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가가...단단단행행행본본본 및및및 연연연구구구보보보고고고서서서
市來淸也,『港灣管理論』,成山堂,1989.
山口眞弘․住田正二,『港灣行政』,日本港灣協會,1955.
宋建成,“中國內河港灣的發展與改革",『中國物流學會誌』,1991.
林光外,『關與港灣體制變革中港務機關地位及組織的硏究』,國立中山大,2000.
張瑞德,『關與臺灣高雄市港合一體制及推進方案的硏究』,國立中山大,2001.
鳥居幸雄,『中國の港灣と物流』,日本海事新聞社,1987.
川崎芳一,『港灣管理主體のあり方に關する實證的分析』,1985.
나나나...논논논문문문
CouncilofLocalAuthoritiesforInternationalRelations,『PublicAdministration inFrance』,Tokyo,March,1992.
Cullinane, Kevin and Song, dong-wook, “Port Privatization Policy and Practice",『TransportReviews』,Vol.22-1,2002.
KevinCullinaneandDong-WookSong,“PortPrivatizationPolicyandPractice”,『Transport Reviews』,Vol.22-1,2002
Talley,W.K,“PortPricing:A CostAxiomaticApproach”,『MaritimePolicy&
Management』,Vol.21,No.1,1994.
Thomas,B.J,“The privatization ofUnited Kingdom seaports”,『Journalof MaritimePolicyandManagement』,Vol.21,No.2,1994.
Thomas,B.J,“TheNeedforOrganizationalChangeinSeaports”,『MarinePolicy』, Vol.18,No.1,1994.
UNCTAD,『PortMarketingandChallengeofThirdGenerationPort』,1990.
UNCTAD,『StrategicPortPricing』,1995.
宋建成,“中國內河港灣的發展與改革”,『中國物流學會誌』,1991.
喜多村昌次郞, 『ポートㆍオーソリティの硏究』, 中部女子短期大學紀要 第14号, 1983
3. 3.
3. 3.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인터넷자료
르아브르항(DuHavre)http://www.havre-port.fr/
상하이국제항무그룹 http://www.portshanghai.com.cn/index1.php 상하이항무관리국 http://www.shanghaiport.gov.cn/index.asp 일본 국토교통성 항만국 http://www.mlit.go.jp/kowan/index.html 일본 나고야항 http://www.port-authority.minato.nagoya.jp
중국 교통부 http://www.moc.gov.cn/
대만 교통부 http://www.motc.gov.tw/
대만 교통부 카오슝항무국 http://www.khb.gov.tw/www/index.htm
A
A Ab b bs s st t tr r ra a ac c ct t t
A StudyonImprovi ngKoreanLegalSystem forPortManagement
Park,Jungchun DepartmentofLaw
GraduateSchoolofKoreaMaritimeUniversity
Portsdiffernotonlyintheirdesign,layoutandgeography butalsointheir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The role ofgovernmentin portdevelopment and operation varies from country to country,and the constitutions of port authorities, stevedoring companies, terminal operators and other companies operating in theportestatedifferin a variety ofways.Thereisno standard ownership pattern and organizationalstructure and ports throughoutthe world adoptavarietyofdifferentadministrativesystemsandmanagementstyles.
Changes have been proposed to the institutional structure for the administration ofseaports in the Republic ofKorea. The Korean government has established independentportauthorities in the two majorports ofBusan and Incheon and changed the arrangements forthe provision ofportservices, particularly from the viewpoint of port ownership. This thesis has been commissioned to enable it to support to these trend and to assist in the formulationofanappropriatepolicyforportmanagementinthefuture.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review of 'port authority(PA) system' in seaport administration.More specifically,the thesis containsareview ofrecentdevelopmentsinseaportadministration,adiscussion ontheprincipaltrendsandcharacteristicsoftheorganisationalstructureofport
authorities and an analysis ofthe currentPA-related laws being pursued by Korean government. A classification of different administrative models for seaport administration is also mentioned. The thesis also presents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the different forms of ownership and managementofseaportterminals,with particularreference to the operation of containerterminals.Thisisfollowed by an analysisofthecurrentPA system, particularlyintermsoffuturisticsuggestions.
