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결과 및 고찰
3.3 식물상
연구지역의 식물상은 문헌조사(최 등, 2006)를 포함하여 126과 422속 766종 2아종 96변종 13품종 등 총 87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 가운데 귀화식물은 12과 37속 45종, 재배 및 식재식물은 25과 32속 33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5.1%로 귀화식물 의 유입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체 과별 구성비를 보면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된 것은 국화과이며, 벼과, 장미과, 사초과, 콩과 순의 빈도로 확인되었 으며,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의 과별분포 양상과 비슷하다(Appendix Ⅱ).
3.3.1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Endangered Wild Species)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Endangered Wild Species)은 3과 3속 3종이 확인되 었으며 모두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종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RUPR. et MAX.) HARMS)는 현지조사시 자생을 확인하였으나, 분홍장구 채(Silene capitata KOMAROV), 독미나리(Cicuta virosa L.)는 분홍장구채와 독미나리 는 문헌조사(최 등, 2006)에 의해 확인된 종으로 현재 분포여부를 재확인 할 필요성이 있 다. 또한 식생조사 시 확인된 가지산에서 확인된 노랑무늬붓꽃은 2012년 이전에 확인할 당 시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종이었으나, 2012년 이후로 해제되었다(Table 14).3.3.2 산림청지정 희귀식물(Rare Plants)
산림청지정 희귀식물(Rare Plants)은 24과 34속 37종이 확인되었다. 땅나리, 말나리 등은 등산로 가장자리에서 흔하게 확인되었으며, 태백제비꽃, 금강애기나리, 두루미천 남성, 개족도리풀, 노랑무늬붓꽃은 식생조사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한편 측백나무, 목 련은 자연적으로 자생하는 종이 아닌 인위적으로 식재하여 유지되고 있는 재배종으로 확인되었다(Table 14).
3.3.3 국제적 멸종위기식물(CITES)
국제적 멸종위기식물(CITES)은 3과 3속 3종이 확인되었으며, 은대난초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 보춘화(Cymbidium goeringii (REICHB. F.) REICHB.), 천마(Gastrodia elata BL.)이다. 3종 모두 숲내부에서 자생이 확인된 종 이다(Table 14).
3.3.4 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
특산식물(Korean endemic plant)은 14과 18속 20종이 확인되었다. 지리대사초 (Carex okamotoi OHWI), 개족도리풀(Asarum maculatum NAKAI), 새끼노루귀 (Hepatica insularis NAKAI), 꼬리말발도리(Deutzia paniculata NAKAI), 병꽃나무 (Weigela subsessilis L. H. BAILEY),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NAKAI) 등은 숲내부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노각나무는 수피가 아름다워 관상가치가 높은 특산식
물로 중해발이상 신갈나무군락 내 수반종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개나리는 재배종으 로 확인되었으며, 검팽나무, 개족도리풀, 꼬리말발도리, 설앵초는 특산식물인 동시에 산림청지정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다(Table 14).
3.2.5 생활형분석
연구지역에서 확인된 식물상 877종에 대하여 라운키에르 생활형(Raunkiaer, 1934) 분 석 결과 반지중식물(H) 36.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일년생식물(Th) 18.7%, 반지중 식물(G) 15.4%, 대형-소형지상식물(M) 15.2%, 미소지상식물(N) 9.5%, 근생수생식물 (HH) 2.3%, 착생식물(E) 1.6%, 지표식물(Ch) 1.3%의 순이었다(
Table 11)
. 한반도에 분 포하는 식물상의 분포 비율과 비교해보면 일년생식물(Th)의 비율이 높고, 미소지상식 물(N)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리산국립공원의 식물상의 분포 비율과 비교해보면 대부분 유사하나 반지중식물(H) 및 일년생식물(Th)의 비율에서 더 높은 차 이를 보였다. 이는 국립공원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 지역에 비하여 영남알프스 주변은 도로개설, 사면침식, 탐방객유치 등에 의한 나대지 증가로 반지중식물 및 일년생식물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Region
Life-form classes
M N Ch H G HH Th E
study area 15.2 9.5 1.3 36.1 15.4 2.3 18.7 1.6
Jirisan National Park(2013) 15.0 8.8 3.8 28.7 18.3 7.5 16.6 1.3 south Korea(1982) 20 14.8 1.9 30.0 12.4 1.4 19.0 7.4 Korean Peninsula(1982) 16.0 16.2 1.5 35.1 15.0 2.3 12.7 1.2
*M: megaphanerophytes or icrophanerophytes, N: nanophanerophytes, Ch: phanerophytes, H:
hemicryptophytes, G: geophytes, HH: hydrophytes, Th: therophytes, E: epiphytes
Table 10. Life-form spectra of plants in the
*M: megaphanerophytes or icrophanerophytes, N: nanophanerophytes, Ch: phanerophytes, H: hemicryptophytes, G: geophytes, HH: hydrophytes, Th: therophytes, E: epiphytes
Figure 50. Life form spectra of the Korea and several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