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레슬링 소속별 심리기술과 경쟁상태불안 차이를 규명하여 향후 한국레슬링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선수유형에 맞는 심리기술 훈련과 불안 해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고등학교 레슬링선수들의 심리기술은 체급, 소속에서 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경쟁상태불안은 소속에서 인지적 불안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목에 따른 심리기술은 자신감, 경쟁상태불안은 신체적 불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자유형과 그레꼬로만형 선수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목표설정과 의지력에 있어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쟁상황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은 신체적 불안에서 상호작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레슬링 선수의 소속, 종목별 경쟁상황에 따른 심리기술과 경쟁상태 불 안에 대해 분석한 연구 결과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몇 가지의 제한점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레슬링 선수들에게 일반화로서 적용하기에는 한계 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제한점을 기초로 하여 그것과 관련된 부수적인 연구문제를 부단히 제기하고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기서 본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을 중심으로 앞으로의 후속 연구과제에 대한 제안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광주·전남권에 소속되어 있는 중·고등부 남자 레슬링선수 대상으로 제한되어 있다. 남녀 선수의 비교 연구도 같이 하면 좋았겠지만 현 시점에

속적으로 수행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진, 허정훈이 개발한 심리기술요인과 경쟁상태 불안에 관한 연구를 분석한 것이다. 따라서 후에는 다른 심리기술과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들을 조사하여 레슬링 선수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고홍환, 김기웅, 장국진(1994). “운동행동의 심리학”. 서울 : 보경문화사.

권택일(2004). “레슬링 선수들의 경기불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남 대학교대학원.

김기웅(1994). “선수선발의 심리학덕 기준과 방법”. 제32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50-56.

김기웅(1996). “경기시 선수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7(2),79-88.

김기웅(1999). “경기 심리상태 조사연구Ⅱ”. 한국체육학회지. 38(1), 197-207.

김기웅, 김용근, 김병현, 이병기, 한명우(1986). “대표선수들의 경기불안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1986년 스포츠 과학 연구과제 종합보고서Ⅱ. 395-440.

김기웅, 이만령(1987). “정보처리 역량의 선수선발에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기초연구”.

이화체육논집.1(1),36-45.

김남범(1990). “레슬링 선수의 경기전 심리적 불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 학위논문.

관동대학교 대학원.

김종진(2005). “남자대학 투기종목선수의 경기불안 차이분석”. 미간행석사 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임영란, 홍상황(2001). “성격평가질문지 실시요강”. 서울 : 학지사.

김향숙(2001). “사회공포증 하위 유형의 기억 편향”.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서울대 학교 대학원.

류봉태(2004). “중학교 레슬링선수의 시합전 경쟁상태불안 수준이 경기성적에 미치는

문충식(1999). “레슬링 선수의 경기 전 경기불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 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민진(2014). “고등학교 레슬링 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자신감 및 경기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순철, 고완상(2005). “수학에 대한태도와 불안에 관한 연구”,「수학교육연구」.

26(1), 8.

박준호(1996). “레슬링선수의 불안원인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백다예(2014). “수치심 기억과 도식적 신념이 편집성향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재덕(1994). “운동선수들의 경기불안원인 및 수준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손형구 외(1995). “체육백과대사전”. 한국사전연구소.

송주한(2007) “.여자 레슬링 선수의 경기불안특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석사 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신용호(1990). “프로선수들의 경기불안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신정훈(2003). “레슬링 선수들의 시합 전 경쟁상태불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양남준(1992). “레슬링선수의 경기력향상을 위한 불안원인 분석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유범희(2001). “불안의 정신분석적 이해”. 정신병리학. 10(1), 17.

이강욱(2001). “불안의 생물학적 이해”. 정신병리학. 10(1), 23.

이권노(1997). “무도선수들의 시합전 경기불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임규홍(1997). “레슬링 선수의 경기불안에 대한 분석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정기영(1993). “레슬링선수의 시합전 현장심리분석을 통한 경기력 향상에 관한 연구 : 고등부 자유형 선수를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다운(2012). “레슬링의 시합형과 연습형 선수의 상태불안 분석”. 미간행 석사학 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정진혁(2013). “레슬링 선수유형별 경쟁상황에 따른 심리기술 및 경쟁상태불안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안동대학교 대학원.

한창환(2001). “불안 개념의 역사적 고찰”. 정신병리학. 10(1), 20.

