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같은 조건은 1 ∼ 2 회의 조사로는 파악이 어려운 조건도 있으므로 가능하면 장기
간의 조사와 확인을 거쳐 양식 적지를 선택해야 한다.
숭어 축제식 양식
• 방양밀도는 크기별로 선별하여 실시
• 크기가 작은 경우에 는 방양밀도를 다소 높게 잡아도 문제는 없지만 크기가 큰 경우에는 방양밀도를 높이면 안 됨
• 방양 마릿수가 적을수 록 성장은 좋으나, 양식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단 위 면적(m
2)당 10∼30cm 정도의 크 기 5마리(125마리/25m
2) 정도
• 숭어는 가두리 또는 육상 수조식 양식의 타 어종에 비하여 밀도에 의한 성장
의 차이는 작지만 , 방양밀도를 과도하게 높일 경우 양식장 환경 의 오염 및
그에 따른 피해가 예상
• 축제식 양식장은 조석 간만의 차 와 인위적인 주수· 배수를 통해 자 연적으로 환수가 되는 동시에 먹 이생물 유입의 장점
• 사료를 통하여 성장을 더욱 증진 시킬 수 있으며, 사료의 공급 여부 는 그에 따른 성장의 차이가 뚜렷 하므로 축제식 양식장에서도 사 료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
숭어의 먹이
• .
• 성장 증진을 위해서는 배합사료나 생사료 를 사용할 수 있고, 배합사료의 경우 연중 일정량 공급이 가능하지만 가격이 높기 때 문에 그에 따른 생산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지속적으로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축 제식 양식장 내의 동식물 플랑크톤 의 현 존량을 추정한 후 생사료 및 배합사료의 공급량을 결정
• 구체적인 공급 방법으로는 전문 연구 기관 에 부유 생물의 현존량 파악을 의뢰
• 일시적으로 다량 어 획되는 시기에 생사료 를 확보하여 소규모의 냉동 시설을 갖추어 보관하면서 부유 생물의 현존량을 모니터 링하며 적정량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
가두리양식
어류 가두리양식장의 적지 조건
① 물의 순환이 잘되고 배설물과 사료의 찌 꺼기가 쉽게 제거되며, 용존산소량이 풍부한 물이 충분히 공급되는 곳(유속은0.5kn/h 이 하, 참다랑어는2kn/h 이하인 곳)
② 수온이 적당하고, 적정 수온의 유지 기간 이 긴 곳
③ 강우 시에 다량의 담수, 공장 폐수, 생활 하 수 등이 유입되지 않는 곳
④ 풍파가 강할 때 양식 시설이 파괴되지 않 는 곳
⑤ 사료의 공급과 어류의 출하가 용이한 곳
⑥ 전기 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곳
전복 가두리양식장의 적지 조건
① 해수의 유통과 조류 소통이 좋은 곳
② 담수의 유입이 적고, 적조의 위험성이 없 는 곳
③ 풍파와 태풍에도 시설물의 유지가 가능한 곳
④ 도난의 위험성이 적고, 관리가 용이한 곳
⑤ 전복의 먹이인 해조류를 구하기 쉬운 곳
⑥ 수심이5m 이상으로 저질이 시설물을 고 정시킬 수 있는 곳
⑦ 연간 수온이7∼28℃의 범위이며, 20∼25℃ 의 기간이 긴 곳
⑧ 전복 가두리양식장 주변에 굴, 담치 등 패 류 양식장이 없는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