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H. 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병원 규모의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인식도와 수행도를 알아보고,인식도와 수행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혈행성 감염 예방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 였다.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23곳의 병원(1개의 상급 종합병원,15개 의 종합병원과 7개의 병원)에 근무하는 수술실 간호사 204명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이용한 통계학적 분석 방법은 t-검정,분산 분석,피어슨의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등 이었다.

연구결과 수술실 간호사가 수술 중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경 우가 41.2%였으며,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인식도는 평균 107.4±10.8점,수 행도는 평균 100.6±13.3점이었다.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수행도에서 유의 한 결과를 보인 변수는 최종학력,병원유형,개인 보호 장비 이용,감염 검사 결과 확인 후 수술참여,감염 관리 지침서 여부,감염환자 수술시 감염 표지 판 부착,병원의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감염 전담 관리부서,감염 노출시 보 고,혈액에 노출된 경험 등이었다.혈행성 감염 예방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 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600,p<0.01).다중회귀분석 결과,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인식이 높을수록(β=0.6,p<0.001),수술 전 감 염결과 확인 후 수술 참여(β=4.1,p=.042),병원의 감염 관리 교육을 받은 경 우(β=3.4,p=.040)에 혈행성 감염 예방 수행도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혈액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경우(β=-5.5,p<.001)는 감염 예방을 위한 수행도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수행도는 혈행성 감 염 예방을 위한 인식도,수술 전 환자의 감염 여부의 확인,병원의 감염 관리 교육의 시행,혈액에 노출된 경험 등과 관련이 있었다.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해 수술실 간호사 개인의 노력과 병원 차원의 혈행성 감염 예방을 위한 적

참고문헌

강미경,김경희,최미혜.수술실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정도에 관한연구.대한기본간호학회지.2004;11(3):327-334.

김명자,김정숙,엄수정.일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혈액 매개성 감염질환 에 대한 지식,일반주의지침 수행정도 및 장애요인.임상간호연구.2003;9(1): 41-54.

류미경.병원의료종사자의 혈액 및 체액의 직업적 노출 실태조사.석사학위 논문,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2005.

문정민.간호사의 표준주의 인식도와 수행도.석사학위논문,인제대학교 보 건대학원.2011.

박미자.중소병원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석사학 위논문,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2008.

박상연,신동수,이현구,김희숙.응급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및 관련 요인.기본간호학회지.2008;15(2):153-160.

박수진,김금순.수술실 간호사의 혈행성 감염 예방에 대한 지식,인식 및 수행.중환자간호학회지.2009;2(2):28-41.

박형미.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에 대한 연구.석사학위논문,전북대학교 대학원.2004.

서영희,오희영.병원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지식,인식,안전환경 및 수행도에 관한 연구.임상간호연구.2010;16(1):61-70.

신영란,박광옥,정재심,김경미.일개 종합병원 수술실 의료인의 혈액 및 체액 접촉 실태조사.임상간호연구.2009;15(2):115-126.

안지연,이영미,송정희.임상간호사의 혈액매개감염 주의지침에 대한 수행 정도.한국간호교육학회지.2010;16(1):92-100.

오향순,최강원.일 대학병원의 병원직원들이 보고한 혈행성 감염 질환 노 출사고에 대한 연구.병원감염관리학회지.2002;7(1):51-64.

이은선,김인숙.수술실 간호사의 피로 예측요인.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2;21(3):229-238.

임현술,안연순.업무상 질병으로 요양 승인된 의료기관 종사자 및 질병의 특성.대한산업의학회지.2003;15(2):196-204.

장혜영.수술실 간호사가 인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통한 핵심간호중재 분 석.석사학위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2007.

최미애,박경숙.임상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수행도 연 구.한국간호교육학회지.2002;8(2):314-324.

최옥희,이가언.수술실 간호사의 혈행성 감염 예방지침 수행 영향요인.산 업간호학회지.2006;15(1):30-39.

최정실.일개 종합병원의 특수부서에서 근무하는 의료진의 혈액 및 체액의 접촉 실태와 이에 대한 예방지식 및 대처 행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1998.

최정실.웹기반 혈액매개감염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평가.박사학위 논문,서울대학교 대학원.2007.

한송이.혈액투석실 간호사의 혈액매개질환 예방에 대한 지식,인식 및 수 행.석사학위논문,계명대학교 대학원.2007.

설 문 지

안녕하십니까?

저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 학생 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혈행성 감염 예방에 대한 인식과 수행에 대한 연 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바쁘신 업무 중에 수고스럽겠지만 평상시 현재 병원에서 수행하시는 수 술실 업무 내용 그대로 솔직하게 응답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응답해 주신 내용은 무기명으로 통계처리에만 이용되며 순수하게 연구 의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입니다.

본 설문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2013년 8월

연구자 정기라 드림.

연락처 H.P. 010-8613-4673

본인은 이 연구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설명을 들었으며 자발적으로 이 연 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합니다.

날짜: 2013년 월 일 서명:

※ 해당 사항에 체크를 하고 필요한 내용은 적어주십시오.

1. 귀하의 연령은 몇 세입니까? 만 세 2. 귀하의 최종 학력은 어떠합니까?

① 전문대졸 ② 대졸 ③ 대학원 재학 ④ 대학원졸 3. 귀하의 현재 직위는 무엇입니까?

① 일반간호사 ② 책임간호사 ③ 수간호사 이상 4. 귀하가 근무하는 병원의 유형은 어디에 해당됩니까?

