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통합적인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맥락에서 명태 가공업 형 성과 발전과정을 분석하고, 네트워크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행 위자들과 그들 사이의 권력 관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현재 연변주 명태산 업이 처한 어려움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문제로 정하 였다. 네트워크 형성과 행위자의 관계 맺음에 관한 연구 결과는 이미 각 장의 소결에서 마무리한 바가 있고, 여기서는 연변주 명태산업의 문제점 과 해결책을 논하겠다.
연변주 명태 가공산업은 70여 년간 인근 국가들로부터 냉동명태를 수 입하는 데 의지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하지만 연변주 자체는 출해구가 없어 냉동명태의 공급을 위해 러시아와의 전후방산업 관계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처리할 것인지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연변주 70 년 명태산업 발전사를 보면 냉동명태 공급이 단절되는 위기 상황을 수차 례 경험하였다. 현재 연변주와 러시아는 글로벌 명태 생산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협력자이고 암묵적인 경쟁자다. 냉동명태 확보와 가공업 경쟁이 라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와 연변주의 기본모순을 검토할 필요가 있고 냉동명태 수입경로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연변주와 같은 문제를 마주한 북한과 한국은 한류성 어종인 명태를 양 식하려는 시도들을 하고 있다.53) 글로벌 비즈니스 어종인 연어는 과거에 어획량이 부족해지면서 현재 유전자변형을 거친 연어로 탈바꿈했다. 명 태도 연어와 같은 방식으로 중국 영해에서 양식하는 식으로 수입경로를
53) 한국수산개발원, 2019(7), 「해양수산: 5월 북한 노동신문 분석, 수산양식 보도 가장 많아」. KMI 월간동향.
늘이는 것도 대책이다. 최근 한국과 북한에서도 명태의 양식에 성공하였 으나, 시장 효익이 적어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이외에 소위 “불법 무역”
으로 분류되는 러시아 고려인 민간 무역을 부추기는 식으로 냉동명태를 독점하고 있는 러시아 중앙정부와 경쟁 관계를 조성하면서 정부와 기업 모순을 만들어 수입경로를 늘리는 것도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연변주 명태 가공산업은 30여 년간 빠른 발전 속에서 지속적인 가치획 득을 가져왔다. 하지만 현시점에서 명태 건어품 소비시장은 점차 줄어들 고 있다. 연변주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이고 한국 시장도 소비 전망이 낙관적이지 않다. 현장조사 과정에서 연변주 가공업자들의 의견을 종합 적으로 반영하면, 이들은 한류 열풍을 따라 구성적 권력을 행사하면서 김치와 같이 명태도 홍보되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연변주의 식품 홍보는 늘 외부의 자극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 일부 가공기업들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라이브 커머스와 같은 방식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플랫폼에 한하여 홍보하고 있다는 한계를 가진다.
명태 건어품과 달리 명태 필렛은 유럽연합과 브라질 시장으로 널리 유 통되고 있으나, 상품의 부가가치가 낮고 상품의 다양성이 부족하다. 명태 필렛 유통망과 명태 건어품의 다양성을 결합하면서 부가가치가 높은 명 태 건어품을 같이 국제시장으로 유통하는 것은 거대한 이익을 창출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현재 연변주 명태 건어품 가공업자들은 장기간의 가격 경쟁으로 통합적인 조직구조를 잃은 시간이 길어 새로운 조직구조를 형 성하는 것은 큰 도전이다.
세 번째는 연변주 명태 과잉 공급이다. 소비시장은 위축되는 반면에 연변주의 명태 수입 수량은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과잉문제가 발생한 다. 기존의 해결책은 중국 시장을 대상으로 시장 개발을 하는 것, 상품 고도화를 진행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으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이외 에도 CCBSP 등 명태자원 보호를 지지하는 식으로 명태 어획량을 줄여 가격의 저하를 막아 명태 시장을 살리고 명태자원의 이용을 지속 가능하 게 유지하는 것도 새로운 방향이라 생각한다.
