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수직도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제어정보시스템 개발
3.2.2 수직도 제어정보 GUI 설계
가. 수직도 모니터링 알고리즘 및 데이터 표출
원형강관의 기울어진 정도를 가시적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최대 기울기 각도를 인 디케이터로 나타냈으며, 리프팅 제어정보는 각기 다른 색상으로 표현하였다. 각도와 색상 은 수집된 계측 데이터 기반으로 계산되며 계산기법 알고리즘(코딩)은 다음 그림과 같다.
그림 3.12 인디케이터 표출 알고리즘
그림 3.13 리프팅케이블 개별조절을 위한 위치별 케이블 색상 변화 표출 알고리즘
나. GUI 구성 및 기능
일반적으로 경사계 계측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데이터는 설정된 축방향에 대해서만 기 울기 값을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원형강관 경사방향 등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용이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강관 자세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개발하였다. 수직도 모니터링 GUI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강관 자세 정 보, 3D 디스플레이 화면, 2D 디스플레이 화면과 리프팅 라인 정보, 설정 창 버튼으로 구성 하였다. 3D 디스플레이 화면은 마우스 휠 버튼과 드래그를 통해서 원형 강관을 줌 인/아 웃, 회전하여 자세히 세부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D 디스플레이 화면은 리프팅 라인 원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고 원형강관 중앙에 인디케이터를 위치시키고, 강관의 기울 기가 허용 범위를 넘을 경우에는 표출되는 색에 변화를 주어 강관이 어느 쪽으로 어느 정 도 기울어졌는지 직관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리프팅 라인에는 수직도가 허용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초록색으로 표시되지만, 허용범위 이상일 경우 리프팅케이블 제 어가 필요한 위치가 빨간색으로 변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였다. 설정 창은 메 인 화면의 우측 하단 버튼을 클릭하여 진입할 수 있으며, 3D 모델링 설정창, 수평도 표시 범위 설정 창, 원형 라인 설정 창, 서버 연결 설정 창으로 구성하였다. 3D 모델링 설정 창 은 원형 강관 시공 형태에 맞게 상부 프레임의 모양과 리프링 라인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사용자에 따라 강관의 3D 모델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수평도 표시 범위 설정 창은 시공 목적에 따라 강관의 기울기의 정도의 한계를 정할 수 있다. 리프팅케이블 설정 창은 원형강관 시공 시 적용된 케이블 라인의 개수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서버 연결 설정 창은 수직도 계측 정보를 활용한 시스템 S/W의 IP 주소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접속이 완료되면 센싱된 값을 3D GUI에 디스플레이가 되어 원 형강관 석션관입시 실시간으로 기울어진 위치와 경사를 직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으 므로 현장에서 수직도 확보를 위한 즉각적인 대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림 3.14 GUI 구성
그림 3.15 원형강관 수직도제어정보 GUI 3D 디스플레이
그림 3.16 2D 디스플레이 기능
그림 3.17 프로그램 설정창
그림 3.18 프로그램 실행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