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2> 연구경로모형
경로 β B S.E t P
자기효능감 → 우연기술 .649 .539 .080 6.727*** .000 자기효능감 → 진로탄력성 .144 .108 .056 2.560* .015 우연기술 → 진로탄력성 .780 .701 .108 6.482*** .000
*p<.05, ***p<.001
<그림 3> 최종연구모형
3. 매개효과 검증
일반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변수를 보통 매개변수라 하는데 이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변수이다. 즉, 매개변수는 독립변수의의 결과임과 동시에 종속변수의 원인이 되는 변수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숨어있는 인과적 인 구조를 이해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유의한 매개변수가 존재한다면,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주는 영향은 직접효과(direct effect), 그리고 간접효과(indirect effect)로 나누어진다. 직접효과는 매개변수가 존재함 에도 불구하고 매개변수를 거치지 않고 종속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이고, 간접효과는 매개변수를 통해 종속변인에 영향을 주는 것인데, 이 간접효과를 매개효과라고 한다.
또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한 값은 총효과 또는 전체효과(total effect)라고 한다.1) 자기효능감과 진로탄력성의 관계에서 우연기술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bootstrap) 절차를 활용하여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rout 와 Bolger(2002)가 제안한 부트스트랩 절차에 맞춰 원자료(N=317)로 부터 500개의 표본 을 생성하여 신뢰구간 95%에서 간접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최종모델의 총효과에 대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해하여 추정한 다음 직 접,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 최종연구모형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및 유의성 검증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자기효능감 → 우연기술 .539 .000 .539
우연기술 → 진로탄력성 .701 .000 .701
자기효능감 → 진로탄력성
우연기술 .108 .611** .719
1) 매개효과는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대한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오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 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고 간접효과만 유의미하게 나오면 완전매개 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동시에 유의미하면 부분매개로 본다(김계수, 2010).
<표 1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자기 효능감이 진로탄력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가 p<.01 수준에서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우연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진로탄력성에 직접적으로 영 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우연기술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