네 번째는 글로벌 명태 가공품 생산 네트워크에서 연변주 명태산업은 가치 생산에서는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지만, 그 생산 가치가 연변주 내 에 유입되는 정도는 낮다. 글로벌 명태 가공품 생산 네트워크에서 연변 주의 가치획득이 많지 않은 이유는 지리적 제한으로 인한 가치의 불균형 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연변주에는 소비시장은 존재하지만 바다와 인접 한 출해구가 없어 명태의 공급은 바다를 접한 인근 국가들로부터의 수입 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지리적 요소의 작용으로 연변주는 가치 획득이 높은 명태 어획업에 종사할 수 없게 되었고, 내부의 명태 소비시 장의 규모가 작아 가치획득이 적은 명태 가공업만을 하게 되는 불리한 분업적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지리적인 원인으로 연변주 명태산업은 단순한 가공 단계만으로는 높은 가치획득을 가져올 수 없다. 특히 한국 자본이 유입되고 한국 시장이 생겨나면서, 연변주 내부에서 가공기업이 과도하게 많이 탄생하여 악성 가격 경쟁을 유발하여 가치가 줄어들었고, 인건비가 높아지면서 가치획득은 더욱 줄어들고 있다.
이에 대응해, 일부 기업들은 명태의 가공 단계에서 더 많은 부가가치 를 창조하는 방향으로 명태 껍질에서 콜라겐을 추출한다든가, 양념 명태 로 더욱 편의한 식품으로 소비자를 접근한다든가 하여 브랜드 가치를 발 휘하는 등의 시도들을 하고 있다.
다섯 번째는 수입수출 무역에서 결제 수단으로 달러를 사용하는 것이다. 2008년 경제위기로 연변주 명태산업 종사자들은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 2008년 경제위기 이후 달러 유동성이 범람하고 있는데도 각국은 여전히 달러를 보유하려 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달러를 들고 상당 부분의 중국 상품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의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 세 계의 30%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거의 미국, 일본, 독일을 합친 수준이 다.54) 과거 달러와 인민폐 환율의 변동성이 매우 작아 각 국가는 달러만
54) 中国人民共和国工业和信息化部. 工信部部长肖亚庆在“部长通道”回应制造业、中小企 业、工业互联网、数字经济等相关热点问题-
https://www.miit.gov.cn/ztzl/rdzt/gyhlw/gzdt/art/2021/art_95f8cbc852d546a8b29da803f7b aeb06.html.
보유하면 중국의 값싸고 싼 상품을 안정적으로 구매할 수 있어 인민폐를 보유할 필요가 없었다. 다시 말해, 2008년 이후 달러 범람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생산한 상품이 달러의 구매력을 지탱하고 있고 각국이 여분의 달 러 유동성을 흡수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에 미국 내에서 통화팽창 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2015년 중국은 환율 개혁을 열었고 달러와 인민폐 환율의 파동이 점점 커지고 있다.55) 그리고 현재 쌍방 경제는 분열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되면 중국 제품을 구매 하려는 다른 국가들은 달러의 일부를 인민폐로 바꿔 국제 결제에서 인민 폐의 점유율이 점차 상승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을 고려하게 된다. 이 추 세는 이미 분명해졌고, 인민폐는 더 이상 달러와 묶이지 않는다.
2021년 5월 미국 정부가 공식 발표한 물가상승률은 5%로 2008년 8월 이후 가장 높은 달이기도 하다. 경제학의 기본 원리에 따르면 미국에서 통화팽창이 발생하는 것은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에서 달러를 무한 양적 완화한 것의 필연적 결과다.56) 하지만, 이번 Covid-19 시기에 일부 국가들은 오히려 달러를 보유하려 하지 않고 있다. 특히 2021년 6월 5일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 주권재부기금(국부기금) 중 달러 몫(1859억 달러) 을 완전히 제거할 계획이며 인민폐의 비축을 2020년 12.8%에서 30.4%로 증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57)
러시아 명태산업 종사자들과 무역하여 냉동명태를 수입하는 연변주 명 태산업 종사자들이 결제 시 인민폐를 사용하는 것은, 수입절차를 줄이고 달러의 불안정성을 줄이는데 이로우며, 한국 투자자들을 상대로 협상력 을 높일 수 있는 절묘한 방안이다.
55) 2015년 중국 정부의 张涛는 IMF 부총재직을 맡게 되었고, 2016년 10월 1일 SDR에 인민폐가 공식적으로 가입되었다.
56) Covid-19 전, 연준의 총자산은 3조 7000억 달러에서 2021년 5월 7조 6000억 달러로 치솟았다.
57) CCTV. 俄罗斯主权财富基金人民币比例被提至30.4%-
http://m.news.cctv.com/2021/07/07/ARTIyDf5quPtsM6BRtCCE3Q4210707.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