Thisthesishasbeen based on desk research ofpublished and confidential literature and information,discussions with leading specialists in the maritime industry and contacts in the globalport transport industry. The study is organisedintosixsubstantivesections. Followingthebriefintroduction,chapter 2containsa review ofthegeneralconceptofportmanagementsystem in the administrationofseaportsfollowed,inchapter3,bythecomparativeanalysisof the currentportmanagementsystem around the world.Chapter4 contains a discussion on criticalissues of current PA system to be considered when contemplating restructuring portadministrationinKorea.Chapter5suggeststhe some measures for improving the existing PA system in Korea from the viewpointofPA-relatedlawsfollowedbyabriefconclusioninChapter6.
< < <부 부 부록 록 록 1 1 1> > > 현 현 현행 행 행 항 항 항만 만 만공 공 공사 사 사법 법 법
법률 제6918호(2003.5.29.)
항 항 항
항 만 만 만 만 공 공 공 공 사 사 사 사 법 법 법 법
제
제제111장장장 총총총 칙칙칙
제1조(목적)이 법은 항만공사를 설립하여 항만시설의 개발 및 관리․운영에 관한 업무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항만을 경쟁력있는 해운물류의 중심기지로 육성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다른 법률과의 관계)항만공사의 조직 및 운영 등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정부투자기관관리기본법 제8조․제13조의6․제15조․제19조․제 20조 및 제29조를 준용한다.이 경우 “투자기관”은 “항만공사”로,“비상임이사”는
“항만위원회의 위원”으로 본다.
제3조(자율적 운영의 보장)항만공사의 책임경영체제의 확립을 위하여 그 자율적 운영은 보장된다.
제4조(법인격 등)①항만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는 법인으로 한다.
②공사는 항만별로 설립하되,부산항과 인천항에 우선적으로 설립하고 그 밖의 항만에서의 공사 설립에 대하여는 당해 항만의 여건을 감안하여 대통령령으로 정 한다.
③공사의 관할구역은 항만법 제2조제4호의 규정에 의한 항만구역으로 한다.다만, 공사의 원활한 사업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항만구역 외의 항만시설 등에 대하여도 그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제5조(사무소)①공사의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는 정관으로 정한다.
②공사는 사업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제10조의 규정에 의한 항만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지사 또는 분사무소를 둘 수 있다.
제6조(출자)①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유재산법 및 지방재정법의 규정에 불구 하고 공사의 사업에 필요한 동산․부동산 및 항만시설관리권(항만시설을 유지․
관리하고 당해 항만시설을 사용하는 자로부터 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이하 같다)을 공사에 출자할 수 있다.
②제1항의 규정에 따라 국가가 공사에 출자를 함에 있어서는 국유재산의 현물출
자에 관한법률에 의한다.
제7조(등기)①공사는 그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에서 설립등기를 함으로써 성립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설립등기와 사무소의 설치등기,이전등기,변경등기 그 밖 의 공사의 등기에 관하여는 민법의 등기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③공사는 등기를 필요로 하는 사항에 관하여는 그 등기 후가 아니면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
제8조(사업)①공사는 다음 각호의 사업을 행한다.
1.항만법 제2조제6호의 규정에 의한 항만시설(수역시설․외곽시설․임항교통시설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항만시설은 제외한다)의 신설․개축․유지․보수․준설 등 에 관한 공사의 시행 및 항만의 관리․운영
2.제1호의 사업과 관련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사업 3.제1호 및 제2호의 사업에 관한 조사․연구,기술개발 및 인력양성
4.항만구역 외에서 항만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근린생활시설 및 복리시설 등의 건설 및 운영에 관한 사업
5.제1호 내지 제4호의 사업과 관련되는 사업의 시행이나 동사업에의 투자 및 출연
②공사가 제1항 제5호의 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양수산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제9조(동일명칭의 사용금지)이 법에 의한 공사가 아닌 자는 항만공사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제
제제222장장장 항항항만만만위위위원원원회회회
제10조(설치)다음 사항을 심의․의결하기 위하여 공사에 항만위원회(이하 “위원회”
라 한다)를 둔다.
