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환경비용정보 프레이밍에 따라 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질문지 실험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실증연구의 한 방법인 실험연구(experimental research)를 채택한다. 실험연구는 과학적 연구방법 중 하나의 모델(model)이 되는 중요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 연 구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좋은 방법이 된다(차배근과 차경옥, 2013). 실험연구에서 다루는 실험에 대해서는 다 양한 정의가 있는데 차배근과 차경옥(2013)은 여러 정의를 종합하여 다 음<표 8>과 같이 정리하였다.
질문지 실험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1원적 요인설계(factorial design with one variable)방법으로 진행되었다. 1원적 요인설계 방법은 하나의 독립변인이 여러 조건으로 제시될 때, 각 조건에 따라 종속변인에 미치 는 영향을 측정하는 실험설계이다(차배근과 차경옥, 2013). 이 연구에서 독립변인으로 선정한 환경비용정보는 환경프레임과 경제프레임이라는 두 가지 조건(, )으로 제시되며, 이에 따라 변화하는 종속변인인 환경 인식 변인(, )을 측정한다([그림 1] 참고). 이 실험에서 학생들은 환 경프레임과 경제프레임 각 독립집단에 무선할당()되어 정보를 제시 받 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설계를 통해 정보 프레이밍에 따라 변화하는 종 속변인을 측정하는 것으로 프레이밍과 인식사이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집단1 : 환경프레임 실험집단2 : 경제프레임
[그림 1] 1원적 요인설계
프레이밍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가장 좋은 방법에 대하여 합의가 된 것은 아니지만, 다음의 3가지 기준 (standard)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는 프레이밍 효과 측정 방법을 제시했다 (Chong & Druckman, 2007). 첫째, 쟁점을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프레 임을 비교하여 선호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대규모 집회 를 자유발언 프레임으로 제시하는 것과 공공안전에 대한 문제가능성으로 프레이밍하여 선호를 비교한다(Nelson et al., 1997). 두 번째는 대안 프 레임에 대한 선호와 쟁점관련 개인 가치의 상관관계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선 개인의 가치가 진실한 선호를 드러낸다고 가정하며 개인의 특정가치와 대안 프레임 사이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일 때, 큰 프레이밍 효과가 있다고 해석한다. 예를 들어, 자유와 법에 대한 가치를 가진 그룹 에 서로 다른 프레임을 제공하여 선호에 대한 일관성을 확인한다
(Sniderman & Theriault, 2004). 마지막으로 기본정보 제공을 통한 대조 군과 프레임 처치 집단을 비교하여 프레이밍 효과를 밝힌다.
Druckman(2001b)은 비교하고자 하는 프레임(손실/이득)을 모두 제공한 그룹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처치집단과 효과를 비교하였다.
프레이밍효과는 다양한 관점에서 사안을 볼 수 있으며, 그 관점에 따 라 의미가 다르게 나타남을 전제하는 것(Chong & Druckman, 2007)에 이 연구는 주목하고 있다. 또한 강조프레이밍은 잠재적으로 각 개인에게 관련 있는 고려사항에 대한 질적인 차이에서 발생한다(Druckman, 2001a, 2004). 따라서 프레이밍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정보제시 방식에 따른 질적 차이를 측정하는 첫 번째 방식인 쟁점과 관련된 프레 임을 환경과 경제로 제시하여 그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측정방법을 선 택하여 실험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