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이론적 기틀 및 가설
2) 연구 대상
(1) 연구 대상자수
표본의 크기 산정을 위하여 통계적 검정력 분석(statistical power analysis)을 위한 G-power 3.1.9.2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수는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심장일지를 적용하여 자가간호이행을 증진시킨 선행연구(심재란과 황선영, 2016)에 기반하여 효과크기를 0.86으로 적용하였다. 독립표본 t 검정에서 효과크기 식은 d=│ μ1- μ2│/ δ 이 사용된다. δ 는 공통 표준편차를 의미한다(강현철, 연규필과 한상태, 2015). 자가간호이행에 대한 효과크기 추정 계산과정은 다음과 같다.
∙ 평균: μ1=34.78, μ2=30.30
∙ 표준편차: s1=5.28, s2=5.08
∙ 공통분산: s2=(5.282+5.082)/2=26.84
∙ 공통 표준편차: δ=√(26.86)=5.18
∙ 효과크기: d=│34.78-30.30│/5.18=0.86
구한 예상 대상자수는 2개 집단 비교를 위한 independent t-test에 필요한 유의수준 .05, 검정력 80%, 효과크기 0.86으로 산출한 결과, 각 군당 23명이었다. 탈락률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당 30명씩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진행 과정에서 실험군은 중도포기로 인해 2명이 탈락하였고(탈락률 6.7%), 대조군은 연구 도중 연락두절로 인해 2명이 탈락하였다(탈락률 6.7%). 이에 최종 대상자는 실험군 28명, 대조군 28명으로 총 56명이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 흐름도는 Figure 6과 같다.
39
Figure 6. Flow diagram of participants’ enrollment
(2) 연구 참여자 선정기준
서울 시내 소재한 상급 종합병원에서 심장이식을 받고 3개월 이상 지난 만 19세 이상의 성인으로 심장내과 외래에서 통원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 중에서 본 연구의 내용과 진행과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스스로 참여의사를 밝히고 동의서에 서명한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심장이식을 받고 3개월 이상 지난 만 19세 이상 성인인 자
② 한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자
③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고 있는 자
40 연구 대상자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과거 다른 장기이식 경험이 있는 자
② 두 가지 장기를 동시에 이식받은 자
③ 정신과적인 질환이 있는 자
④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자
⑤ 현재 다이어리를 사용하는 자
과거 다른 장기이식의 경험과 두 가지 장기를 동시에 이식받은 자는 심장이식을 단독으로 받은 수혜자들과 건강관리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HD-app은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아이폰을 소유한 자는 사용에 제한적일 것이며, 현재 다이어리를 사용 중인 자는 다이어리의 이중 사용으로 간주하여 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질적연구 대상자는 실험군 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HD-app 사용이 4주가 되는 시점에 사용경험에 대한 개별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3) 연구 참여자 할당
SHD-app 확산을 막기 위해, 2018년 5월 25일부터 6월 19일까지 대조군을 모집하고,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13일까지 실험군을 모집하여 자료수집 기간에 차이를 두었다. 중복되는 대상자는 없었다.
(4) 최종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최종 참여자는 SHD-app을 사용한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8명으로 총 56명이었다. 개별 인터뷰는 본 연구에 실험군으로 참여한 28명의 동의 하에 전원 참여하였다.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