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현장계측
3.2.3 소단에 따른 계측결과
5.2m 굴착에 대한 현장의 소단을 이용한 시공현황은 Fig. 3.3와 같고, 소단 시공단계의 모식도는 Fig. 3.4과 같다. 실제 많은 현장에서는 소단의 경사를 문헌 (Korean Geotechnical Engineering, 2002)에서 제시한 경사로 형성하지 않고 1:1 또는 이 보다 급한 경사로 소단을 형성한다. 본 현장 은 상당히 경사가 급한 1:0.2의 소단을 2.5m 높이로 두고 시공이 진행되 었다. 본 절에서 분석된 계측 자료는 지중경사계, 하중계, 변형율계로 획 득된 자료들이다. 지표침하와 지하수위 변화는 크게 발생되지 않아 제외 하였다.
Fig. 3.3 Bermed excavation situation at the site
1.0m 1.0m 1.0m 1.0m4.0m
2.5m5.2m4.8m
지중경사계
차수 GROUTING (P.C.F공법) Φ1,000 C.T.C 800
Inclinometer
Soil(SM)
Water proof grouting (P.C.F. method)
1000 C.T.C. 800
Weathered rock
H-Pile +Timber lagging H-3003051515 C.T.C. 2000
Fig. 3.4 Cross-sectional diagram of 5.2m bermed excavation at the site
(1) 지중경사계
소단 폭의 변화 및 굴착깊이에 따른 지중경사계를 이용한 최대수평변위 계측결과는 Fig. 3.5와 같다 (Kwanglim Engineering Co. Ltd., 2015). 지중 경사계는 H-Pile 시공 후 굴착 전 가시설벽체에서 약 2m 이격하여 설치 되었으며, 주 2회의 빈도로 계측을 수행하였다. Fig. 3.5를 보면 계측값이 5.2m 굴착깊이에서 관리기준치 20.8mm 보다 훨씬 작은 4.1mm (소단 폭 1m 조건에서)가 발생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굴착깊이가 5.2m로 비교 적 낮은 편이고 풍화토가 비교적 물성이 좋은 특성 (32/30 < N < 50/14)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역할을 대신 하기 때문에 벽체 상부 쪽에서 변위가 크게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 3.6 Measured maximum horizontal displacement to berm width in case of 5.2m excavation
(2) 하중계
지중경사계 계측이 이루어진 동일한 지점 (6k+200)의 버팀대에 설치된 하중계 측정결과 Fig. 3.7에 나타낸 것처럼 축력은 28.38 ~ 51.16tf로 측정 되었다. 모두 관리기준 이내의 축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경향을 보면 굴착 깊이가 깊어 짐에 따라 그리고 소단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 이는 것을 알 수 있다. 13.6m 굴착고에서 소단 폭에 다른 축력변화를 보 면 지중경사계 자료와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소단역할과 관련해 서 유사한 경향이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1st level strut
6
(c) 3rd level strut
(3) 변형률계
지중경사계 계측이 이루어진 동일한 지점 (6k+200))의 버팀대에 설치된 변형률계를 통해 계산된 응력을 Fig. 3.8에 나타냈다. 변형률계의 경우 현 장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을 정확하게 고려하기 어려워 계측 값에 약 간의 오차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산된 응력은 -237.1 ~ -180.6kgf/cm²로 나타나 관리기준 이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경향은 굴착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그리고 소단 폭이 좁아짐에 따라 인장 응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는 버팀대에 설치된 하중 계 자료와 잘 일치하는 경향을 보이고 소단역할과 관련해서 유사한 경향 이 발생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a) 1st level strut
(c) 3rd level str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