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으로 나타남

Dalam dokumen 일 러 두 기 - KOSSDA - 서울대학교 (Halaman 91-102)

통일

국민의 48. 국민의 48.7%, 정년퇴직 시기를 연장해야한다

6.7 으로 나타남

항목별로 살펴보면 , ' 불만족 점 (1 4 )' 점 의 응답비율은 4.8% 에 그쳤으며 , ' 보통 점 (5 6 )' 점 은

❍ ∼ ∼

32.1%, ' 만족 점 (7 ∼ 10 )' 점 은 63.1% 로 나타남

문 귀하는 요즘 귀하의 삶에 전반적으로 만족하십니까) ?

단위 ( : %) 그림 3-

〈 3 삶의 전반적 만족도〉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여자가 , (66.0%) 남자보다 (60.3%) 더 삶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고 응답함

연령에 따라서는 고연령일수록 삶이 전반적으로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하는 경향이 나타남.

청년층의 경우 가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반면 노년층은 로 나타남

3.4% , 5.7%

가족 구성원별로 보면 특히 인가구에서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이 , 1 10.6% 로 나타나 다른 ,

가족구성원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구분 사례

수명 ( )

1 2 3 4 불

만족

5 6 보통 7 8 9 10 만족 계 평균

점 ( )

전체 (5,100) 0.2 0.3 1.4 2.9 4.8 10.6 21.4 32.1 34.9 23.1 4.1 0.9 63.1 100.0 (6.7) 성별 남자 (2,568) 0.2 0.3 1.5 4.0 6.0 11.6 22.1 33.7 33.6 21.6 3.9 1.1 60.3 100.0 (6.7) 여자 (2,532) 0.1 0.2 1.3 1.9 3.5 9.7 20.8 30.5 36.2 24.6 4.4 0.7 66.0 100.0 (6.8)

연령

19~29 (862) 0.1 0.2 0.8 2.2 3.4 7.4 20.4 27.8 38.6 25.2 3.7 1.4 68.8 100.0 (6.9) 세

30~45 (1,406) 0.2 0.2 1.1 3.2 4.7 9.1 19.7 28.8 35.5 26.7 3.6 0.8 66.5 100.0 (6.8) 세

46~60 (1,565) 0.1 0.3 1.3 3.2 4.9 12.5 23.5 36.1 34.7 19.5 4.2 0.7 59.0 100.0 (6.6) 세

61~79 (1,266) 0.2 0.3 2.3 2.9 5.7 12.3 21.4 33.7 32.2 22.3 5.1 1.0 60.6 100.0 (6.7)

지역

서울 (966) 0.0 0.2 1.7 2.6 4.4 7.5 18.4 25.9 40.0 23.7 5.5 0.4 69.7 100.0 (6.9) 인천 경기/ (1,632) 0.1 0.1 1.2 3.1 4.4 13.5 25.6 39.1 34.2 19.8 2.0 0.5 56.5 100.0 (6.6) 대전 충청 세종/ / (539) 0.4 0.5 1.3 3.3 5.5 10.6 21.4 32.1 30.0 23.5 7.1 1.9 62.5 100.0 (6.8) 광주 전라/ (487) 0.0 0.5 1.8 5.0 7.3 8.6 22.7 31.2 33.7 22.2 3.8 1.8 61.4 100.0 (6.7) 대구 경북/ (491) 0.4 0.4 0.8 2.7 4.3 15.5 32.9 48.4 30.9 14.4 1.4 0.6 47.3 100.0 (6.4) 부산 울산 경남/ / (768) 0.0 0.3 1.2 1.0 2.5 6.2 9.9 16.1 39.7 34.8 6.2 0.6 81.3 100.0 (7.2) 강원 (151) 0.8 0.0 3.8 5.8 10.4 12.6 16.0 28.7 31.0 22.0 6.6 1.3 61.0 100.0 (6.6) 제주 (65) 2.0 1.7 4.2 5.5 13.4 12.5 14.5 26.9 10.7 30.3 7.3 11.4 59.6 100.0 (6.9)

