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의 대상지로 선정된 농촌마을의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국내 연구자들의 공 동체의식 관련 연구들 중에서 특히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연구들을 중심으로 공 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형성요인들을 선정하고자 하였다.그러나 대부분 관련 선행연구 의 주된 방향이 공동주택단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 던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농촌마을 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생활 방식 등을 고려한 형성요인 선정에 대 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또한 농촌마을의 인원이 제한적인 것을 고려하는 동시에 현재 대부분의 농촌마을이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거주자들이 주로 노년층이기 때문에 간결 하고 효과적인 설문조사 항목의 작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작에 앞서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 연구자가 언급하였던 공동체의식 형성요인을 구분함으로써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형성요인 선정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 다.결과적으로 공동체의식 형성요인은 다음의 [표 13]과 같이 거주자 특성 요인,사회적 교 류 요인,물리적 환경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 선행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동체의식 형성요인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형성요인을 선정하였다.공동체의식 형 성요인으로서 거주자 특성 요인에는 응답자의 성별,연령,거주기간,고향여부 등이 포함되 었고,사회적 교류 요인에는 주민에 대한 인지정도,주민과의 교제 수준,주민과의 교제 만 족도 등이 포함되었다.또한 물리적 환경 요인에는 공동체시설 인지정도,마을회관 이용정 도,마을 시작점 인지정도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공동체의식 형성요인의 측정을 위해 측정 내용을 한정하였고,측정 방법은 명명 척도,서열척도,등간척도(5점 리커트 척도),비율척도를 사용하였으며,특히 명명척도 항목 은 향후 분석 시 더미(dummy)변인35)으로 변환하였다.

35)더미변인은 명명척도로 측정된 독립변수를 0과 1을 사용하여 가변인(dummyvariable)로 변환하여 분석을 실 시하는 것인데,가변인은 응답자가 특정한 집단에 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0'의 값으로 부여하고,속한 경우에는 ‘1 의 값을 부여하는 것이다(최현철,2007).

연구자 공동체의식형성요인 구분

거주자특성요인 사회적교류요인 물리적환경요인

김종재 (1993)

개인의 특성변수

세대주의 이력지표

거주수준지표

활동성지표

주거환경의식지표

영역의식

정재희 (1994)

근린환경변수

주택환경변수

인구학적변수

경제적변수

사회적변수

영역인식변수

심리적변수

박경구 (1995)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및 이전 거주사항

현 아파트단지의 이웃 주민과의 교제현황

단지 내의 주민 간 교제의 공간적 영역성

우룡 (1995)

친밀한 이웃관계

물질추구성

비물질추구성

개인적특성변인

시간변인

장소및시설변인

상호작용변인

김경준 (1998)

지역특성관련변인

인구학적특성관련변인

주거특성관련변인

지역사회관련태도변인*

참여관련변인

이인혁 (2002)

인구학적특성변인

주거관련변인

지역사회관련태도

주민자치활동

홍형옥 (2004)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응답자의 주거특성

현재 거주단지의 주민공유공간

입주자관리만족도*

註:*는 사회적 교류 요인 및 물리적 환경 요인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공동체의식 형성요인으로 파악되었음 [표 13] 공동체의식 형성요인 종합

연구자 공동체의식형성요인 구분

거주자특성요인 사회적교류요인 물리적환경요인

김광복 (2005)

커뮤니티특성파악*

분양주택과의 상호관계

주거환경의 평가*

일반사항

이형하 (2005)

사회인구학적변인

주거특성관련변인

지역사회태도관련변인*

지역사회참여변인

성희자 (2006)

일반적사항

주거지관련

지역관련특성

최열 (2007)

단지설계요소

아파트특성

응답자및가구특성

주택특성

근린의식*

김남수 (2008)

환경‧인식‧이용변인

개인적특성변인

사회‧경제적변인

상호작용변인

양덕순 (2008)

인구통계적특성

주민참여

정우진 (2008)

사회‧경제적특성

이웃관계*

주거환경만족도

주민자치활동및프로그램*

관리서비스

이경환 (2009)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

사회적관계

근린의 보행환경

이라영 (2009)

배경

공동체적태도

근린상호작용*

가족의 주요사용시설,이웃과의 교류장소

환경만족도

환경심리

정량적환경

환경계획요소

註:*는 사회적 교류 요인 및 물리적 환경 요인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공동체의식 형성요인으로 파악되었음 [표 13] 계속

연구자 공동체의식형성요인 구분

거주자특성요인 사회적교류요인 물리적환경요인 예상권

(2011)

지역사회애착도

슬로시티에 대한 태도*

인구통계학적특성

註:*는 사회적 교류 요인 및 물리적 환경 요인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공동체의식 형성요인으로 파악되었음 [표 13]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