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해운선사 및 선박관리기업들이 우수한 외국인 선원을 계속적으로 고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우수한 외국인 선원의 고용 유지를 위해서는 고용안정성과 경제적 보상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우수한 외국인 선원 고용유지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선·기장 직급으로의 승진, 급 여 인상, 근무환경 개선, 복지확대 등의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우수한 외국인 선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외국인 선원의 선·기장 직급으로의 승진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전적으로 그렇다가 6.8%, 매우 그렇다가 46.6%, 약간 그렇다가 37.9%, 보통이다가 2.9%, 약간 그렇지 않다 3.9%, 매우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가 각각 1.0%로 나타나, 응답기업의 91.3%가 외국인 선원의 선·기장 직급으로의 승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답평균은 5.43로 외국인 선원의 선·기장 직급 승진 필요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77.6%로 높게 나타났다.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적 으로 그렇다
합계 (%)
평균 (7점척도)
표준 편차 외국인 선원의
선·기관장 승진 1 (1.0)
1 (1.0)
4 (3.9)
3 (2.9)
39 (37.9)
48 (46.6)
7 (6.8)
103
(100) 5.43 .996
<표 4-23> 외국인 선원의 선·기장 직급 승진
우수한 외국인 선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급여 인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전 적으로 그렇다가 37.6%, 매우 그렇다가 24.8%, 약간 그렇다가 18.8%, 보통이다 가 13.9%, 약간 그렇지 않다 3.0%, 매우 그렇지 않다가 2.0%로 나타나, 응답기 업의 81.2%가 외국인 선원의 급여 인상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답평균은 5.74 로 외국인 선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급여 인상에 대한 인식 수준이 82.0%로 높게 나타났다.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적 으로 그렇다
합계 (%)
평균 (7점척도)
표준 편차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 유지를 위한 급여 인상
0 (0) 2
(2.0) 3 (3.0) 14
(13.9) 19 (18.8) 25
(24.8) 38 (37.6) 101
(100) 5.74 1.286
<표 4-24>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 유지를 위한 급여 인상
우수한 외국인 선원의 계속 고용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에 대한 설문조사에 서 전적으로 그렇다가 18.8%, 매우 그렇다가 40.6%, 약간 그렇다가 30.7%, 보 통이다가 7.9%, 매우 그렇지 않다가 2.0%로 나타나, 응답기업의 90.1%가 외국 인 선원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답평균은 5.64로 외국인 선 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근무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 수준이 80.6%로 높게 나타 났다.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적 으로 그렇다
합계 (%)
평균 (7점척도)
표준 편차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 유지를 위한 근무환경 개선
0 (0) 2
(2.0) 0 (0) 8
(7.9) 31 (30.7) 41
(40.6) 19 (18.8) 101
(100) 5.64 1.006
<표 4-25>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 유지를 위한 근무환경 개선
우수한 외국인 선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복지혜택 확대에 대한 설문조사에 서 전적으로 그렇다가 21.8%, 매우 그렇다가 34.7%, 약간 그렇다가 32.7%, 보 통이다가 8.9%, 매우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가 각각 1.0%로 나타나, 응답기업의 89.2%가 외국인 선원의 복지혜택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답 평균은 5.62로 외국인 선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복지혜택 확대에 대한 인식
수준이 82.3%로 높게 나타났다.
