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 결과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6-60)

80세 이상노인을 대상으로 한 탄력밴드근력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 노인 체력, 보행기능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같다.

신체조성의 변화

세라밴드를 활용한근력운동 프로그램실시 후 신체조성의 변화는 다음과같다.

체중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5. 체중변화(kg)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59.14±12.38 59.25±13.27

p=.733 p=.830 p=.499 운동군 58.02±10.19 57.68±9.74

28

그림 5. 체중변화

골격근량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6. 골격근량 변화(kg)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20.28±4.24 20.52±4.24

p=.672 p=.705 p=.249 운동군 21.5±4.09 20.98±3.71

0 10 20 30 40 50 60 70 80

통제군 운동군

체중(kg)

사전 사후

29

그림 6. 골격근량변화

체지방량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7. 체지방량 변화(kg)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20.84±8.19 20.62±7.8

p=.696 p=.526 p=.415 운동군 17.78±7.12 18.38±7.41

0 5 10 15 20 25 30

통제군 운동군

골격근량(kg)

사전 사후

30

그림 7. 체지방량변화

BMI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8. BMI 변화(kg/m2)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25.61±3.24 25.72±3.85

p=.537 p=.216 p=.971 운동군 23.27±3.05 23.4±3.24

0 5 10 15 20 25 30 35

통제군 운동군

체지방량(kg)

사전 사후

31

그림 8. BMI 변화

체지방률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9. 체지방률 변화(%)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34.54±8.70 34.04±7.76

p=.325 p=.448 p=.325 운동군 30.18±9.05 31.22±9.08

0 5 10 15 20 25 30 35

통제군 운동군

BMI(25이상-비만)

사전 사후

32

그림 9. 체지방률변화

WHR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0. WHR 변화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0.89±0.08 0.86±0.08

p=.1 p=.585 p=.410 운동군 0.86±0.05 0.08±0.04

0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통제군 운동군

체지방률(%)

사전 사후

33 그림 10. WHR 변화 0.00

0.10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1.00

통제군 운동군

사전 사후

34

노인체력검사 및 평형성의 변화

탄력밴드를 사용한 하체 근력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노인체력검사 및 평형성의 변화 는다음과 같다.

2분 제자리 걷기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1. 2분제자리 걷기변화(회)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99.5±36.37 99.5±33.4

p=.286 p=.341 p=.286 운동군 107.3±28.11 121.3±16.7

그림 11. 제자리걷기변화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통제군 운동군

2분제자리걷기(회)

사전 사후

35 덤벨들기(상체근력)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2. 덤벨들기(상체근력) 변화(개수)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17.86±4.52 18.71±8.3

p=.104 p=.322 p=.257 운동군 18.71±4.23 23.14±3.97

그림 12. 상체근력 변화

0 5 10 15 20 25 30

통제군 운동군

덤벨들기(회)

사전 사후

36 의자에서 일어섰다 앉기(하체근력)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나타났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효과에서도 유의한변화가 나타났다.

표 13. 의자에서일어섰다 앉기(하체근력) 변화(개수)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14.71±6.67 15.43±8.03

p=.01* p=.39 p=.01*

운동군 15.57±6.52 21.14±6.84

그림 13. 하체근력 변화

0 5 10 15 20 25 30

통제군 운동군

의자에서일어섰다앉기(회)

사전 사후

*

37 등 뒤에서 손잡기(상체유연성)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4. 등뒤에서손잡기(상체유연성) 변화(cm)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22.35±10.39 -20.28±13.03

p=.737 p=.01* p=.737 운동군 -1.78±9.87 -1.78±10.44

그림 14. 상체유연성 변화

(40) (35) (30) (25) (20) (15) (10) (5) 0 5 10 15

통제군 운동군

뒤에서손잡기(cm)

사전 사후

38 의자 앉아 앞으로 굽히기(하체유연성)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5. 의자앉아앞으로 굽히기(하체유연성) 변화(cm)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8.58±10.13 11.91±10.77

p=.110 p=.463 p=.585 운동군 12.16±16.75 18.66±12.04

그림 15. 하체유연성 변화

(10) (5) 0 5 10 15 20 25 30 35

통제군 운동군

의자앉아앞으로굽히기(cm)

사전 사후

39 244cm 걷기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변화가 나 타났다.

