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1502위치 관계

Dalam dokumen 정답과 풀이 (Halaman 66-72)

lm, mn이면ln이다.

l

n

m

01

단계 채점요소 배점

a의 값 구하기 4

b의 값 구하기 4

a+b의 값 구하기 2

AB”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CD”, CF”, DG”, EF”,

EG”, FG”의6개이므로a=6 yy`

DG”와 꼬인 위치에 있는 모서리는AB”, BC”, AC”, EF”의4

이므로b=4 yy`

a+b=6+4=10 yy`

10

16

단계 채점요소 배점

a의 값 구하기 4

b의 값 구하기 4

a+b의 값 구하기 2

△ACE와 △DCB에서 AC”=DC”, CE”=CB”

∠ACE=∠ACD+∠DCE=60˘+∠DCE

=∠BCE+∠DCE=∠DCB

∴ △ACE™△DCB(SAS합동) 또,△DCB에서 ∠DCB=120˘이므로

∠CDB+∠CBD=∠CAE+∠CBD=60˘

∴ ∠AFB=180˘-(∠CAE+∠CBD)

=180˘-60˘=120˘ ④

11

AD”=BE”=CF”, AB”=BC”=CA”이므로 AF”=BD”=CE”

△ABC가 정삼각형이므로

∠A=∠B=∠C=60˘

∴ △ADF™△BED™△CFE(SAS합동)

또한, FD”=DE”=EF”이므로 △DEF는 정삼각형이다. ③

12

사각형ABCD와 사각형EFGC가 정사각형이므로 BC”=DC”, GC”=EC”

∠BCG=90˘-∠GCD=∠DCE

∴ △GBC™△EDC(SAS합동)

∠GBC=90˘-64˘=26˘이므로 △GBC에서

∠BGC=180˘-(26˘+36˘)=118˘

따라서 ∠DEC=∠BGC=118˘이므로

∠DEF=∠DEC-90˘=118˘-90˘=28˘ 28˘

13

∠ABE=∠DCE=90˘-60˘=30˘이고, AB”=EB”=EC”=DC”이므로

∠AEB=∠DEC=;2!;_(180˘-30˘)=75˘

∴ ∠x=360˘-(75˘+60˘+75˘)=150˘ 150˘

14

△CHQ와 △BHP에서 ∠CHQ=90˘-∠BHQ,

∠BHP=90˘-∠BHQ이므로

∠CHQ=∠BHP yy`

또한, HC”=HB”, ∠HCQ=∠HBP=45°이므로 yy`

△CHQ™△BHP(ASA합동) yy`

∴PB”=QC”=4 cm yy`

4cm

16

a-2<a<a+3이므로 가장 긴 변의 길이는a+3이다.

yy`

따라서(a-2)+a>a+3이어야 하므로

a>5 yy`

a>5

15

③AB”의 대각은 ∠C이고, ∠C는 직각이다. ③

02

①CA”=2 cm인 경우 2+5=7

이므로 삼각형을 작도할 수 없다. ①

03

①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두

삼각형은 합동이다. ①

04

ABCD™ FGHE이므로

EF”=DA”=8 cm ④

05

다음 그림과 같이 서로 다른2개의 삼각형을 작도할 수 있 다.

A B

C

30˘

6 cm A 4 cm

C 30˘ B

6 cm 4 cm

06

③ 한 변의 길이와 그 양 끝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

⑤ 두 변의 길이와 그 끼인 각의 크기가 주어진 경우 ③,⑤

07

ㄴ. ∠B=∠E이면SAS합동

ㄹ. AC”=DF”이면SSS합동 ④

09

④,⑤

08

(2, 3, 4), (2, 4, 5), (3, 4, 5)의3개 ③

10

03작도와 합동

10=6+4이므로 삼각형을 만들 수 없다. ④

01

단계 채점요소 배점

가장 긴 변의 길이가a+3임을 알기 4

a의 값의 범위 구하기 6

RPM

알 피 엠

120˘+85˘+(180˘-∠x)=360˘

∴ ∠x=25˘ ①

구하는 다각형을n각형이라 하면 n-3=10n=13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십삼각형이다. ④

02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5-2)=540˘이므로

102˘+98˘+74˘+(180˘-∠x)+70˘+110˘

=540˘

∴ ∠x=94˘ ④

08

구하는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 하면

=36˘ ∴n=10

따라서 정십각형의 대각선의 총 개수는

=35()a=35

또,내각의 크기의 합이1080˘인 정다각형을 정m각형이라 하 면

180˘_(m-2)=1080˘ ∴m=8 따라서 정팔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45˘ ∴b=45

2a-b=2_35-45=25

114360˘8 10_(10-3) 11411122 114360˘n

09

∠ABC+∠ACB=180˘-50˘=130˘

∠BCD+∠CBE

=(180˘-∠ACB)+(180˘-∠ABC)

=360˘-130˘=230˘

∴ ∠PCB+∠PBC=;2!;_230˘=115˘

따라서 △PCB에서

x=180˘-115˘=65˘ ②

10

오른쪽 그림에서 삼각형의 외각 의 성질과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은360˘임을 이용하면

