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위성자료 및 현장관측자료를 활용한 방제지원 시스템 개발

.

상세 구현 결과

(1) 처리 시스템 폴더 구성도(그림 3.3.34)

- 본 시스템은 통합 시스템에 의해 처리되는 모든 단계의 결과물이 저장되도록 폴 더를 구성하였다. 중간 단계의 결과물로는 선택한 SAR 영상에 대해서 기하보정, 방사보정 처리 결과물, Land masking 결과물, 사용자가 선택한 ROI 영상 그리고 오일 탐지된 바이너리 파일이 특정 폴더로 저장이 된다. 또 최종 단계의 결과물로 는 오일 탐지된 바이너리 파일을 Google earth용 KMZ로 변환시켜 저장이 되고, k-map에 가시화하기 위해 파일 포맷이 변환된 shape 파일, image 파일이 특정 폴 더에 저장이 된다.

그림 3.3.34 위성자료 및 현장관측자료를 활용한 방제지원 시스템 폴더 구성도

목 요구사항 수행완료

여부 Output: 경로 / 파일이름

1

사용자가 선택한 SAR 데이터이름을 가져와 처리 결과를 저장시키기 위한 폴더 (SARNAME)를 생성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ProcessData\Geometric\SARN AME

Kordi_oil\Data\InputData\Satellite\SAR\Infor mation\SARNAME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NAME

2 선택한 SAR 데이터에 대한 기하보정과 방사 보정 후 Geotiff file로 생성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ProcessData\Geometric\SARN AME

3 SAR 영상을 Resize 한 후 k-map에 plot 되 도록 bmp 파일 생성한다(alpha file 포함).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 N A M E \ G e o I m a g e \ u s i n g O i l M O D E L , usingSAR

/SARNAME.alp.bmp SARNAME.bmp SARNAME.bpw

4 land masking후 ENVI standard형으로 저장 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ProcessData\Geometric\SARN AME\SARLandmasking

5

Geotiff 파일을 가져와 오일이라고 예측되는 영역으로 ROI로 자른다.

자른영상은 ENVI standard형으로 저장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ProcessData\Geometric\SARN AME\SARROI

6 SAR data를 이용해 오일 탐지한 결과를 ENVI Standard 형으로 저장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ProcessData\Geometric\SARN AME\SARdetecOil\usingOilMODEL

7

OilDetectGeotiff(폴더 1)에 있는 Geotiff 파일 을 가져와 오일을 객체 별로 분리 후, K-map 에 올릴 오일 경계선의 위경도 값과 탐지된 오일 Report 정보(Width, Length, Area)를 mat으로 저장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InputData\Satellite\SAR\Infor mation\SARNAME\usingOilMODEL,usingSA R/DetectedOil.mat(matlab)

8 2번 결과(matfile)을 shape 파일로 변환해 준 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NAME\Shapefile\usingOilMODEL/OilBound aryLine.shx

/OilBoundaryLine.shp OilBoundaryLine.dbf OilArea.shx OilArea.shp OilArea.dbf OilPoint.shx OilPoint.shp OilPoint.dbf

9 Prevention 정보를 k-map에 띄울 수 있게 shape 파일로 만든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NAME\GeoImage\usingOilMODEL

/CombatingInfo.bmp CombatingInfo.bpw Combating_Point.shp Combating_Point.shx Combating_Point. dbf

10 부이 데이터를 이용한 화살표 shape 파일을 만든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NAME\Shapefile

/Wind_Condition.shp Wind_Condition.dbf Wind_Condition. shf

11 오일 레포트 정보를 이용해 Table bmp 파일 을 만든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NAME\usingOilMODEL,usingSAR

/OilReport.bmp OilReport.bpw

12 탐지된 오일 정보를 KMZ 파일로 저장한다. 구현/시험 완료

Kordi_oil\Data\ResultData\Offline_Update\SA RNAME\KMZfile\usingOilMODEL

표 3.3.1 개발 시스템 기능 별 상세 내용 (2) 처리 시스템 기능 별 상세 내용(표 3.3.1)

- 54 -

ROI 선택

SAR 영상 Land masking

그림 3.3.36 처리 시스템 처리 과정 (3) 처리 시스템 상세 처리 결과

- 모든 처리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GUI 방식으로 구현하였다. 사건 발 생 시 수집되는 위성자료 및 현장자료를 파라메터 값을 입력(그림 3.3.35)한다.