Burton, D.(1988). “Do anxious swimmers swim slower? Reexamining the elusive Anxiety-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0, 45-61.

Fisher, A.C.(1976). “Psych up, push out : Relationship of arousal to sport perfomance. In A.C. Fisher(Eds.)”, Psychological sport(pp-136-142).

Palo Alto, CA, Mayfield Publish.

H.Ritter(1990). “Anxiety”. Journal of Religionand Health́ ́ ́ ́ ́ ́ ́ ́ ́ ́ ́ ́ ́ ́ ́ ́ ́ ́ ́ ́ ́ ́ ́ ́ ́ ́. ́ 49-50.

Levitt, E. E. (1980). “The psychology of anxiety. ́ ́ ́ ́ ́ ́ ́ ́ ́ ́ ́ ́ ́ ́ ́ ́ ́ ́ ́ ́ ́ ́ ́ Hillsdale, NJ : Erldaum.

Martens, R.(1977).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Martens, R, Vealey, R.s, & Burton, D.(1990). “Competitive anxietyin sport.” ́ ́ ́ ́ ́ ́ ́ ́ ́ ́ ́ ́ ́ ́ ́ ́ ́ ́ ́ ́ ́ ́ ́ ́ ́ ́ ́ Champaign, IL : HumanKinetics.

Mattick, R. P., & Clarke, J. C.(1998). “Development alvalidation of asures of social phobiascrutiny fear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Behaviour ́ ́ ́ ́ ́ ́ ́ ́ ́ Resear chandtherapy.́ ́ ́ ́ ́ ́ ́ ́ ́ ́ ́ ́ ́ ́ ́ ́ ́ ́ ́36, 455-470.

MoreY LC.Henry W.(1994). “Personality Asseessment Iventory .In Maruis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 록>

부록 :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본 조사의 설문에 응하여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본 설문조사는 레슬링선수의 심리기술과 경쟁상태불안을 분석하기 위한 것입니다.

응답하신 내용은 연구목적 이외의 다른 용도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각 질문에 대하여 맞고 틀리는 것이 없으니, 여러분의 개인적인 생각을 느끼시는 대로 응답하여 주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바쁘신 가운데 설문에 응해주셔서 다시 한 번 감사 합니다.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박 정 민

H.P : 010-****-1234

1. 성별 :

2. 종목 :

스 포 츠 심 리 기 술 질 문 지

전혀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1. 내 능력을 믿는다 . 1 2 3 4 5

2. 나의 플레이에 지장을 줄 정도로 긴장한다 . 1 2 3 4 5 3. 평소 훈련할 때 목표를 설정한다 . 1 2 3 4 5 4. 시합에서 집중이 제대로 안 된다 . 1 2 3 4 5 5. 시합에 대해 너무 걱정하는 편이다 . 1 2 3 4 5 6. 나의 동작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 . 1 2 3 4 5

7. 세부적인 목표를 세운다 . 1 2 3 4 5

8. 팀 동료들과 지내는 것이 즐겁다 . 1 2 3 4 5

9. 내 실력에 자신이 있다 . 1 2 3 4 5

10. 목표를 세우고 달성하는 편이다 . 1 2 3 4 5

11. 부상에도 불구하고 해내려고 애쓴다 . 1 2 3 4 5

12. 시합할 때 가끔 딴 생각이 든다 . 1 2 3 4 5

13. 시합상황이 불리하면 흔들린다 . 1 2 3 4 5

14. 아파도 이겨낸다 . 1 2 3 4 5

15. 우리 팀 선수들은 서로 사기를 올려준다고 생각한다 . 1 2 3 4 5 16. 운동할 때 한 곳에 집중이 안 된다 . 1 2 3 4 5

17. 시합 전 마음이 긴장된다 . 1 2 3 4 5

18. 쓰러져도 끝까지 한다 . 1 2 3 4 5

19. 집중이 쉽게 무너진다 . 1 2 3 4 5

20. 성공적인 경기장면을 자주 상상해 본다 . 1 2 3 4 5

21. 계획을 세워 운동한다 . 1 2 3 4 5

22. 우리 팀은 실수를 해도 서로 격려한다 . 1 2 3 4 5

23. 나는 자신 있게 시합에 임한다 . 1 2 3 4 5

24. 내 기술이 성공한 장면을 선명하게 떠올릴 수 있다 . 1 2 3 4 5

25. 힘들어도 잘 해낸다 . 1 2 3 4 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