(∠a+e)+c+d +(35˘+b)=360˘

∴ ∠a+b+c+d+e=325˘ ③ a

b c d

e 35˘

35˘+b a+e

11

오른쪽 그림에서

a+b+c+d+e +f+g+h+i+j

=(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

=360˘

a b

c

d e f

g h j i+j

c+d g+h a+b

e+f i

12

180˘_(15-2)=2340˘ ③

03

육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6-2)=720˘

이므로

125˘+135˘+∠a+120˘+b+130˘=720˘

∴ ∠a+b=210˘ ②

04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_(5-2)=540˘

이므로

(180˘-80˘)+115˘+∠x+90˘+(180˘-65˘)=540˘

∴ ∠x=120˘ ②

05

△ABC에서

∠DCE=;2!;∠ACE

=;2!;_(70˘+2∠DBC)

=35˘+∠DBC yy㉠

△DBC에서

∠DCE=x+∠DBC yy㉡

㉠,㉡에서 ∠x=35˘ ④

06

△PBC에서

∠PBC+∠PCB=180˘-120˘=60˘

사각형ABCD에서 ∠DAB=180˘-∠x이므로 2∠PBC+2∠PCB+85˘+(180˘-∠x)=360˘

07

단계 채점요소 배점

∠CHQ=∠BHP임을 알기 3

HC”=HB”,∠HCQ=∠HBP임을 알기 2

△CHQ™△BHP임을 알기 2

PB”의 길이 구하기 3

04 다각형

140˘+100˘+∠x=360˘에서 ∠x=120˘

2y-30˘=40˘+90˘에서 ∠y=80˘

∴ ∠x-y=120˘-80˘=40˘ ②

01

102˘

98˘ 110˘

74˘ x 70˘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360˘이고,

∠EBA=∠EBC=∠a, ∠ECD=∠ECB=∠b라 하면 110˘+2∠a+2∠b+(180˘-80˘)=360˘

∴ ∠a+b=75˘

△EBC에서

x=180˘-(∠a+∠b)

=180˘-75˘=105˘ 105˘

13

정육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20˘

이고,△ABC는B’A”=BC”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BAC=;2!;_(180˘-120˘)=30˘

마찬가지 방법으로 하면 ∠ABF=30˘

∴ ∠x=∠APB(맞꼭지각)

=180˘-(30˘+30˘)=120˘ 120˘

180˘_(6-2) 112221116

14

x(2x-20)=69, x(2x-20)=23

3x=2(2x-20), 3x=4x-40x=40

02

2135=45x, 35=45x

3x=225x=75

03

BO”∥CD”이므로

∠AOB=∠ODC

=40˘(동위각)

오른쪽 그림과 같이OC”를 그으면 OC”=OD”이므로

∠OCD=∠ODC=40˘

또, BO”∥CD”이므로

∠BOC=∠OCD=40˘(엇각) 따라서 ∠BOC=∠AOB이므로

μBC=μAB=4 cm ③

A O D

B C

40˘

40˘

40˘

8 cm 40˘

04

△OBC에서OB”=OC”이므로 ∠OBC=30˘

∴ ∠AOB=30˘+30˘=60˘

∠AOD=∠180˘-60˘=120˘

따라서60:120=μAB:6이므로

1:2=μAB:6 ∴μAB=3(cm) ③

06

오른쪽 그림에서 OA”=OB”=AB”이면

△AOB는 정삼각형이므로 ∠AOB=60˘

따라서 반지름의 길이와 현의 길이가 같을

때,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60˘이다. ③

07

x=360˘_ 3 =108˘ ③ 21222252+5+3

05

△AHD에서

a+b+55˘=180˘

∴ ∠a+b=125˘

yy`

△BDF에서 ∠c=30˘+55˘=85˘ yy`

△BIE에서 ∠d=30˘+35˘=65˘ yy`

△FJE에서 ∠e=35˘+c=35˘+85˘=120˘ yy`

∴ ∠a+b+c+d+e

=125˘+85˘+65˘+120˘

=395˘ yy`

395˘

a 30˘ e

b d

c 55˘

35˘

A

E H J

B G F

C

I D

16

한 외각의 크기는

180˘_ =30˘ yy`

주어진 정다각형을 정n각형이라 하면

=30˘ ∴n=12

따라서 주어진 정다각형은 정십이각형이므로 yy`

대각선의 총 개수는

=54(개) yy`

54개 12_(12-3)

211112352 2125360˘n

21255+11

15

단계 채점요소 배점

한 외각의 크기 구하기 3

주어진 정다각형 구하기 3

대각선의 총 개수 구하기 4

단계 채점요소 배점

a+∠b의 크기 구하기 2

c의 크기 구하기 2

d의 크기 구하기 2

e의 크기 구하기 2

a+∠b+∠c+∠d+∠e의 크기 구하기 2

05 원과 부채꼴

②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01

A

O B 60˘

RPM

알 피 엠

정팔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135˘

∴ (색칠한 부분의 넓이)=p_4¤ _;3!6#0%;=6p(cm¤ ) ③ 180˘_(8-2)

