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지역별 아파트의 매매 가격은 전세 가격 및 월세 가격과 연동되어있으므로, 지역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곧 주거비 부담을 대 리하는 지표로 상정한다. 한편, 아파트 매매 가격에는 아파트 건물 자 체의 가치도 포함되어있지만, 근린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 역시 포함 되어있다. 따라서 아파트 매매 가격이 높은 지역 근처에는 여러가지 혜택(교통수단과의 편리한 접근성, 상권, 교육 여건 등)을 누릴 수 있 을 것이고, 아파트 매매 가격이 낮은 지역 근처에는 상기의 혜택을 거의 누릴 수 없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수차례 검증된 바 있는, 소득에 의한 생활 만족도의 증가 효과를 다시 한 번 검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가설 1 :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모형을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다.

지역 아파트 평균 가격 낮음 지역 아파트 평균 가격 높음 개인 소득

낮음

주거비 부담이 낮고, 개인 소득이 낮음

-> 부담이 덜 함

주거비 부담이 높고 개인 소득이 낮음

-> 부담이 큼 개인 소득

높음

주거비 부담이 낮고 개인 소득이 높음

-> 부담이 없음

주거비 부담이 높고 개인 소득이 높음 -> 부담이 매우 적음

<표 3> 가설 2

<표 3>에서, 아파트 매매 가격이 낮은 지역에서는 전반적인 주거비 부담이 낮다. 따라서 소득이 적은 개인이라도 아파트 매매 가격이 높

은 지역에 비해서 부담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 주거비 부담이 적은 지역이므로 소득이 높은 경우에는 주거비 부담이 매우 적다. 그러나 낮은 아파트 가격이 상징하는, 근린에서 누릴 수 있는 혜택이 매우 적은 상황이므로 생활 만족도가 높을 수 없다. 한편, 아파트 매매 가 격이 높은 지역에서는 전반적인 주거비 부담이 크므로, 소득이 낮은 경우에는 생활만족도가 매우 낮을 것이다. 한편, 아파트 매매 가격이 높은 지역에서 소득이 높은 개인이라면 주거비 부담이 감당 가능한 선에서, 다양한 근린의 혜택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생활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2 : 지역의 아파트 매매 가격의 평균값이 높아질수록, 소득이 생활만족 도에 주는 영향이 커질 것이다

가설 2-1 : 아파트 매매 가격의 평균값이 높은 지역에서는 소득이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2-2 : 아파트 매매 가격의 평균값이 낮은 지역에서는 소득이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이다

지역 아파트 표준 편차 적음 지역 아파트 표준 편차 큼 개인 소득

낮음

지역 내 생활 수준 편차 적음 개인 소득이 낮음 지역 내 소득 낮은 사람이 많음

지역 내 생활 수준 편차 큼 개인 소득이 낮음 감당 범위 이상의 주거비 부담 개인 소득

높음

지역 내 생활 수준 편차 적음 개인 소득이 높음 지역 내 소득 높은 사람이 많음 근린의 혜택을 많은 사람이 공유

지역 내 생활 수준 편차 큼 개인 소득이 높음 지역 내 소득 높은 사람이 적음

근린의 혜택을 소수가 독점

<표 4> 가설 3

<표 4>에서, 아파트 매매 가격의 편차가 낮은 지역에서는 지역 내 생활 수준의 편차가 적다. 이때, 개인 소득이 낮다는 것은 지역 내 소 득이 낮은 사람이 많다는 의미이다.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많이 거주

하는 공간은 주거비 부담이 적은 공간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근본적 으로 아파트의 매매 가격이 낮은 <표 1>의 상황과 같다. 한편, 개인 소득이 높은 경우에는 지역 내에 소득이 높은 사람이 많이 거주한다 는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소득이 높은 인원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이 반드시 주거비부담이 높은 지역이라고 단정할 수 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거비부담이 큰 경우나 작은 경우나 상 관없이 개인 소득이 높으므로 이를 감당하기에 큰 무리가 없다. 한편, 근린의 혜택이 적어도 아파트 매매 가격이 적은 지역에 비해서는 많 이 분포해있을 것으로 가정한다면 생활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 이다. 한편, 지역 아파트의 매매가의 표준편차가 큰 지역에서 소득이 낮은 개인이 거주한다면, 해당 지역은 주거비 부담이 개인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 비해서 다소 높게 책정되어있을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 아파트 매매가의 표준편차가 큰 지역에서 소 득이 높은 개인이 거주할 경우, 주거비부담이 감당가능한 수준에서 근린의 혜택을 향유할 수 있으므로 생활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3 : 지역의 아파트 매매 가격의 편차가 클수록, 소득이 생활만족도에 주 는 영향이 커질 것이다

가설 3-1 : 아파트 매매 가격의 편차가 큰 지역에서는 소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가설 3-2 : 아파트 매매 가격의 편차가 적은 지역에서는 소득이 생활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이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