전혀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약간 그렇지
않다 보통 이다
약간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적 으로 그렇다
합계 (%)
평균 (7점척도)
표준 편차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 유지를 위한 복지혜택 확대
1 (1.0)
1 (1.0)
0 (0)
9 (8.9)
33 (32.7)
35 (34.7)
22 (21.8)
101
(100) 5.62 1.085
<표 4-26>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 유지를 위한 복지 확대
우수한 외국인 선원을 계속적으로 고용 유지하기 위해서는 선장 및 기관장 직급으로 승진과 임금 및 복지후생 증대, 그리고 근무환경 개선 등의 보상과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사회적, 경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조직에 대한 만족도 와 몰입도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최근 한국인 선원의 고용 감소에 따른 외국인 선원의 고용 증가에 따라 이 연구는 해운선사 및 선박관리 기업들의 외국인 선원의 공급, 고용 및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에 대해 고찰하였다. 외국인 선원 고용업체를 대상으로 설 문 조사를 진행하여 외국인 선원에 대한 인식과 고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외국인 선원 공급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 고, 외국인 선원 양성 및 유지에 대한 관심과 이에 대한 관리의 중요성을 높 게 지각하고 있었다. 현재 외국인 선원 고용에 있어서 외국인선원들의 역량(직 무 이해도, 직무관련 지식, 직무수행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서처리 능력 및 동료와의 인간관계)과 만족도는 업무처리 및 인성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앞으로의 외국인 선원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 측되었고, 한국인 선원 감소에 따른 외국인 선원을 확대하는 채용계획을 가지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외국인 선원 고용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에, 외국인 선원 고용 및 관리상 보완되어야 할 문제점들도 조사를 통해 확 인 되었다. 외국인 선원의 공급 부족에 따른 선원 확보의 어려움이 조사 결과 를 통해 나타났고, 특히 외국인 선원 사관 인력과 같은 능력 있는 외국인 선 원의 부족함이 강조되었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 선원 고용제도상에서의 문제 점 역시 제시되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다수의 해운 선사 및 선박관리 기업 들은 외국인 선원을 고용하는데 있어 공급국가의 다양성이 제한적이며, 고용 절차가 복잡하고 타기관의 영향력이 원활한 외국인 선원공급에 걸림돌이 된다 고 답했다. 또한 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기관 및 교육훈련 시설의 부족 등의 문제는 우수 외국인 선원 고용유지의 어려움으로 이어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외국인 선원 고용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해운 선사 및 선박 관련기업
들은 개선 요구사항들이 제시되었다. 우선 외국인 선원 배정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하여 해당 기업들의 요구 수준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외국인 선원 에 대하여 승선 허가 직급을 확대하고, 선박 구분 별 한국인 선원 승선 정원 을 직급에 관계없이 결정하면서, 외국인 선원의 배정 정원을 변경함으로써 외 국인 선원 배정 지원 확대가 가능 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외국인 선원 공급 국가의 다양화에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있지만, 선원 인력 양성에 있어서 제한 된 국가에서 체계적인 교육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수한 선원을 체계적으로 공급하면서, 공급 국가의 다양화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 된다.
외국인 선원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기관과 교육시설 보강에 대하여 높은 수 준으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설립 주체에 관하여 선사 혹은 선박관리 회사별 외국인 선원 교육기관 운영과 국가 혹은 외국 선원 복지기금에 의한 공동 트레이닝 센터 설립에 대한 설문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즉, 교육훈련 주체의 중요성보다 인력 양성 전문기관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 내용으로는 외국인 선원의 직무능력, 의사소통 능력이 선행 되고 문서 처리능력, 그리고 인간관계 기술 교육이 병행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외국인선원의 고용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외국인 선원의 선·
기장으로의 승진, 급여 인상, 근무환경 개선 및 복지 확대 등이 제시되어 외국 인 선원의 경제적,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보상 및 개발 방안들 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외국인 선원을 고용하고 있는 해운선사와 선박관리기업들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외국인 선원의 고용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고용 및 관리 상의 문제점들을 실제적으로 진단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 다. 그리고 외국인 선원관리 현장에서 기업들이 인지하는 애로사항과 요구사 항을 파악하여 외국인 선원 고용 및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으 로써, 외국인 선원 인력관리 전략 및 정책의 개발 및 시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이 연구는 외국인 선원 고용의 필요성과 관리현황을 분석하여 수급 및 관리 상의 문제점과 향후 방안을 논리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대 상을 외국인 선원을 고용하고 있는 해운선사 및 선박관리기업에 한정하였다.
조사 대상 표본이 외국인 선원 고용 선사 및 송입 관리 업체에 한정되다 보 니, 외국인 선원 노동자단체 및 정부기관 등의 총체적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 지 못한 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단제 및 기관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 지 못하여 제도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한계점이 발 생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외국인 선원 고용 선사 및 송입 관리 업체는 물론 외국인 선원 노동자 단체 그리고 정부 관련기관 등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렴 하여 외국인 선원 관리 실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해운산업에서 외국인 선원의 역할을 재 정립하여 중요한 전략적 인적자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이들의 수급과 양성 그리고 역량 제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