표 16. 244cm 걷기 변화(sec)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8.02±3 8.57±2.23

p=.264 p=.210 p=.01*

운동군 7.53±1.83 6.15±1.11

그림 16. 244cm 변화 0

2 4 6 8 10 12

통제군 운동군

244cm 걷기(sec)

사전 사후

*

40 하지 각근력의 변화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변화가 나 타났다.

표 17. 하지각근력변화(kg)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38.7±15.82 33±14.14

p=.885 p=.496 p=.04*

운동군 39.07±9.65 44.1±17.2

그림 17. 하지각근력 변화 0

10 20 30 40 50 60 70

통제군 운동군

하지각근력(kg)

사전 사후

*

41 악력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18. 악력변화(kg)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21.16±8.53 21.25±7.69

p=.181 p=.667 p=.161 운동군 24.64±7.44 21.42±7.18

그림 18. 악력변화

0 5 10 15 20 25 30 35

통제군 운동군

악력(kg) 사전

사후

42 평형성의 변화(눈 감고)

12주운동프로그램 실시 후평형성의 변화(눈감고 측정)는통제군과운동군모두 측 정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상호작 용효과에서도 유의한변화가 나타나지않았다.

표 19. 평형성변화-눈감고 서기(sec)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38.29±15.46 29±27.99

p=.213 p=.357 p=.854 운동군 50.67±20.5 43.67±18.33

그림 19. 평형성변화(눈 감고)

0 10 20 30 40 50 60 70 80

통제군 운동군

눈감고서기(sec)

사전 사후

43 평형성의 변화(눈 뜨고)

12주운동프로그램 실시 후평형성의 변화(눈뜨고 측정)는통제군과운동군모두 측 정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상호작 용효과에서도 유의한변화가 나타나지않았다.

표 20. 평형성변화-눈뜨고 서기(sec)

그룹 사전 사후 시간 그룹 시간*그룹

통제군 53.57±20.93 58±21.6

p=.288 p=.697 p=.558 운동군 53±19.07 67.67±15.1

그림 20. 평형성변화(눈 뜨고)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통제군 운동군

눈뜨고서기(sec)

사전 사후

44

보행기능의 변화

탄력밴드를 사용한근력운동 프로그램 실시 후 보행기능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보행기능의 시간적 변수의 변화

1) 보행속도

12주 운동프로그램 실시후 보행기능의 시간적변수인 보행속도는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측정 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나타나지 않았다.

표 21. 보행속도변화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보행속도 (m/s)

통제군 운동군

1.1±.14 1.22±.26

.97±.11 1.18±.22

.180 .446

그림 21. 보행속도 변화

0.0 0.5 1.0 1.5 2.0

통제군 운동군

보행속도(m/s)

사전 사후

45 2) 분속수

12주운동프로그램 실시 후보행기능의 시간적 변수인 분속수는 통제군과 운동군 모 두측정 시기간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 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22. 분속수변화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분속수 (step/m)

통제군 운동군

116.07±7.95 113.94±12.53

115.3±16.44 112.59±11.92

.793 .942

그림 22. 분속수 변화 0

20 40 60 80 100 120 140

통제군 운동군

분속수(step/m)

사전 사후

46

표 23. 70~74세노인의정상 보행속도 및분속수(Hollman, McDade, & Petersen, 2011)

70~74세 노인의 정상 보행속도 및 분 속수

정상 보행속도(cm/s) 정상 분 속수(steps/min)

남성 여성 남성 여성

101~133 96~136 94~110 93~133

보행기능의 공간적 변수의 변화

1) 보폭

12주운동프로그램 실시 후보행기능의 공간적 변수인 보폭은 통제군과 운동군 모두 측정시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상호 작용효과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않았다.

표 24. 보폭변화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보폭 (cm)

통제군 운동군

55.13±6.55 61.95±10.32

53.59±9.07 63.28±11.2

.946 .358

47

그림 23. 보폭변화

2) 활보장

12주운동프로그램 실시 후보행기능의 공간적 변수인 활보장은 통제군과 운동군 모 두측정 시기간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기와 그룹간의 상 호작용 효과에서도 유의한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25. 활보장변화

그룹 사전 사후 시간 시간*그룹

활보장 (cm)

통제군 운동군

112.20±13.63 126.19±21.42

106.79±17.49 125.8±21.35

.320 .386

0 10 20 30 40 50 60 70 80

통제군 운동군

보폭(cm)

사전 사후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6-6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