결혼상태

미혼 (1,451) 0.2 0.2 0.9 3.5 4.8 9.2 20.5 29.7 37.4 24.3 2.8 1.0 65.5 100.0 (6.8) 사실혼 동거 등- (244) 0.5 0.0 0.0 0.0 0.5 4.0 11.0 15.0 36.3 36.9 10.9 0.5 84.5 100.0 (7.4) 기혼 결혼 생활 중- (2,952) 0.1 0.3 1.3 2.4 4.1 11.0 22.8 33.8 34.8 22.3 4.1 0.9 62.1 100.0 (6.7) 기혼 사별 이혼 별거 - , ,

등 (453) 0.2 0.3 5.0 6.3 11.8 16.6 21.2 37.8 27.5 17.0 4.9 1.0 50.4 100.0 (6.3)

구성원가족

인가구

1 (741) 0.5 0.2 3.5 6.5 10.6 14.6 20.5 35.1 28.4 21.0 4.0 0.8 54.3 100.0 (6.4) 세대 가구

1 (917) 0.3 0.4 1.4 2.7 4.7 12.8 18.5 31.3 34.3 24.0 4.6 1.0 64.0 100.0 (6.8) 세대 가구

2 (3,306) 0.1 0.3 0.9 2.3 3.6 8.9 22.3 31.2 36.8 23.4 4.0 0.9 65.2 100.0 (6.8) 세대 가구

3 (124) 0.0 0.0 3.0 0.5 3.5 16.7 24.7 41.5 27.2 22.7 4.5 0.7 55.1 100.0 (6.6) 표

< 3-3 응답자 특성별 삶의 전반적 만족도>

단위 ( : %)

가족에 대한 만족 4)

❍ ' 가족에 대한 만족 '을 점 척도 점일수록 만족함 로 살펴본 결과 평균점수는 10 (10 ) , 7.7 점 으로 '중상' 수준 으로 나타남

과거 조사와 비교했을 때 평균점수는 큰 차이 없이 유지됨

문 귀하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가족) ?_

단위 ( : %) 그림 3-

〈 4 가족에 대한 만족〉

❍ 연령에 따라서는 저연령일수록 가족에 대해 만족한다고 판단하는 경향이 나타남 즉 청년 및 . , 장년층의 경우 각각 85.3%, 84.2% 가 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반면 중년층의 경우에는 , 81.7%, 노년층의 경우에는 79.0% 가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음

결혼상태별로 보면 결혼생활 중인 경우에 만족스럽다는 응답 비율이 86.1% , 로 미혼인

경우 (80.2%) 보다 5.9%p 더 높게 나타나 결혼생활 중인 경우 가족에 대한 만족이 더 높다고 나타남 가족 구성원별로 보면 특히 인가구에서 가족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이 , 1 60.0% 로 나타나 다른 ,

가족구성원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임

구분 사례

수명 ( )

1 2 3 4 불

만족

5 6 보통 7 8 9 10 만족 해당

사항없음

계 평균( )점

전체 (5,100) 0.0 0.0 0.5 1.2 1.8 4.4 8.7 13.1 20.7 37.6 18.5 5.6 82.3 2.7 100.0 (7.7) 성별 남자 (2,568) 0.0 0.0 0.4 1.2 1.7 4.9 8.9 13.9 21.9 35.4 18.1 5.8 81.2 3.2 100.0 (7.7) 여자 (2,532) 0.0 0.0 0.6 1.2 2.0 3.8 8.5 12.3 19.5 39.9 18.8 5.3 83.5 2.2 100.0 (7.7)

연령

19~29 (862) 0.0 0.0 0.3 0.8 1.1 3.3 8.9 12.3 21.3 39.1 19.3 5.6 85.3 1.3 100.0 (7.8) 세

30~45 (1,406) 0.0 0.0 0.5 1.7 2.2 4.5 7.2 11.7 19.1 38.0 20.9 6.2 84.2 1.8 100.0 (7.8) 세

46~60 (1,565) 0.1 0.0 0.3 1.2 1.5 4.3 9.4 13.7 20.9 38.1 17.3 5.4 81.7 3.0 100.0 (7.7) 세

61~79 (1,266) 0.0 0.1 1.1 1.0 2.2 5.0 9.5 14.5 21.8 35.6 16.6 5.0 79.0 4.3 100.0 (7.6)