1.경영목표․예산․자금계획․사업계획 및 운영계획 2.예비비의 사용 및 예산의 이월
3.결산
4.기본재산의 취득 및 처분
5.장기차입금의 차입 및 사채의 발행과 그 상환계획 6.항만시설의 임대료 및 사용료의 기준 설정
7.잉여금의 처분 8.투자 및 출연
9.정관의 변경
10.내규의 제정 및 변경 11.사장의 추천
12.지사 또는 분사무소의 설치
13.그 밖에 위원회가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제11조(구성)①위원회는 해양수산부장관이 임명하는 15인 이내의 비상임위원으로 구성한다.
②위원 중에는 당해 항만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이하 “시․
도지사”라 한다)가 추천하는 자와 당해 항만의 이용자단체를 대표하는 자가 포함 되어야 한다.
③시․도지사가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위원을 추천하는 때에는 그 추천기준과 추천사유를 제시하여야 한다.
④위원회의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한다.
⑤그 밖에 위원회의 구성 및 위원의 자격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 로 정한다.
제12조(임기)①위원(위원장을 포함한다.이하 이 장에서 같다)의 임기는 3년으로 하며,연임할 수 있다.
②위원에 궐원이 있을 때에는 제11조의 규정에 따라 보궐위원을 임명하여야 하 며,보궐위원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임기간으로 한다.
③임기가 만료된 위원은 그 후임자가 임명될 때까지 그 직무를 행한다.
제13조(결격사유)①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는 위원이 될 수 없다.
1.국가공무원법 제33조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 2.정당의 당원
3.공직선거 및 선거 부정방지법에 의하여 실시되는 선거에 후보자로 등록한 자
②위원이 제1항 각호의 1에 해당하게 된 때에는 당연히 퇴직한다.
제14조(회의)①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다만,정관이 정하 는 사항에 대하여는 재적위원 3분의 2이상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②사장 및 감사는 위원회의 회의에 출석하여 발언할 수 있다.
③위원회는 필요한 경우에 관계전문가 등을 회의에 출석시켜 의견을 들을 수 있다.
④위원회의 소집절차 및 위원에 대한 수당지급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정관 으로 정한다.
제15조(위원의 제척)위원은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사항에 관한 심의․의결에
서 제척된다.
1.자기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사항
2.배우자,4촌 이내의 혈족 또는 2촌 이내의 인척의 관계에 있는 자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사항
제
제제333장장장 임임임원원원
제16조(임원의 임면 등)①공사에 사장 및 감사를 포함한 5인 이내의 임원을 둔다.
②사장은 위원회가 추천하는 자중에서 해양수산부장관이 당해 시․도지사와 협의 를 거쳐 제청한 자를 대통령이 임면한다.
③감사는 해양수산부장관이 기획예산처장관과 협의하여 임면한다.
④사장 및 감사를 제외한 그 밖의 임원은 사장의 제청으로 해양수산부장관이 임 면한다.
⑤임원에 관하여는 제13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⑥그 밖에 임원의 임면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한다.
제17조(임원의 직무)①사장은 공사를 대표하고 공사의 업무를 총괄하며 경영성과 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
②사장은 공사의 경영성과 및 사업계획에 대하여 위원회에 보고하고 위원회가 결 정한 사항을 준수할 의무를 진다.
③사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정관이 정하는 자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④감사는 공사의 업무와 회계를 감사하고 그 의견을 위원회에 제출한다.
제18조(임원의 임기)①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②임기가 만료된 임원은 그 후임자가 임명될 때까지 그 직무를 행한다.
제19조(사장의 대표권 제한)공사의 이익과 사장의 이익이 상반되는 사항에 대하여 는 사장이 공사를 대표하지 못하며,감사가 공사를 대표한다.
제20조(대리인의 선임)사장은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직원 중에서 공사의 업무 에 관한 재판상 또는 재판외의 모든 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대리인을 선 임할 수 있다.
제 제
제444장장장 사사사업업업의의의 시시시행행행 및및및 재재재무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