08

8 강아지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

은 오른쪽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 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yy`

p_6¤_;4#;+p_2¤ _;4!;=28p(m¤ ) yy`

28pm¤

4 m 6 m 2 m

15

2 m

(색칠한 부분의 둘레의 길이)

=2p_12_;3@6!0);+2p_6_;3@6!0);+6+6

=21p+12(cm) ④

09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 이는 ㉠+㉡+㉢이므로

2_{4_4-p_4¤ _;4!;}+4_4

=2(16-4p)+16

=32-8p+16

=48-8p(cm¤ ) ⑤

8 cm

8 cm

10

세 종류의 꽃을 심는 밭의 호의 길이의 비는 (무궁화):`(튤립):(장미)

=40:30:20

=4:3:2 yy`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yy`

꽃을 심는 밭의 중심각의 크기는

(무궁화)=360˘_ =160˘, (튤립)=360˘_ =120˘,

(장미)=360˘_ =80˘ yy`

무궁화:160˘, 튤립:120˘, 장미:80˘

21222254+3+22 21222254+3+23

21222254+3+24

16

(색칠한 부분의 넓이)

=(부채꼴BA'A의 넓이)+(지름이A'B”인 반원의 넓이) -(지름이AB”인 반원의 넓이)

=(부채꼴BA'A의 넓이)

=p_10¤ _;3¢6∞0;

=;;™2∞;;p(cm¤) ③

11

곡선 부분의 길이는 2p_6=12p(cm) 직선 부분의 길이는 12_3=36(cm)

∴(끈의 최소 길이)

=12p+36(cm) ③

12

△OBC에서OB”=OC”이므로

∠OCB=∠OBC=20˘

∠BOC=180˘-(20˘+20˘)=140˘

∠AOC=180˘-140˘=40˘

∴μAC:μBC=40:140=2:7 2:7

13

① 삼각뿔대-사다리꼴

② 사각뿔-삼각형

③ 오각뿔-삼각형

⑤ 정십이면체-정오각형 ④

02

원이 지나간 자리는 오른쪽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 ㉠++

=p_4¤

=16p(cm¤ )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20_4)_3+16p=240+16p(cm¤ )

(240+16p)cm¤

20 cm 4 cm A B C

14

단계 채점요소 배점

강아지가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을 그림으로 나타내기 5

영역의 넓이 구하기 5

단계 채점요소 배점

세 종류의 꽃을 심는 밭의 호의 길이의 비 구하기 3 호의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의 관계 이해하기 3 꽃을 심는 밭의 중심각의 크기 구하기 4

06다면체와 회전체

① 오각뿔대:7개

② 육각뿔대:8개

③ 육각기둥:8개

④ 칠각뿔대:9개

⑤ 정팔면체:8개 ④

01

12 cm

12 cm 12 cm

120˘ 120˘

120˘

03

, , , 12

15개 ⑤

04

⑤ 원뿔-이등변삼각형 ⑤

06

① 각 면이 정오각형인 정다면체는 정십이면체이다.

② 정팔면체는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4개이고,정이 십면체는 한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5개이다.

④ 정다면체의 각 면은 정삼각형,정사각형,정오각형뿐이다.

⑤ 각 면이 정삼각형인 정다면체는 정사면체,정팔면체,

정이십면체이다. ③

07

주어진 전개도로 정팔면체를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FG”와 겹치는 모서리는AB”이다.

J(H)

D

A(G) C(E) B(F)

I

08

09

A A

B C

B C l

10

11

12

어떤 각뿔대를n각뿔대라 하면 3n-(n+2)=20, 2n=22

n=11

따라서 주어진 입체도형은 십일각뿔대이므로 꼭짓점의 개수는

11_2=22() 22

13

v-e+f=2f=;5@;e, v=;3@;e를 대입하면

;3@;e-e+;5@;e=2

e=30

f=;5@;e=;5@;_30=12

따라서 구하는 정다면체는 정십이면체이다. 정십이면체

14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yy`

(큰 원의 넓이)=p_7¤

=49p(cm¤ ) (작은 원의 넓이)=p_2¤

=4p(cm¤ ) yy`

따라서 구하는 단면의 넓이는

49p-4p=45p(cm¤ ) yy`

45pcm¤

7 cm 2 cm

15

yy`

⑵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x˘라 하면 2p_9_;36{0;=2p_3

x=120(˘) yy`

⑴ 풀이 참조 ⑵120˘

9 cm

3 cm

16

ㄴ. 원기둥의 단면은 자르는 방향에 따라 직사각형, 원, 타 원 등 여러 가지이다.

ㄹ. 원뿔, 원뿔대의 회전체를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은 모두 원이지만 그 크기는 다르다.

05

단계 채점요소 배점

단면의 모양 이해하기 4

큰 원과 작은 원의 넓이 구하기 4

단면의 넓이 구하기 2

단계 채점요소 배점

전개도 그리기 5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 구하기 5

07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rcm라 하면 2pr=6p ∴r=3(cm)

따라서 구하는 원기둥의 부피는

p_3¤ _4=36p(cm‹ ) ④

01

Dalam dokumen 정답과 풀이 (Halaman 66-7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