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근대화를 통하여 도시화가 일어나자 국가는 도시의 저임금 유지를 위하여 저농산물 가격정책을 실시한다.저농산물 가격정책은 곡가가 물가상승을 가중시켜 경제안정을 해친다는 이유로 실시되었으나 이러 한 저농산물 가격정책은 농업과 농민의 일반적인 희생을 강요하여 농 업의 정체와 농업소득의 감소를 가져오게 된다.(박태균,2002,21)이는 농업에 대한 어두운 전망과 전업으로의 실망감을 주게 되어 많은 빈

농의 형성,도농간 소득격차로 인하여 농민들이 농업으로부터 이탈하 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박영인,1991,79)

또한 국가가 채택한 불균형성장론은 보완성효과(complementarity effectofinvestment)의 투자이론을 근간으로,비용대비 효용이 가장 큰 부분을 중점으로 투자한다는 내용이었다.이 이론은 자본․자원의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상 현실성 있는 이론으 로 받아들여지면서 경제개발계획에 수용되었다(박태균,2002,97).인적 자원 이외에는 가진 것이 없던 국가로서는 대대적인 경제개발 이데올 로기를 통해 근대화를 위한 인적자원을 농촌으로부터 충당하였다.국 가의 불균형 성장론의 수용은 도농간 격차를 확대하였고,농촌노동력 의 도시유출 요인을 강화시켰다.농촌의 인구는 점점 도시로 몰려들 게 되었고,재정의 부족 때문에 이농민들은 임시적으로 거처를 마련 하기 위하여 산동네나 무허가 판자촌으로 집단적으로 거주하며 생계 의 터전을 닦게 된다.도시는 고도로 성장하며 도시화를 이루는 반면, 농촌사회에서의 이농민의 유출이 가속되었다.도시화를 거치면서 값 싼 노동력의 잠식은 이농민들의 도시빈민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끼 치게 되고,결과적으로 한국의 근대화는 이농민의 값싼 노동력만 흡 수 했을 뿐,도시와 농촌간의 공생관계나 역할분담에 대한 고려가 없 었으며,이농민의 도시빈민 전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제3절 도시빈민 통제정책

도시빈민이 거주하는 무허가 건물지대는 자생적인 무허가 마을이 있는가 하면 의식적으로 조성된 정착지가 있었다.조그만 공지만 있 으면 비집고 들어오는 도시빈민들은 심지어 군용지 구석에도 입지12) 하여 미관과 도시문제를 발생시킨다.2공화국 등 정부의 행정공백으 로 무허가 건물은 눈에 띄게 증가했으며,정착지 촌은 무허가 건물의 확대 재생산에 결정적 영향을 끼치게 되며(손정목,2003,90)잘못된 점 을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결정적인 정책적 실패를 낳게 된다.그것은 서울뿐만 아니라 성남시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였으며 추후 단속반을 통해 단속은 한다고 하나 단속역량보다 늘어나는 무허가 건물에서 행 정력은 점차 마비되고 있었다.따라서 무허가 건물의 정착지 촌 문제 는 또다른 무허가 건물을 발생시키는 역 효과가 컸다.

12) 손정목(2003), “광주대단지사건”

제4절 소결:이주민들은 어디로 흘러갔는가?

인적자원 이외에는 가진 것이 없던 국가로서는 대대적인 경제개발 이데올로기를 통해 근대화를 위한 인적자원을 농촌으로부터 충당하였 다.국가의 불균형 성장론의 수용은 도농간 격차를 확대하였고,농촌 노동력의 도시유출 요인을 강화시켰다.농촌의 인구는 점점 도시로 몰려들게 되었고,재정의 부족 때문에 이농민들은 임시적으로 거처를 마련하기 위하여 산동네나 무허가 판자촌으로 집단적으로 거주하며 생계의 터전을 닦게 된다.도시는 고도로 성장하며 도시화를 이루는 반면,농촌사회에서의 이농민의 유출이 가속되었다.도시화를 거치면 서 값싼 노동력의 잠식은 이농민들의 도시빈민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 을 끼치게 되고,결과적으로 한국의 근대화는 이농민의 값싼 노동력 만 흡수 했을 뿐,도시와 농촌간의 공생관계나 역할분담에 대한 고려 가 없었으며,이농민의 도시빈민 전락의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 이다.

국가경제가 급성장하면서 정부의 주요관심사는 근대화에 대한 전 시효과와 자신감 회복에 주력하였고,그 과정 중 필요악으로 발생한 도시빈민을 외부로부터 감춰야 할 대상으로 인식한다.광주대단지 사 업은 그 과정에서 태어난 대표적 사례였으며,도시빈민층과 무허가건 물의 재생산과정이 광주대단지의 도시공간에서 압축적으로 드러남을 볼 수 있다.내용상으로는 무허가 건물과 도시빈민 문제 해결을 위한 서울시의 주택지 건설 사업이었으나,실질적으로는 국가주도의 대규 모 건설 사업으로 근대화를 위한 국가자원의 총력전 중 발생된 건설 사업이었다.

제I I I 장 광주대단지 개발계획

광주대단지에 대한 연구와 논문의 대부분은 8.10 사건에 집중적으 로 조명을 받고 있을 뿐,사업이 진행된 순서와 인과관계,주체간의 갈등 부분에 대한 언급은 부족한 실정이다.또한 사업정책에 직접적 인 영향을 주고 진행을 담당한 관계자에 의한 기록이나 회고보다는, 주변에서의 이해관계자나 사건을 바라보았던 이들의 기록에 의존되는 경우가 많았다.따라서 이 장에서는 그 당시 사업추진의 시간적 순서 에 따른 주요사업들을 정리하면서 실제 그 사업을 진행하였던 공무원 과 사업초기에 입주하여 광주대단지에서 삶을 개척해 나갔던 주민들 을 만나보고,그들이 직접 보고 느꼈던 것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광주대단지 개발은 서울시로 부터의 이 주민들로부터 시작되었기에 서울시의 인구증가와 건축현황,도시계획 과 개발 등 그에 따른 문제를 살펴보아야 광주대단지 개발을 좀더 쉽 게 이해할 수 있다.

제1절 광주대단지의 개발배경

광주대단지 사업의 계획 당시,서울시의 무허가 건물에 거주하는 철거민 문제해결을 위해 시작한 사업이었다.따라서 서울시에 대한 도시문제 현황과 주택사업에 대한 정책,그리고 성남시의 도시개발

여건과 입지조건을 고려해야 광주대단지의 개발배경을 살펴보고자 한 다.