Accident Position (Latitude, Longitude)

Accident Time (Year, Mon, Day,

Hour, Min)

Satellite Name Band Type

Oil Type, Thickness, Density Manual input parameter

그림 3.3.35 위성자료 및 현장자료 정보 입력 GUI

- 선택한 SAR 영상을 DEM자료를 이용해 자동으로 Land masking 처리한 후, 오일 이라고 추정되는 영역을 ROI로 사용자가 지정한다(그림 3.3.36). 지정한 ROI 영역 에 대해 오일탐지를 수행한다.

그림 3.3.37 12월 11일에 촬영된 ENVISAT 영상을 가시화 프로그램에 출력

- 허베이 스피리트호 사고일로 부터 4일이 경과된 12월 11일에 촬영한 위성자료에 대한 결과 영상을 BMP 파일 형식으로 변환시켜 가시화 프로그램에 출력하였다.

(그림 3.3.37).

- 위성자료를 이용해 탐지한 유출유의 결과를 Polygon 형태의 shape file로 변환하여 출력하였다(그림 3.3.38).

- 56 -

- 다른 날짜에 촬영된(11일, 14일) 위성자료에서 기름으로 추출된 영역을 Polygon 형 식으로 동시에 가시화 프로그램에 출력하여 비교가 가능하다.

E N V ISAT A S AR, 2 0 0 7. 1 2 . 1 1 0 1 :40 ( U TC)

E N V ISAT A S AR, 2 0 0 7. 1 2 . 1 4 0 1 :45 ( U TC)

그림 3.3.39 다른 위성자료에서 추출한 기름 영역 동시 출력

- 한 유출유의 이동경로를 표시하기 위해 한 점으로부터 이동경로를 추적한 결과를 선 형태의 shape file로 출력하였다(그림 3.3.40).

E N V ISAT A S AR, 2 0 0 7. 1 2 . 1 1 0 1 :40 ( U TC)

E N V ISAT A S AR, 2 0 0 7. 1 2 . 1 4 0 1 :45 ( U TC)

그림 3.3.40 한 점에서의 유출유 이동경로

- Tracking한 시간 간격으로 화살표 모양의 shape 파일이 생성되어, 유출유가 이동 한 방향과 크기를 나타내 준다. 또 12월 14일에 촬영된 ENVISAT의 결과로 봤을 때, 11일에 탐지된 유출유의 한 점으로부터 추적한 점과 마지막 점의 위치가 유사 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한 바람과 해류의 합성비율은 100%와 5%로 설정하였다.

- 사고지점 주변의 방제세력의 위치와 정보를 가시화 프로그램에 함께 출력하여 사 용자가 방제세력계획에 수립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그림 3.3.41).

ENVISAT ASAR, 2007. 12. 14 01:45 (UTC) ENVISAT ASAR, 2007. 12. 11 01:40 (UTC)

Combating Resources KOMPSAT 2 MSC, 2007. 12. 08 11:04 (UTC)

Starting Point (KOMPSAT. 12. 08) Starting Point (ENVISAT. 12. 11)

그림 3.3.41 가시화 프로그램에 출력한 결과 이미지

- 58 -

그림 3.3.42 탐지된 오일 정보를 KMZ파일로 변환하여 Google earth에 출력 - 그림 3.3.42은 12월 11일 SAR영상에서 탐지된 오일 정보를 KMZ파일로 변환하여

Google earth에 출력한 그림이다

목 표 달성도

(%) 내 용

인공위성(아리랑 2호 및 C-밴드 SAR)기반 기름 추출

모듈개발 100

- 광학과 SAR 데이터 입출력모듈개발 - 광학과 SAR처리 및 기름 추출 모듈 개발 - 전파 산란 모델기반 기름 추출 기법 개발

및 검증

- 현장자료, 다중편파해석 및 산란모델링 이용한 SAR 유출유 탐지 능력 향상

허베이스피리트호(Hebei Spirit)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검증 100

- 허베이스피리트호 유출유의 일자별 확산 범위 추출

- 유출유 모델 예측 및 방제계획 결과에 대 한 검증

- 유출유 확산 범위에 따른 방제 장비 및 인력 배치 검토

방제 지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100

- 방제지원을 위한 자료의 통합가시화 - 전자해도기반 가시화 프로그램 개발 - 해양 방제 세력(인적, 물적 자원) 가시화 - 유출 현황 및 이동 예상 범위 가시화 - 해양환경정보(해상풍, 조류) 가시화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