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스템 구축을 위한 사업 추진체제 및 역할 분담

Dalam dokumen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Halaman 97-101)

2.1. 추진체제

관할해역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1단계에 관리시스템에 필요한 모든 기술 개발을 완료한다. 2~3단계는 동해 및 남해의 관할해역에 융합 실시간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 해양환경을 감시하여 관할해역을 관리한다(그림 4-2).

[그림 4-2] MT-IT 융합 실시간 관할해역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추진체계

2.2. 역할분담

MT-IT 융합 실시간 관할해역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한국해양연구원이 총괄

연구기관으로 운영한다. 먼저, 수중은 음향기술 분야에서 해저음향관측케이블을 통하여 수중 이동체 및 저주파 대역을 감시한다. 해양관측 부이에서 해양물리환경

(해수유동, 수온․염분 등)을 실시간 측정하고, 화학 및 생물 센서를 통하여 해역의

생지학적인 측면을 연구한다. 해저관측케이블에서 측정된 자료는 수중통신 모뎀을 통하여 해양관측부이로 전송되고, 해양관측부이에서 측정된 물리, 화학 및 생물 자료는 수상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연구센터로 전송되며, 실시간 연안역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이다(그림 4-3).

[그림 4-3] MT-IT 융합 실시간 관할해역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역할분담

2.3. MT-IT 융합 체계

2.3.1. MT-IT 융합

(1) 수중통신/부이공중 LTE통신/수중글라이더활용 등 최신의 정보통신(IT)기술을 해양기술(MT)에 접목

(2) 특히 해저관측케이블(IT복합기술)이 국내 최초로 해양기술에 적용되어 실시간 첨단 해양관측망을 구축하여 융복합 체계 정립

2.3.2. 해양기술간 융합(해양 및 대기과학 등의 기술 융합) (1) 해상 : 기상학 (기상, 기온 등)

해양위성학 (선박 추적, 선박 감시 등) 해양화학학 (기상 방사능 농도 등)

통신분야 (음파통신, 전파통신, 양방향 송수신 등) (2) 수중 : 해양물리학 (해수유동, 물성 등)

해양생물학 (동․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어군 탐지 등) 해양화학학 (중금속 농도, 수중 방사능 농도 등)

수중음향학 (수중 이동체, 해상선박추적 신호 탐지 등) (3) 해저 : 수중음향학 (해양기인 쓰나미, 해저화산, 태풍 등) 지구물리학 (해저지진 등)

(4) 해양 및 대기과학 등의 각 분야가 밀접히 연계된 종합 해양관측망을 구성하므 로 해양기술간 융합이 필수적임

2.3.3. 타분야간 융합(타기관과의 협력) (1) 주요협력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 광주과학기술원 : 실시간 관할해역 체계 기술개발 하드웨어 구성 협력 - 표준과학연구원 : 해양관측 시스템 정립에 관한 협력

- 전자통신연구원 : 수중․수상 통신 기술에 관한 협력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해저지층구조연구 및 모니터링 기술 협력

(2) 정부기관

- 기상청 : 기상 관측 방법 및 대기-해양 분석 방법 등 협력 - 국립해양조사원 : 실시간 관측 시스템 관리 및 유지․보수 협력 - 국립수산과학원 : 어군 탐지 등 수산생물 측정에 관한 기술 협력 (3) 해양관련 대학

- 부경대, 서울대, 한국해양대, 충남대, 군산대 등

- 해양관련 대학과 기초학술연구를 병행하여 기초과학 연구 협력 (4) 우수 기술 보유 기업체

- 한화, LIG-넥스원, KTSubmarine, LS 전선, 극동전선 등 - 기업체를 통해 대규모 해양관측 센서배열망 설계/제작 (5) MT-IT 융합을 위하여 산학연의 기술 융합을 추구함

2.3.4. 사업운영 외부연구기관 참여 예산배분

(1) 한국해양연구원을 주관연구기관으로 위탁 및 장비 설계, 제작을 위하여 협동, 위탁 등의 방법으로 MT-IT 융합 시스템 완성(표 4-1)

<표 4-1> 사업운영 외부기관 참여 예산배분(1차년도)

(단위 : 억원)

참여구분 참여기관명 추정배분예산 역 할

주관 한국해양연구원 20 연구주도

협력 정부출연연구원 5 주요협력

위탁 대학 5 위탁참여

협동/위탁 정부기관 5 협동/위탁

장비설계/제작 기업체 15 제품제작

합 계 50

Dalam dokumen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Halaman 97-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