지역

서울 (966) 0.0 0.0 0.5 1.7 2.2 3.4 4.5 7.9 18.5 38.5 22.6 5.0 84.5 5.4 100.0 (7.8) 인천 경기/ (1,632) 0.0 0.0 0.1 1.2 1.3 4.2 11.5 15.7 22.0 42.0 15.0 2.5 81.5 1.5 100.0 (7.6) 대전 충청 세종/ / (539) 0.1 0.0 1.5 1.5 3.1 4.2 11.1 15.3 27.1 25.0 15.4 11.3 78.7 3.0 100.0 (7.6) 광주 전라/ (487) 0.0 0.0 0.4 0.8 1.1 5.2 10.1 15.3 21.3 33.3 18.1 9.2 81.8 1.8 100.0 (7.7) 대구 경북/ (491) 0.0 0.0 1.6 0.7 2.3 3.9 11.4 15.3 22.6 41.0 12.1 1.9 77.6 4.8 100.0 (7.5) 부산 울산 경남/ / (768) 0.0 0.0 0.2 0.2 0.4 2.9 5.1 8.0 15.5 39.5 27.9 6.8 89.7 1.9 100.0 (8.1) 강원 (151) 0.0 0.5 0.5 4.9 5.9 15.0 3.1 18.0 19.9 29.6 18.2 7.6 75.3 0.7 100.0 (7.4) 제주 (65) 1.4 0.5 2.1 3.1 7.0 13.0 10.1 23.0 11.1 25.2 9.6 24.0 70.0 0.0 100.0 (7.5)

결혼상태

미혼 (1,451) 0.0 0.0 0.2 2.1 2.3 4.1 9.5 13.7 22.3 34.9 18.1 4.9 80.2 3.9 100.0 (7.6) 사실혼 동거 등- (244) 0.0 0.0 0.0 0.0 0.0 1.1 3.1 4.2 13.6 44.1 24.8 13.3 95.8 0.0 100.0 (8.3) 기혼 결혼 생활 중- (2,952) 0.0 0.0 0.4 0.7 1.1 3.8 9.0 12.7 20.7 40.4 19.3 5.7 86.1 0.1 100.0 (7.8) 기혼 사별 이혼 별거 등- , , (453) 0.2 0.2 3.0 2.7 6.1 10.6 7.9 18.4 19.1 25.3 11.0 2.5 57.9 17.6 100.0 (7.0)

가족

인가구

1 (741) 0.1 0.1 1.6 3.2 5.1 9.1 7.7 16.7 18.7 27.0 10.9 3.4 60.0 18.2 100.0 (7.2) 세대 가구

1 (917) 0.0 0.0 0.3 0.9 1.2 4.5 9.8 14.2 23.0 36.2 19.0 6.2 84.3 0.3 100.0 (7.7) 세대 가구

2 (3,306) 0.0 0.0 0.4 0.9 1.3 3.3 8.6 11.9 20.4 40.5 20.1 5.7 86.7 0.1 100.0 (7.8) 표

< 3-4 응답자 특성별 가족에 대한 만족>

단위 ( : %)

친구에 대한 만족

5)

12)

❍ ' 친구에 대한 만족 '을 점 척도 점일수록 만족함 로 살펴본 결과 평균점수는 10 (10 ) , 7.2 점 으로 ' 중상 ' 수준으로 나타남

과거 조사와 비교했을 때 평균점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다만 점과 점 항목의 응답비율은 . , 6 7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점과 점 항목의 응답비율은 하락하는 모습이 나타남 , 5 9

문 귀하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친구) ?_

단위 ( : %) 그림 3-

〈 5 친구에 대한 만족〉

성별에 따라 친구에 대한 만족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

앞서 살펴본 가족에 대한 만족도에서 노년층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친구에 ,

대한 만족도에서도 가장 낮은 만족수준 (66.9%) 으로 나타남 전반적으로 노년층의 인적 교류 . 상황에 대한 만족도가 타 연령층 대비 좋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음

❍ 결혼상태별로 보면 미혼 사실혼의 경우 기혼인 경우보다 친구에 대한 만족 비율이 높게 나타남 / 수준

(83.7% vs. 56~71% )

