기술 시험(중간처리, 최종처분, 유효활용 포함)
14.50
94
사업연도 사업내용(사업목표) 예산
(억 원)
1차년도 (2017)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기준 마련
- 수저준설토 내 오염물질 프로파일 구축 및 정화 기준안 마련 -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 초안 개발
- 기술개발의 경제성 평가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개발
- 실시간, 대용량 수저준설토 분리 기술 기초 개발
-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정화 기작(Mechanism) 개발 처리기술 공정 설계
- 국·내외 수저준설토 현장 정화 관련 기술 조사 및 주요 설계 요소 도출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기반 구축 - 유효활용 소재 개발
- 재생기술 공정 개발 및 설계 - 재생기술의 경제성 평가
10
2차년도 (2018)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기준 마련
- 수저준설토의 중금속·잔류성유기오염물질 표준평가방법 개념설계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개념설계
- 정화 처리 기준 개발
- 유효활용을 위한 의사결정 도구 개발
- 유효활용을 위한 수저준설토 환경 관리 세부 지침 개발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개발
- 실시간, 대용량 수저준설토 분리 기술 개발(Lab. scale) -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정화 공정 개발(Lab. scale)
처리기술 공정 설계 - 처리기술 공정 개념설계
수저준설토 유효활용을 위한 재생기술 개발 - 유효활용 소재 개발(계속)
- 재생기술 공정 개발 및 설계(계속)
20
3차년도 (2019)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기준 마련
- 수저준설토의 중금속·잔류성유기오염물질 표준평가방법 개발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기법 개발
- 수저준설토 정화 의사결정 도구안 확립 -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의사결정 도구안 확립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개발
- 실시간, 대용량 수저준설토 분리 기술 개발(Pilot scale) - 중금속 및 잔류성유기오염물질 정화 공정 개발(Pilot scale)
처리기술 공정 설계 - 처리기술 공정 상세설계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기반구축 및 재생기술 개발
20 6.1.3 단계별 연차별 소요예산
- 유효활용 소재 개발(계속) - 소재의 성능평가 및 실용성 확인 - 재생기술 공정 개발 및 설계(계속)
4차년도 (2020)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기준 마련
- 수저준설토의 중금속·잔류성유기오염물질 표준평가방법 실증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기법 실증
- 개발된 정화기술의 경제적 가치 평가 - 법제화 자문 및 지원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최적화 및 기술 실증 - 정화 처리기술 공정의 최적화
- 정화 처리기술 실증(안) 개발 처리기술 공정 설계
- 처리기술 공정 모듈화 설계
수저준설토 재생 기술 최적화 및 기술 실증 - 재생기술 공정의 최적화
- 재생 산물 평가(규격, 물성, 성능 및 가치) 방안 개발 - 재생기술 실증(안) 개발
20
5차년도 (2021)
수저준설토 관련 법·제도 검토 및 기준 마련
- 수저준설토의 중금속·잔류성유기오염물질 표준평가방법 지침서(안) 제안
- 수저준설토 생태계 영향 평가 방안 지침서(제안)
- 수저준설토 정화 및 유효활용 의사결정기법지침(고시안) 제안 - 법제화 자문 및 지원
수저준설토 유효활용 정화기술 최적화 및 기술 실증 - 정화 처리기술 공정의 최적화(계속)
- 정화 처리기술 실증 및 상용화(기술이전) 처리기술 공정 설계
- 처리기술 공정 상용규모 설계
수저준설토 재생 기술 최적화 및 기술 실증 - 재생기술 공정의 최적화(계속)
- 재생기술 실증 및 상용화(기술이전)
수저준설토 유효활용을 위한 재생공정 Pilot-장치 구현 - 수저준설토 재생기술 시험(중간처리, 최종처분, 유효활용 포함)
20
96
그림 7.1 기존 인프라와 연계 활용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