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의
3.2 (
스택 알고리즘, Algorithm)
포함 특성을 만족하는 캐시 교체 정책을 스택 알고리즘으로 정의한다
. □
포함 특성은 용량과 시간에 관계없이
,
그리고 어떤 주소 기록에도 관계 없이 큰 캐시가 작은 캐시의 내용을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포함 관 계가 성립할 때 다음과 같은 스택 정의가 가능하다.
정의
3.3 (
스택, Stack)
포함 특성을 만족하는 캐시에서,
시간t
일때 라 할 때
,
스택은 다음과 같은 순서 리스트이다.
for
□
는 캐시 크기가
i-1
에서i
로1
커지면서 추가되는 블록을 의미한다.
는 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는 많아야 하나의 블록만이 존재한다
.
그러므로 는 캐시 사이즈가0
부터 커지면서 추가되 는 블록의 리스트이다.
스택을 사용하면 성공 함수
(success function)
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정의
3.4 (
임계 용량, Critical Capacity)
시간t
에서의 임계 용량 는∈ 을 만족시키는 가장 작은 캐시의 용량으로 정의한다
. □
어떤 블록이 용량
C
인 캐시에 포함되었다면 포함 특성에 의해 용량이C
보다 큰 캐시는 모두 그 블록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캐시 접근에 대하여 용량
K
미만의 캐시는 모두 그 블록을 포함하지 못하고,
용 량K
인 캐시는 모두 그 블록을 포함하게 하는 용량K
가 존재하며,
그 용 량K
를 임계 용량이라고 한다.
를 스택에서 살펴봤을 때 라면
,
이 기 때문에 의 임계 용량 는K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는 스 택 의 첫 원소로 부터K
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임계 용량을 스택 거 리(Stack Distance)
라고도 한다.
를 어떤 주소기록을 스택 처리한 후 스택의 거리에서 관찰된 횟 수라고 하자
.
스택 거리는 임계 용량을 뜻하기 때문에,
임계 용량이 인 캐시 접근이 번 있었다는 뜻과 같다.
따라서 등을 안다면 용량C
인 캐시가 해당 주소기록을 처리했을 경우 캐시에 적중한 캐시 접근 횟수 는 다음과 같다.
그러므로 전체 캐시 접근 횟수가
L
일 경우 캐시 용량에 따른 성공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은 스택에 카운터를 추가하여 값을 구할 수 있다
.
3.3.1.2 완전 순서
캐시의 용량에 관계없이 이전의 접근한 모든 블록들의 완전 순서
(total ordering)
로 이루어진 우선순위 리스트(priority list)
를 가지고 캐시 블록 을 교체하는 캐시 교체 정책은 포함 특성을 만족시킨다[MGS+70].
하지만 포함 특성을 만족시킨다고 해서 완전 순서가 꼭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완전 순서를 지키는 대표적인 교체 정책으로
LRU
와 균형을 깨는(tie-breaking)
기능을 추가한LFU(Least Frequently Used)
가 있다.
그들은 캐시의 크기에 관계없이 어떤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 리스트를 만들고 교 체가 필요할 때 리스트에서 가장 낮은 우선순위에 있는 블록을 교체한다.
완전 순서를 만족시키지 않는 대표적인 교체 정책으로FIFO(First In First Out)
교체 정책이 있다. FIFO
는 캐시 용량에 따라 각각 다른 우선순위 리 스트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완전 순서를 지키지 못하는 교체 정책은 여러 캐시 용량의 성능을 측정 하기 위해 각각의 캐시 용량마다 우선순위 리스트가 있어야 한다
.
따라서 완선 순서를 지키지 못하는 캐시 교체 정책은 여러 캐시 용량의 캐시를 실험하기에 많은 저장 공간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큰 워킹셋일 경우에 강한 교체 정책의 캐시 요구 량을 알려주며
,
완전 순서를 지킴으로써 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하는 스 택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Halaman 8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