구분 사례

수명 ( )

1 2 3 4 불

만족

5 6 보통 7 8 9 10 만족 계 평균

점 ( )

전체 (5,100) 0.1 0.2 0.6 2.1 2.9 7.7 15.3 23.0 29.5 29.9 11.5 3.3 74.2 100.0 (7.2) 성별 남자 (2,568) 0.0 0.1 0.7 2.1 2.9 7.9 14.6 22.5 28.9 30.3 11.5 3.8 74.5 100.0 (7.2) 여자 (2,532) 0.1 0.2 0.5 2.1 2.8 7.4 16.0 23.4 30.1 29.5 11.4 2.8 73.8 100.0 (7.2)

연령

19~29 (862) 0.0 0.1 0.3 0.8 1.1 2.8 8.9 11.7 28.7 35.9 17.6 4.9 87.2 100.0 (7.7) 세

30~45 (1,406) 0.0 0.2 0.1 1.5 1.8 5.6 14.2 19.8 30.4 33.1 11.6 3.3 78.4 100.0 (7.3) 세

46~60 (1,565) 0.1 0.2 0.8 2.3 3.3 10.1 17.6 27.7 29.4 27.8 9.4 2.4 69.0 100.0 (7.0) 세

61~79 (1,266) 0.2 0.2 1.0 3.4 4.7 10.3 18.0 28.3 29.2 24.7 9.8 3.3 66.9 100.0 (7.0)

지역

서울 (966) 0.0 0.2 0.6 1.3 2.1 6.7 14.2 20.8 31.0 29.6 14.1 2.4 77.1 100.0 (7.3) 인천 경기/ (1,632) 0.0 0.1 0.8 1.6 2.5 6.3 17.0 23.4 35.1 27.7 9.7 1.7 74.2 100.0 (7.1) 대전 충청 세종/ / (539) 0.2 0.2 0.8 3.9 5.0 7.8 22.2 30.0 22.1 22.7 10.4 9.7 65.0 100.0 (7.2) 광주 전라/ (487) 0.1 0.3 0.8 1.8 3.0 8.1 15.6 23.7 27.2 29.3 11.4 5.3 73.2 100.0 (7.3) 대구 경북/ (491) 0.0 0.3 0.2 2.7 3.1 13.2 17.3 30.5 26.9 29.3 8.1 2.0 66.4 100.0 (7.0) 부산 울산 경남/ / (768) 0.0 0.0 0.1 1.8 1.9 5.8 9.7 15.5 24.4 41.8 14.6 1.9 82.6 100.0 (7.5) 강원 (151) 0.0 0.0 0.0 6.4 6.4 13.0 5.7 18.7 30.3 27.8 14.0 2.8 74.9 100.0 (7.1) 제주 (65) 2.3 0.8 1.0 3.5 7.6 18.3 3.3 21.6 24.3 21.2 9.1 16.2 70.8 100.0 (7.2)

결혼상태

미혼 (1,451) 0.0 0.0 0.4 0.9 1.4 4.3 10.6 14.9 29.3 36.2 14.3 3.9 83.7 100.0 (7.5) 사실혼 동거 등- (244) 0.0 0.0 0.0 0.7 0.7 3.0 12.4 15.4 27.4 27.0 15.7 13.8 83.8 100.0 (7.8) 기혼 결혼 생활 중- (2,952) 0.0 0.2 0.5 2.0 2.7 8.8 17.1 25.8 31.1 27.9 10.4 2.1 71.4 100.0 (7.1) 기혼 사별 이혼 별거 등- , , (453) 0.5 0.4 1.8 7.0 9.7 13.7 20.3 34.0 21.3 24.0 7.5 3.5 56.2 100.0 (6.7)

구성원가족

인가구

1 (741) 0.3 0.3 1.2 4.8 6.6 10.9 14.6 25.6 25.5 27.3 10.7 4.3 67.9 100.0 (7.0) 세대 가구

1 (917) 0.1 0.0 0.5 1.9 2.4 9.3 15.8 25.2 32.0 27.1 10.6 2.7 72.4 100.0 (7.1) 세대 가구

