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第6章 結 論

Ⅱ. 연구논문 및 기타 자료

김석균, “해양레짐의 관점에서 본 PSI의 실행 과제”, 「국제법학회 논총」제54권 제3호, 대한국제법학회, 2009.

김인현, “선박국적부여조건으로서의 진정한 연계와 국제사회의 대 응”, 「해사법연구」제18권 제1호, 한국해사법학회, 2006.

김영구, “새 해양법협약상 해협통항제도에 관한 일고찰”, 「국제법 학회논총」제53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1983.

민성규·최재수, “선박국적제도의 국제법상 의의와 국적취득조건부 나용선의 통관 문제”, 「한국해법학회지」제26권 제2호, 한 국해법학회, 2004.

박경현, “선박국적제도에 관한 국제동향과 국내법의 개정방향”,

「한국해법학회지」제9권 제1호, 한국해법학회, 1987.

박성호·이윤철, “국제해협의 통과통항제도와 호르무즈 해협의 법 적 쟁점에 관한 연구”, 「해사법연구」제25권 제1호, 한국 해사법학회, 2013.

박희권, “항해안전에 관한 불법행위 억제 협약의 개정과 한국외

교”,「서울국제법연구」제13권 제2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06.

신홍균, “북한의 발사체 발사에 따른 법적 쟁점 : UN 안전보장이사 회 결의의 성격과 한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제 31권 제1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6.

윤주경,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권한 확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4.

이석용, “국제해양법상 해협통항제도”, 「STRATEGY 21」제11호,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3.

이원갑, “국제해협에서의 통과통항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 구」제2권 제4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987.

이윤철, “국제해사기구(IMO) 결의의 국제법적 효력”, 「해사법연 구」제13권 제2호, 한국해사법학회, 2007.

이윤철·윤귀호, “국제해협에서의 강제도선제도에 대한 해양법협약 상의 고찰”, 「해사법연구」제19권 제1호, 한국해사법학회, 2007.

이윤철·임채현, “국제해협에서의 통과통항권 및 해양환경보호”,

「해사법연구」제20권 제3호, 한국해사법학회, 2008.

임채현·이윤철, “연안국 해양안보관할권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해사법연구」제20권 제1호, 한국해사법학회, 2008.

정갑용, “제주해협의 통항문제와 정책방안”, 「월간 해양수산」제 220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3.

정대율, “2005년 항해안전에 대한 불법행위 억제협약의 국내 대응 방안 연구”,「해사법연구」제18권 제1호, 한국해사법학회, 2006.

정서용,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에 대 한 국제법적 검토”, 「서울국제법연구」제15권 제1호, 서울 국제법연구원, 2008.

채이식, “선박의 국적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해법학회지」제19 권 1호, 한국해법학회, 1997.

최재수, “선박국적제도의 변질과정에서 본 세계해운의 구조적 변 화”, 「한국해운학회지」제9호, 한국해운학회, 1989.

최종화, “PSI의 법적 정당성 확보에 관한 일고찰”, 「해사법연구」

제19권 제1호, 한국해사법학회, 2007.

최종화, “PSI 실행상의 법적한계와 한국의 대응책”, 「해사법연

구」제15권 제2호, 한국해사법학회, 2003.

황진회, “북한의 해운·항만물류 실태와 남북한 공동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월간 해양한국」2008년호 제2호, 한국해사문 제연구소, 2008.

영해 및 접속수역법, 법률 제14607호.

해사안전법, 법률 제14839호.

2004년 3월 10일 자 북한 외무성 대변인 담화, 「노동신문」, 2004.3.11.

김성탁, “미국 재무부도 혀 내두른 북한의 선박 위장술”, 「중앙일 보」, 2017.9.13<http://news.joins.com/article/21932093>.

김정우, “북한 선원 태운 자메이카 선박, 러시아 나홋카 항 억류”,

「VOA Korea」, 2016.7.8<https://www.voakorea.com/a/340810 1.html>).

임명규, “몽골국적 위장 북한선박 우리 영해 통과 중”, 「KBS N EWS」, 2016.3.17<http://md.kbs.co.kr/news/view.do?ncd=32498

99>.

주성하, “北 고물상선들, 왜 해적 출몰해역에 자주 나타나나”,

「동아일보」, 2009.5.9<http://news.donga.com/3/all/20090509/

8729803/1>.

최원기, “북한 ‘세금 없는 국가’ 주장 터무니 없어”, 「VOA Korea」, 2016.4.7<https://www.voakorea.com/a/3799512.html>.

함지하, “북한행 선박들, 목적지 허위 표기...일부 한국행 입력하기 도”, 「VOA Korea」, 2016.6.21<https://www.voakorea.com/a /3384372.html>.

Leo Byrne, 정다민 역, “무기 밀수 의심 북한 관련 선박들, 한국 왕 래 정황 드러나”, 「NK News Korea」, 2017.5.25<https://kr.

nknews.org/c%EC%8B%AC%EC%B8%B5%EC%B7%A8%EC%9E%

AC-%EB%AC%B4%EA%B8%B0-%EB%B0%80%EC%88%98-%E C%9D%98%EC%8B%AC%EB%90%98%EB%8A%94-%EB%B6%8 1%ED%95%9C-%EA%B4%80%EB%A0%A8-%EC%84%A0%EB%B 0%95%EB%93%A4-%EC%A0%95%EA%B8%B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