① 병원 ② 종합병원 ③ 상급 종합병원

5. 귀하의 수술실 근무 경력은 얼마나 됩니까?(이직이 있었다면 그전 수술실 근무 경력을 모두 포함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년 개월 6. 귀하가 감염환자 수술에 참여시 감염예방을 위하여 개인 보호 장비(ex. 보 안경, 방수 앞치마, 마스크 등)를 이용합니까?

① 항상 한다 ② 상황에 따라 가끔 한다 ③ 안한다 ④ 장비가 없다 7. 귀하는 수술에 참여하기 전에 항상 수술환자의 HBV(B형간염), HCV(C형간 염),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등의 혈행성 감염 검사결과를 확인하고 수술 에 참여하십니까?

① 예 ② 아니오

8. 귀하의 수술실에는 업무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감염관리지침서가 있습니 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모르겠다

9. 귀하의 수술실에서 감염환자를 수술하는 경우 수술실 문에 감염환자 표지 판을 부착합니까?

① 항상 한다 ② 상황에 따라 가끔한다 ③ 안한다 ④ 표지판이 없다 10. 귀하의 수술실에는 폐기용 주사바늘통이 봉합바늘, 주사바늘, 칼 등을 사 용하는 모든 장소에 비치되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11. 귀하의 병원에서는 정기적인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하고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12. 귀하의 병원에서는 근무 중 환자의 혈액에 노출될 경우, 노출 사실을 보 고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투약이나 검사를 시행하는 전담 관리부서가 별도로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모르겠다

13. 귀하의 병원에서는 근무 중 환자의 혈액에 노출될 경우, 노출 사실을 부 서관리자 또는 병원 감염부서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③ 모르겠다

14. 귀하의 병원에서는 환자의 혈액에 노출될 경우 관리부서나 관리자에게 보고하는 서식지는 비치되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③ 모르겠다

15. 귀하가 지난 6개월 동안 근무 중 수술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경험(ex. 주 사바늘, 칼날에 손상을 당하거나 혈액이 눈, 입, 상처 있는 피부에 묻거나 튀 는 경우)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16.‘15번 문항에서 노출 경험이 있었다면’해당란에 기록하여 주십시오.

혈액 노출 사고 종류 최근 6개월간 경험한 횟수(회) ① 주사바늘에 찔린 적이 있음 회 ② 칼날이나 수술기구 등에 손상당한 적이 있음 회 ③ 혈액이 눈, 입, 상처 있는 피부에 튀거나 묻은 적이 있음 회 ④ 혈액이 상처없는 얼굴이나 목에 튀거나 묻은 적이 있음 회 ⑤ 기타

17.‘15번 문항에서 노출 경험이 있었다면’관리부서에 보고 후 조치를 받은 적 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18. ‘17번 문항에서 조치를 받은 적이 있었다면’ 어떤 조치를 받았습니까?

① 소독제로 소독만 했다 ②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약, 봉합, 소독을 했다 ③ 기타

19.‘15번 문항에서 노출 경험이 있었다면’감염된 환자의 혈액에 노출된 적이 있습니까?

① 예 ② 아니오

20.‘19번 문항에서 감염균이 있는 혈액이었다면’어떤 감염균이었습니까?

① HBV(B형간염) ② HCV(C형간염) ③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④ 어떤 감염균이었는지 모름 ⑤ 기타

문 항

전혀 중요 하지 않다

중요 하지 않다

보통 이다

중요 하다

매우 중요 하다 1. 모든 수술 환자의 검체(혈액, 체액, 조직 등)를 만지기 직전에

손을 씻는다.

2. 모든 수술 환자의 검체(혈액, 체액, 조직 등)를 만지고 난 후 에 손을 씻는다.

3. 수술 중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바늘은 부러뜨리거나 구부리지 않는다.

4. 환자의 검체(혈액, 체액, 조직)를 만져야 할 경우 장갑을 착용 한다.

5. 칼날을 칼대(mess handle)에 끼우거나 제거할 경우 기구를 사용하여 상처를 입지 않도록 한다.

6. 감염환자(B형 감염, C형 감염, 에이즈 등) 수술 시 장갑을 이 중으로(두개를) 착용한다.

7. 주사바늘 사용시 바늘 끝이 사용자의 몸쪽으로 향 하지 않게 한다.

8. 혈액에 노출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수술에는 장갑을 이중 으로 착용한다.

9. 수술 중 날카로운 기구나 장비 사용으로 장갑의 손상이 예상 되는 경우 장갑을 이중으로 착용한다.

10. 수술 중 많은 양의 혈액이나 체액이 피부에 노출될것이 예 상되는 경우 방수 앞치마를 착용한다.

11. 수술 중 혈액이나 체액으로 양말이나 발이 젖을 것으로 예상 되는 경우 장화나 방수용 신발을 신는다.

12. 수술 중 혈액이나 체액이 눈에 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보 호 안경을 착용한다.

13. 손에 피부염이나 상처가 있을 경우 환자의 검체(혈액, 체액, 조직 등)를 직접 만지지 않는다.

14. 수술에 사용한 기구, 장비 및 린넨은 오염된 것으로 간주하 여 규정된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15. 날카로운 기구에 찔리거나 칼에 베인 경우 즉시 보고하여 전문가에게 진료를 받는다.

16. 날카로운 기구에 찔리거나 칼에 베인 경우 즉시 혈액을 짜 내고 물로 씻고 소독한다.

17. 사용 후 버리는 봉합용 바늘, 주사바늘, 칼 등을 폐기용으로 만들어진 지정된 용기에 버린다.

18. 장갑을 끼고 시술(수술, 처치 등)을 했더라도 장갑을 벗은 후에 즉시 손을 씻는다.

19. 수술 중에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바늘은 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는다.

다음은 혈행성 감염의 인식에 대한 측정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체크해 주십시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