2 (3,306) 0.0 0.2 0.4 1.6 2.2 6.3 15.2 21.5 30.0 31.3 11.9 3.1 76.3 100.0 (7.3) 세대 가구

3 (124) 0.0 0.0 1.7 0.6 2.3 10.7 17.9 28.6 24.7 26.0 12.3 6.1 69.1 100.0 (7.2) 표

< 3-5 응답자 특성별 친구에 대한 만족>

단위 ( : %)

소득 재산에 대한 만족

6) /

13)

❍ ' 소득 재산에 대한 만족 / '을 점 척도 점일수록 만족함 로 살펴본 결과 평균점수는 10 (10 ) , 6.1 점 으로 나타났음 이는 함께 제시된 가지 만족도 항목 가족 친구 소득 재산 문화 여가생활 건강 . 7 ( , , / , / , , 직업, 주거 중 평균점수가 ) ' 문화 여가생활 과 함께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남 / '

과거 조사와 비교했을 때 평균점수는 2019 년 대비 0.3 점 증가하여 2016 년 수준과 동일해짐

문 귀하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소득 재산) ?_ /

단위 ( : %) 그림 3-

〈 6 소득 재산에 대한 만족〉 /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자의 경우 여자보다 불만족 비율이 높고 , (14.9% vs. 12.4%) 만족 비율은

낮게 (37.9% vs. 39.9%) 나타남

연령에 따라서는 청년층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소득 재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

나타남(35.9%)

결혼상태별로는 사실혼인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인 66.5%, 반면 사별 이혼 별거 상태인 경우 가장 / /

낮은 비율인 24.8% 가 소득 재산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가족구성원으로는 인가구에서 / , 1 만족한다는 비율이 28.7% 로 가장 낮게 나타남

구분 사례

수명 ( )

1 2 3 4 불

만족

5 6 보통 7 8 9 10 만족 계 평균

점 ( )

전체 (5,100) 0.4 1.0 4.6 7.7 13.7 21.1 26.3 47.4 20.6 12.8 4.7 0.8 38.9 100.0 (6.1) 성별 남자 (2,568) 0.5 1.1 4.8 8.5 14.9 21.4 25.8 47.2 20.0 12.1 4.9 0.8 37.9 100.0 (6.0) 여자 (2,532) 0.3 0.9 4.4 6.9 12.4 20.9 26.8 47.7 21.2 13.5 4.4 0.8 39.9 100.0 (6.1)

연령

19~29 (862) 0.5 1.0 6.0 9.2 16.7 23.1 24.4 47.4 18.2 12.5 3.5 1.7 35.9 100.0 (5.9) 세

30~45 (1,406) 0.4 0.6 3.7 5.9 10.6 19.9 29.1 49.1 23.2 11.3 5.3 0.4 40.3 100.0 (6.2) 세

46~60 (1,565) 0.4 0.6 3.6 7.4 12.1 21.5 25.4 47.0 21.2 13.7 5.2 0.9 41.0 100.0 (6.2) 세

61~79 (1,266) 0.4 1.7 5.8 9.1 17.0 20.7 25.5 46.2 18.7 13.5 4.1 0.5 36.8 100.0 (5.9)

지역

서울 (966) 0.0 1.0 4.2 6.2 11.4 18.0 26.3 44.3 23.5 13.8 6.7 0.3 44.3 100.0 (6.3) 인천 경기/ (1,632) 0.2 0.2 3.8 7.5 11.7 27.4 27.9 55.2 20.7 9.8 2.4 0.2 33.1 100.0 (5.9) 대전 충청 세종/ / (539) 1.0 0.9 3.1 8.1 13.2 20.3 27.7 48.0 19.0 14.4 2.7 2.8 38.8 100.0 (6.1) 광주 전라/ (487) 0.3 1.6 5.8 8.0 15.7 15.4 28.6 44.0 20.6 15.1 4.0 0.5 40.3 100.0 (6.1) 대구 경북/ (491) 0.9 0.8 7.6 14.3 23.5 26.8 25.3 52.1 15.4 8.5 0.5 0.1 24.4 100.0 (5.5) 부산 울산 경남/ / (768) 0.4 1.7 3.4 5.2 10.7 13.5 24.4 37.9 21.3 18.3 10.6 1.2 51.4 100.0 (6.5) 강원 (151) 0.4 3.9 12.7 8.4 25.4 16.9 17.3 34.2 19.7 12.0 5.9 2.8 40.4 100.0 (5.8) 제주 (65) 4.5 0.9 6.3 8.7 20.4 19.3 9.6 28.8 22.1 13.5 10.0 5.1 50.7 100.0 (6.2)

