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아카이브에 대한 일반론적 논의

아카이브(Archive)는 예술뿐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 는 용어로 전통적인 의미는 역사적인 기록물 자체를 의미하거나 이를 보 관한 기록 보관소라는 의미를 가진다. 아카이브라는 단어의 직접적인 어 원은 라틴어 아르키붐(Archivum)으로 이는 시작 또는 시초, 그리고 정 부기관 등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아르케(Arkhe)에서 유래한 것이다. 한편 아르케이온(Arkheion, 고대 그리스에서 사법권을 갖는 통치자인 아르콩 트 Archontes가 사는 곳)70) 역시 같은 어원으로부터 비롯한 용어이다.

시작, 기원이라는 뜻의 아르케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아카이브의 작업은 근원적인 질서와 객관성을 추구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아카이 브는 전통적으로 진실의 수호자이며, 아카이브는 과거의 행동과 역사적 인 사실에 대한 흠결이 없는 증거를 포함하는 기록이라는 믿음에 의해 만들어졌다. 20세기 초반 영국의 공식 기록 사무실71)에서 아키비스트 (Archivist)로 일했던 힐러리 젠킨슨(Hilary Jenkinson)은 “좋은 아키비스 트는 아마도 현대 사회가 만들어내는 사실(truth)에 대한 사심 없는 신봉 자일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72)

70) 아카이브와 같은 어원을 갖는 것으로 통치자의 주거지이자 국가의 공식문헌이 보존 된 장소라는 뜻, Sven Spieker, 『빅 아카이브 The Big Archive』(2008), 이재영 옮 김(홍디자인, 2013), p. 20.

71) 현재 영국 국립기록보존소(The National Archives)에 속한다.

72) Joan M. Echwartz, Terry Cook, “Archives, Records, and Power : The Making of

한편 아카이브가 처음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프랑스 대혁명 시기부터이며, 19세기가 되어 더욱 다양한 아카이브가 구축되었는데73) 이는 당시 시대적으로 선형적 시간 개념을 바탕으로 역사를 객관화하고 이런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던 열망이 있었기 때문이다.

1881년에는 베를린 국립기록보존원에서 프로베니엔츠프린치프 (Provenienqprinzip)74)라는 아카이브의 원칙인 ‘출처의 원칙(Principle of Provenance)'이 도입되었다. 이는 본래 1874년 하인리히 폰 지벨 (Heinrich von Ziebel, 프로이센 국립기록보존원장이자 역사학자)에 의해 발견된 것으로 미국 국립기록보존원의 저명한 아키비스트인 테오도어 알 쉘렌버그(Theodore R. Schellenberg)에 의해 기록물 정리의 고전적 원칙 으로 자리잡았다. 이는 기록의 분류를 주제나 의미가 아닌, 기록보존원으 로 이전되기 전의 출처에 따르고자 하는 것75)으로 19세기 당시 아카이 빙의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위의 흐름과 함께 아카이브는 다수의 기관과 개인에 의해 만들어져 온 것으로, 각 아카이브에서는 일정한 원칙에 의해 수집하기로 결정한 기록 들을 모은다. 그렇기에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행위인 아카이빙(archiving) 은 수집할 자료를 선정하고 이를 수집하는 행위 자체를 의미한다. 한편 이와 같은 아카이빙은 전통적으로 객관적이고 진실을 담는다는 믿음 아 래에서 만들어졌지만, 점차 이 역시 사람이 만드는 것이기에 순수한 객 관성을 지닌 것이기보다는 어느 정도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는 인식의 변

Modern Memory", Archival Science, 2(2002), p. 11.

73) 1789년 파리에 국립아카이브(Archives Nationales)가 설립되었으며, 1796년 지방아카 이브(Archives Departementales)설치에 대한 법령이 통과되었다. 1838년 영국에서는 공공기록법(Public Record Act)이 제정되었고, 1872년 캐나다에서 공공아카이브가 설 립되었다. 미국은 1934년 국립아카이브(National Archives)를 설립했다.

74) 기록의 분류와 보관에서 같은 출처의 기록은 다른 출처의 그것과 뒤섞이면 안된다는 원칙, Spieker(주 70), p. 44.

75) Spieker(주 70), p. 44.

화가 일어났다. 이와 같이 과거부터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던 아카이 브의 객관성에 대한 믿음에 대하여 역사이론가인 도미니크 라카프라 (Dominick LaCapra)는 아카이브가 보관하고 있는 사료 그 자체에 과거 사실이 ‘그대로’ 녹아 있다고 믿는 것은 순진한 가정이며, 아카이브를 과 거 기억이나 경험과 동일어가 아닌 이를 문서화한 것에 불과하다는 점을 주지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한다.76)

자크 데리다(Jacque Derrida) 역시 아카이브가 어원에서부터 단순한 문서보관소가 아닌, 명령을 내리고 문서를 해석할 권위를 부여받은 사람 인 아르콩트의 공적거주지를 의미하는 것이며, 이를 아카이브가 존재하 는 장소에 대한 소유, 관리의 독점적인 권한으로 보았다. 그렇기에 이들 이 사건을 기록하는 만큼이나 생산하는 역할도 한다고 보았고77), 아카이 브가 객관적인 자료의 모음이기보다는 권력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보았다. 데리다의 시각을 수용한 베른 해리스(Verne Harris)는 남아프리카의 아파르트헤이트78) 안에서 아카이브가 어떻게 작 동했는지, 그리고 그 이후 상황에서 어떻게 아카이브가 변화하였는지를 보여주었다.79)

미셀 푸코(Michael Foucault) 또한 1960년대 말에 아카이브가 이미 수 집할 자료를 선택하고 그를 분류, 배치하는 방식, 그리고 저장 매체들을 통해 특정 담론과 권력 생산의 역할을 담당해왔다고 지적한다.80) 또한

76) 육영수, 「기억, 트라우마, 정신분석학 : 도미니크 라카프라와 홀로코스트」, 『미국 학논집』, 36권 3호(2004, 겨울), 한국아메리카학회, pp. 177-78.

77) Jacque Derrida, Archive Fever : A Freudian Impression(Mal d'Archive: Une Impression Freudienne, 1995), trans. Eric Prenowitz(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p. 34.

78) Apartheid : 남아프리카의 인종차별정책.

79) Verne Harris, "Redefining Archives in South Africa: Public Archives and Society in Transition, 1990-1996", Archivaria 42 (Fall 1996), Echwartz, Cook(주 72), p. 4에 서 재인용.

80) 김남시, 「아카이브 미술에서 과거의 이미지」, 『미학예술학연구』, 49권 0호(2016),

푸코는 근대 역사에서 이를 조정하고 해석하는 사람이 힘을 갖게 되는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였는데 앨런 세큘러(Allan Sekula)는 이런 시각을 바탕으로 20세기 초반의 사진 아카이브에 대해 논했다. 세큘러는 아카이 브를 일컬어 종종 전면적인 통제와 전폭적 관리 규율이라는 현대적인 꿈, 즉 질서 정연한 합리성 위에 구축된 현실의 한가운데 놓인 거대한 파일 캐비닛에 맞는 암호로 간주한다.81) 세큘러는 1880년에서 1910년 사 이에 아카이브가 사진에서 지배적인 제도적 기초가 되었다고 지적하 며82), 이런 사진 아카이브가 사회 통제라는 이름으로 주류 인구와 범죄 유형, 인종을 차별화하고, 과학적 및 실증주의 원칙의 모호한 기치 아래 사회적 일탈을 규제하는데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8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