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우울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3-46)

1) 우울의 개념 및 특징

정신건강 증상의 대표적인 우울은 슬픔, 미래에 대한 비관, 자포자기 절망, 수 면장애, 피곤함, 절망감, 자기혐오감 등의 특징을 갖는 감정적인 반응(노병일,

손정환, 2011; Barker, 2003)으로 사전적 의미는 근심스럽거나 답답하여 ‘활기가 없음, 반성과 공상이 따르는 가벼운 슬픔’이라고 정의되어 있다(김재현, 2013 재 인용). 그리고 우울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 저하에 따른 자각에서 비롯되는데, 일 상생활에서 겪게 되는 스트레스나 특정사건에 의해 경험하게 되고(김오복, 2007), 우울은 부정적 또는 역기능적인 인지와 사고패턴으로 개인이 통제가 어려운 무 능력에 귀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라 보고 있다(김정은, 2009 재인용). 또한 미국사 회사업가협회(NASW)에서는 우울을 슬픔, 절망, 자기혐오감, 자포자기, 부적절감, 수면장애 등, 부정적 의미의 감정적 반응으로 정의하였다(노병일, 2005 재인용).

우울의 반응은 정서적, 인지적, 생리적 및 행동적 반응으로 분류된다(Beck, et al, 1974). 정서적 반응은 감정과 애착 상실, 유쾌함 상실, 기분 또는 즐거움 상실 등을 보이고, 인지적 반응은 자기 비난, 동기 상실, 부정적 기대 및 비관, 자살 등이 있으며, 피로감, 성적 흥미 감소, 수면장애, 체중감소, 의욕상실 등의 생리적 반응이 나타난다. 그리고 행동적 반응으로는 게으름, 무기력, 정신 지연과 자실시 도 등이 있다(문성희, 2009). 이처럼 우울은 다양한 환경적 자극에 의한 부정적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나타나며 자살 및 신체적 기능 저하를 유발하게 됨으로 적 절한 처방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노인들은 장년기에서 노년기에 이르면서 죽음이 가까이 온다는 두려움으 로 다른 연령군보다 불안이나 우울이 심화될 수 있고(손덕순, 2005 재인용), 개인 의 유전적 영향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노출되는 생리적․정신적․사회적 스트레 스 등 복잡한 관계에서 시작 또는 악화될 수 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신 체적, 사회적 상실감이 커지고 이때 발생하는 정신질환이 우울이라고 보고 있다 (진재현·고혜연, 2013). 이처럼 노인들의 우울 유병율은 다른 연령층과 비교하여 매우 높다 볼 수 있는데, 대략 노인인구에서 17.8%의 비율로 노인들의 우울증을 추정하고 있다(Park et al., 2012). 그리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5)의 ‘2014 노인 실태조사보고서’에 의하면 우울증 환자는 약 41% 수준에 있으며, 세계질병부담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이 질병부담이 높은 질환에서 2위로 보고하여, 2030년이면 1위가 될 수 있다 예측하였다(global burden of diseases, 2013).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 우울 환자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이며 OECD 국가 중 자살 률 1위라는 불명예를 얻고 있다. 실제로 노인 보호시설에 있는 노인의 30% 이상 이 우울 증세를 겪고 있는데, 고령화가 심화되는 현대사회에서는 이런 우울이나 고독과 같은 정서적 심리적 문제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권석만, 1996).

우리나라 노인의 우울 요인으로는 자녀와의 문제, 신체적 건강문제, 경제적 어 려움 등이 가장 결정적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배지연, 2004). 이는 노인들이 가 족과 건강, 경제, 주거환경 등의 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게 될 때 우울의 증상은 심화될 수 있고, 가족이나 친구, 이웃 등의 사회적 지지는 우울 증상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결과(김봉금, 2019)와 노인들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에 따른 사회활동 을 많이 참여할수록 삶의 질과 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울증 완화에 효과적이 고, 반대로 낮은 사회 참여 내지 사회적 지지는 우울증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 한다. 특히 노인들은 자신의 우울 증세에서 오는 기분 침체를 우울로 판단하기 보다는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거나 무기력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해서 우울 증상을 제대로 치료하는 일이 쉽지 않다(김동배·손의성, 2005). 즉 노인들은 사회적 접촉 빈도가 낮고 여가시간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우울해지 는데, 신체적 조건이나 경제적 여건이 허락되지 않아서 여가시간을 제대로 활용 하지 못하면 우울 증세가 더 심해질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 가, 체육 및 문화시설이 많이 공급되었지만 접근이 어려워 일상생활을 무료하게 보내는 노인들도 많다(허준수·유수현, 2002). 따라서 노인들이 여가시간을 잘 이 용할 수 있도록 노인들을 위한 시설을 확대하고 편의성을 높여야 한다.

Dalam dokumen 저작자표시 (Halaman 4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