결혼상태

미혼 (1,451) 0.5 0.9 6.6 8.6 16.6 21.7 26.9 48.6 19.1 11.3 3.4 1.0 34.8 100.0 (5.9) 사실혼 동거 등- (244) 0.0 0.5 0.4 3.5 4.4 10.3 18.8 29.1 31.1 20.7 13.0 1.7 66.5 100.0 (7.0) 기혼 결혼 생활 중- (2,952) 0.4 0.8 2.5 7.0 10.6 20.7 27.9 48.7 21.4 13.8 5.0 0.6 40.7 100.0 (6.2) 기혼 사별 이혼 별거 등- , , (453) 0.7 2.5 14.1 12.2 29.6 27.8 17.8 45.6 14.6 7.0 1.9 1.2 24.8 100.0 (5.3)

가족

인가구

1 (741) 0.9 1.9 11.9 11.3 26.0 22.5 22.8 45.3 16.7 7.1 4.3 0.6 28.7 100.0 (5.5) 세대 가구

1 (917) 0.3 1.2 3.0 7.9 12.4 18.3 29.8 48.1 19.6 13.8 5.7 0.4 39.4 100.0 (6.2) 세대 가구

2 (3,306) 0.4 0.7 3.3 6.8 11.2 21.5 26.2 47.7 22.0 13.8 4.4 0.9 41.1 100.0 (6.2) 표

< 3-6 응답자 특성별 소득 재산에 대한 만족> /

단위 ( : %)

문화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

7) /

14)

❍ ' 문화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 / '을 10 점 척도 점일수록 만족함 로 살펴본 결과 (10 ) , ' 소득 재산 / 만족도 와 마찬가지로 평균점수는 ' 6.1 점 으로 나타남

과거 조사와 비교했을 때 평균점수는 2019 년 대비 0.2 점 증가했고 점 항목을 선택한 비율이 , 8

눈에 띔 (3.0%p 증가 )

문 귀하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문화 여가생활) ?_ /

단위 ( : %) 그림 3-

〈 7 문화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 /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자의 만족 응답비율 , (40.7%) 보다 여자의 만족 응답비율 (43.8%) 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남

연령에 따라서는 청년층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문화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

나타남 (50.8%). 이는 소득 재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온 것과 비교했을 때 대비됨 / 결혼상태별로 보면 미혼 사실혼의 경우 기혼인 경우보다 문화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 /

나타남 (50~53% 수준 vs. 28~40% 수준 )

구분 사례

수명 ( )

1 2 3 4 불

만족

5 6 보통 7 8 9 10 만족 계 평균

점 ( )

전체 (5,100) 0.5 1.5 6.2 10.1 18.3 19.0 20.6 39.5 19.9 15.3 5.8 1.2 42.2 100.0 (6.1) 성별 남자 (2,568) 0.7 1.5 6.6 11.0 19.7 19.6 20.0 39.6 19.2 14.8 5.4 1.3 40.7 100.0 (6.0) 여자 (2,532) 0.3 1.6 5.8 9.1 16.8 18.3 21.2 39.4 20.7 15.7 6.3 1.1 43.8 100.0 (6.1)

연령

19~29 (862) 0.2 0.3 2.9 6.6 9.9 16.9 22.4 39.3 25.4 16.5 6.9 2.0 50.8 100.0 (6.5) 세

30~45 (1,406) 0.5 1.3 4.5 8.2 14.5 17.9 21.7 39.5 21.5 17.2 6.3 0.9 46.0 100.0 (6.2) 세

46~60 (1,565) 0.5 1.6 8.0 11.6 21.7 21.2 18.1 39.3 18.8 14.3 4.6 1.3 39.0 100.0 (5.9) 세

