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아동보호서비스

Dalam dokumen 아동보호서비스 분석 연구 (Halaman 41-44)

‘아동보호서비스’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 되어 사례 관리된 가정에 제공된 서 비스를 의미하며 서비스 1건당 1회로 서비스 횟수를 사용하며 숫자가 커질수록 빈 도수가 많은 것이다.

1) 아동보호서비스 대상

아동보호서비스 대상인 피해아동, 학대행위자를 각각의 변수로 사용한다.

가) 피해아동

피해아동은 아동학대로 판단되어 실제 아동학대 피해를 입은 만 18세 미만의 아동 들을 의미하며 피해아동의 경우 성별(남=1, 여=2), 연령(0-17)로 사용한다.

나) 학대행위자

학대행위자는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으로 아동학대 사례로 판단된 자를 의미한다.

성별(남=1, 여=2), 연령(16-80), 관계(1-6)으로 측정한다.

2) 아동보호서비스 유형

아동보호서비스 유형은 상담서비스, 의료서비스, 심리치료서비스, 가족기능강화서 비스, 행위자수탁서비스, 일시보호서비스, 사건처리지원 서비스, 기타 서비스가 있 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상담서비스, 의료서비스, 심리치료서비스, 가족기능강화서비 스, 행위자수탁서비스로 선정하여 이용 횟수를 변수로 측정한다.

변수명 측정방법 비고

독립변수

개입기간

처벌법 시행이전 2013년, 2014년 = 1

처벌법 시행이후 2015, 2016년 = 2

학대 행위자 주 특성

양육태도 및 방법 부족

특성 없음 = 0 특성 있음 = 1 사회·경제적스트레스

부부 및 가족갈등 성격 및 기질문제 중독 및 질환문제

종속변수 아동보호 서비스

상담서비스

서비스 유형별 이용 횟수

의료서비스 심리치료서비스 가족기능강화서비스

행위자수탁서비스

통제변수 성별 남 = 1

여 = 2

<표7> 변수의 구성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수집된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의 울산 지역 기록 자료를 이용하였다. 그 중 본 연구에 필요한 변수들을 선정하여 울산 지역 아 동보호전문기관에서 아동학대로 판단된 학대행위자의 아동보호서비스 이용을 살펴 보기 위하여 2014년 4월 29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법’ 시행 전후인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상의 통계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 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문제의 분석 방법으로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울산 지역 아동보호 전문기관의 사례의 주요 특성 및 변수가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기 술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 대상 및 주요 변수들의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확인하였다.

둘째, 처벌법과 아동보호서비스의 차이 검증, 처벌법 시행 전후 학대행위자 특성 에 따른 아동보호서비스 차이 검증을 위하여 교차분석(X2제곱)을 실시하였다.

셋째, 위의 분석방법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 검증 후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주요 변수 간의 영향 분석을 위해 주요 변수를 순서대로 투입하여 분석하 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 4 장 연구 결과

제1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Dalam dokumen 아동보호서비스 분석 연구 (Halaman 41-44)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