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과 동시에 입구성을 각인시키고 있다. 또한 기존 산업시설의 마감재인 적벽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창문을 콘크리트로 새롭게 조성하여 외관에 변화를 주었다. 재생되는 과정에서 철거되었던 일부 벽은 적벽돌 을 사용하여 새롭게 조성되었고 이를 통해 건물에 통일감을 주고 있다.

[그림 4-15] 옹근달 입면 변화 (2) 공간

옹근달은 ‘ㄱ’자형의 배치를 갖고 있는 건물과 외부공간으로 구성되 어 있다. 하역공간으로 사용되었던 외부공간은 단차를 두어 일부는 조경

을 설치하였고 일부는 수경공간으로 조성하여 방문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외부공간의 바닥재는 적벽돌과 콘크리트로 새롭게 마감 하였다. 내부 공간은 베이커리 작업공간과 휴게 및 식음 공간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 계단을 새롭게 조성하여 2층과 연결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내부 공간의 주 마감재는 노출 콘크리트와 유리이 고 철근 구조를 노출시켜 산업시설로써의 정체성을 각인시키고 있다. 주 출입구로 진입하면 베이커리 매대를 마주하게 되고 베이커리 작업공간을 볼 수 있는 창문을 통해 방문객이 작업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1층 의 카페 작업대와 베이커리 매대를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공간에 통일감 을 주고 있으며 휴게공간의 테이블은 철제 가구를 사용하였다. 수경공간 으로 통하는 벽은 전면유리와 유리문으로 조성하여 내부에서 외부공간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2층의 내부공간은 기존 산업시설의 기본 구조인 기둥과 보 그리고 천장과 바닥의 원형을 보존하여 사용하고 있다. 2층에 사용된 가구는 대부분 목재 가구를 주로 하고 있어 차가운 느낌의 내부 공간을 중화시키고 있다. 또한 새롭게 조성된 유리창의 프레임을 목재를 활용하였고 프레임을 넓게 제작하여 휴게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에 덧붙여 1층에서 2층까지 연결되는 조형적 요소를 설치하여 내부공간에 색다른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옥외공간은 과거에 옥탑방으로 사용되었던 공간과 외부공간으로 구성되어있다. 외부공간에는 테이블과 의자를 배치 하여 휴게공간으로 조성하였고 옥탑방으로 사용되었던 공간은 단체 방문 객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표 4-30] 옹근달 공간

카페 작업대 외부 수경공간 2층 목재 프레임의 창문

제 3 절 유휴 산업시설 재생건축 특성

성수동 준공업지역에서 진행된 유휴 산업시설 재생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재생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방법에 따라 특성을 비물리적인 요소와 물리적인 요소로 분류하여 도출할 수 있었다. 비물리적인 요소는 대상지 의 유휴산업시설 재생건축 사례에서 나타나는 용도변화를 분석하여 특성 을 도출하였고 물리적인 요소는 외관과 공간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항목 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비물리적인 요소 –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