61~79 (1,266) 0.6 2.7 8.1 12.5 23.9 18.8 21.1 39.9 15.9 13.5 6.0 0.8 36.1 100.0 (5.8)

지역

서울 (966) 0.0 0.9 6.8 9.4 17.2 16.9 19.6 36.4 21.1 16.8 7.1 1.4 46.4 100.0 (6.2) 인천 경기/ (1,632) 0.3 1.3 5.5 9.7 16.7 23.9 24.5 48.3 18.1 13.7 2.6 0.5 34.9 100.0 (5.9) 대전 충청 세종/ / (539) 0.6 1.1 3.8 10.7 16.2 17.2 20.8 38.1 21.0 15.7 5.2 3.8 45.8 100.0 (6.3) 광주 전라/ (487) 0.7 1.0 3.0 9.7 14.4 17.7 20.6 38.3 24.7 15.6 5.8 1.3 47.4 100.0 (6.2) 대구 경북/ (491) 1.2 2.5 13.8 14.9 32.4 20.3 19.7 40.0 17.8 8.7 1.2 0.0 27.6 100.0 (5.3) 부산 울산 경남/ / (768) 0.4 1.7 4.4 8.1 14.6 13.3 17.2 30.5 19.5 21.4 13.3 0.8 54.9 100.0 (6.5) 강원 (151) 0.7 5.3 11.8 11.7 29.4 14.6 9.0 23.6 25.6 9.5 9.6 2.2 46.9 100.0 (5.8) 제주 (65) 6.7 7.1 8.0 8.2 29.9 17.3 8.0 25.3 10.8 17.9 11.0 5.1 44.8 100.0 (5.8)

결혼상태

미혼 (1,451) 0.3 0.7 4.2 7.0 12.2 15.5 22.3 37.8 26.0 16.8 5.8 1.4 50.0 100.0 (6.4) 사실혼 동거 등- (244) 0.0 0.0 1.9 6.7 8.6 17.0 21.0 38.1 17.4 17.0 12.3 6.6 53.4 100.0 (6.8) 기혼 결혼 생활 중- (2,952) 0.5 1.7 6.4 10.9 19.5 20.7 20.2 40.9 18.3 15.2 5.3 0.7 39.6 100.0 (6.0) 기혼 사별 이혼 별거 등- , , (453) 1.2 4.1 13.5 16.1 34.9 19.7 16.8 36.5 12.3 9.8 5.9 0.6 28.6 100.0 (5.4)

구성원가족

인가구

1 (741) 1.0 3.1 9.4 13.5 26.9 14.9 18.6 33.5 17.6 15.1 6.1 0.7 39.6 100.0 (5.8) 세대 가구

1 (917) 0.3 2.5 5.4 10.6 18.7 20.2 21.9 42.1 16.3 15.2 6.4 1.2 39.2 100.0 (6.0) 세대 가구

2 (3,306) 0.5 0.9 5.4 8.9 15.7 19.6 20.8 40.4 21.6 15.4 5.8 1.2 43.9 100.0 (6.1) 세대 가구

3 (124) 0.4 2.4 10.0 15.6 28.4 17.9 17.9 35.8 14.8 14.6 1.7 4.7 35.8 100.0 (5.8) 표

< 3-7 응답자 특성별 문화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 /

단위 ( : %)

건강에 대한 만족

8)

15)

❍ ' 건강에 대한 만족 '을 점 척도 점일수록 만족함 로 살펴본 결과 평균점수는 10 (10 ) , 7.1 점 으로 나타남 년 조사와 비교했을 때 평균점수는 동일하지만 점 점 항목에서 더 높은 응답비율이

2019 , 7 ~8

나타남 각 ( 4.0%p, 3.5%p 증가 )

문 귀하는 다음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건강) ?_

단위 ( : %) 그림 3-

〈 8 건강에 대한 만족〉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자의 만족 응답비율 , (72.0%) 이 여자의 만족 응답비율 (70.6%) 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남

연령에 따라서는 고연령일수록 건강에 대한 만족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남 청년층 ( 85.3%

❍ →

노년층 54.6%)

Dalam dokumen 일 러 두 기 - KOSSDA - 서울대학교 (Halaman 91-10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